•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Reality Industry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3초

Reflections on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in Field of News Media

  • Chen X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96-201
    • /
    • 2023
  • In recent years,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many industrial fields, especially in the fields of medical treatment, games, film and television,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medical teaching and practical treatment. On the gaming side, the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gaming screens and scenes became increasingly popular, greatly expanding the form of the visual experience. But VR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health car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During this time, the news media industry has also begun to integrate virtual reality into interviews and user interac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VR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s of immersive VR news experience, real reporting, and prospects, and analyze and think about the interactive participation of media users,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media, and the upgrading of practitioners' roles.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의 현실감 향상을 위한 다감각 효과 재현 시스템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Multi-sensory Effector System to Improve the Realistic of Virtual Underwater Simulation)

  • 김철민;윤재홍;강임철;김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4-112
    • /
    • 2014
  •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과 해양개발 산업의 급성장으로 해양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가상 체험, 교육 및 모의 훈련 등의 목적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가상 해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3차원 그래픽 기술을 통한 시각적인 체험을 위주로 개발되고 있어 체험자가 현실감을 경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해저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현실감 향상을 위해서는 모의적으로 생성된 가상환경에서 시청각적인 요소 이외의 감각적인 부분을 통해 사실적인 체험이 가능한 요소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저환경의 물리적 현상에 따라 다감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해저 체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또한 제안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참가자 실험을 통하여 현실감에 대하여 평가 하였다.

가상현실과 결합된 로봇제어 시스템의 구현방법 (A Development of The Remote Robot Control System with Virtual Reality Interface System)

  • 김우경;김훈표;현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20-324
    • /
    • 2003
  • 최근, 가상현실분야가 매우 다양하게 각 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환경하에서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하여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였다. 3D Graphic Tool을 사용하여 가상로봇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로봇에 실제로봇의 텍스쳐를 입혀 X파일로 변환시켜 3차원 가상현실에 적용되는 Direct 3D Graphic의 Component들을 사용하여 실제로봇과 동일한 모습을 재현하였다. 또한 조이스틱을 통해서 가상로봇의 움직임을 표현하고 실제로봇을 제어했다. 개발된 로봇은 크게 로봇 제어부와 Host PC에서의 Visual I/F prog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로봇의 구동부와 Camera의 구동부는 2자유도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으로 개발된 조이스틱으로 원격조종된다. 외부 상황은 비젼 시스템과 초음파 센서로 인식되며, 화상 및 센서 데이터, 명령어 둥을 각각 900MHz와 447MHz RF로 통신된다. 사용자는 실제 로봇을 제어하기 위하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로봇 제어 명령을 내리면 로봇을 구동하기 위한 원격 송/수신부에서 447MHz의 특정소출력국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모듈을 통해 Half duplex 방식으로 4800bps로 실외 500m까지 제어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A Meta-Analysis)

  • 조성현;최기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29-4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를 활용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기준에 의거하여 최종 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 평가도구로 RCT(Randomized Control Trials) 연구는 RoB(Risk of Bias) 도구, NRCT(Non-Randomized Control Trials) 연구는 RoBANS(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sed Study) 도구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각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CMA 3.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하위집단분석과 메타회귀분석 및 출판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상지기능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s=0.390 (95 % CI: 0.192~0.587)으로 확인되었다(p<.05).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4차 산업에 발맞추어 뇌졸중 환자를 위한 다양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산학 협력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향후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RCT연구들과 세부적인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가 질적 및 양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Leap Motion을 이용한 전자부품 조립 훈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Training System Using Leap Motion)

  • 이인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63-470
    • /
    • 2023
  • In this study, an electronic parts assembly training system using Leap Mo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es actually operated in the assembly process of electronic products. Based on Leap Motion and Oculus VR equipment, the system was developed to transfer user's hand movement data in real time and convert it into hand movement in virtual space so that electronic parts assembly simulation can be performed step by step.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 can obtain an experience similar to the actual electronic parts assembly work, prevent errors that may occu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and improve proficiency.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will provide direction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virtual reality-based manufacturing processes.

가상현실(VR)을 적용한 기초의학 수업의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Basic Medical Class Applying Virtual Reality(VR))

  • 이문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31-537
    • /
    • 2019
  •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교육은 고가의 장비나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기초의학과목(기능해부학)은 보건관련 전공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은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기초의 학수업에 적용하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해부학 가상현실 프로그램(3D Organon®)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도, 집중도 및 흥미도의 부분에 있어서 만족도를 다른 학습 자료와 함께 설문하였다. 전반적으로 가상현실을 사용한 학습이 교과서, 모델 및 3D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학습 자료보다 더 높은 만도도의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부학 수업 등 의학계열 과목에 가상현실의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한복 패션쇼의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amining conducting Hanbok fashion shows in the metaverse)

  • 박은주;이영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2호
    • /
    • pp.173-192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implement Hanbok shows on metavers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Hanbok design and to establish a platform that fits the reality of the Hanbok industry and consum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and the derived contents were divided and analyzed using an affinity diagram. Experts were positive about the use of the metaverse platform of the Hanbok show in terms of impact, accessibility, exposure, virtual fitting, issuance of NFTs, and promotion of Hanbok brand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four components of metaverse, experts highl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Hanbok shows in the order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Visuality, influence, marketing efficiency in virtual reality, immersion in augmented reality, fantasy and artistic elements, expression, diversity, and abundant experiences were expected. The platform's requirements emphasized realistic implementation equipment and technology, collaboration between Hanbok designers and producers, in addition to government suppor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ppropriate target was analyzed to be in the 10-30s, and the appropriate price range was found to be able to sell at a discount of 40-80% compared to offline. This study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the service development of metaverse content, which will also be actively used in the Hanbok field,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ving the Korean Hanbok industry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가상현실 점포의 체험요소가 소비자의 지각된 정보의 양,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tial Factors of Virtual Reality (VR) Store on Perceived Inform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천예림;최우림;박민정;유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98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xperiential factors of virtual reality (VR) stores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revisit intention. This also study examines whether the experiential factors differ as a function of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such as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Female consumers who had an experience in using VR technology for digital shopping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escapist and aesthetic experien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and escapist experien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experiential factors on consumer respons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suggestions for experiential marketing and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for digital retailers utilizing VR technology.

가상현실에 관한 사용자 관점의 이론과 실제 (User-based Theories and Practices on Virtual Reality)

  • 정동훈
    • 정보화정책
    • /
    • 제24권1호
    • /
    • pp.3-29
    • /
    • 2017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360도 동영상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차세대 실감미디어에 대한 사용자 관점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한 때, 3D 영상의 광풍이 불더니 곧 초고화질(UHD) TV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지금은 가상현실이 실감미디어를 대표하는 그리고 차세대 먹거리 산업이라는 표현으로 미래 혁신 산업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하고 있다. 가상현실이 이렇게 산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풍요성, 상호작용성, 프레즌스, 신체소유감, 사용자 경험 그리고 시지각과 같은 가상현실과 관련된 여섯 개의 이론적 접근을 통해 학술적 이해와 더불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가능성을 담아내고자 한다. 이 여섯 개의 이론은 3D 영상과 같은 실감미디어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데, 미디어 풍요성과 상호작용성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이고, 프레즌스는 몰입을, 사용자 경험은 총체적 심리적 반응을 그리고 시지각은 '본다'라는 경험이 뇌의 활동과 더불어 얼마나 복잡한 과정을 겪는지 설명한다. 특히 신체 소유감은 그간 미디어 연구에 적용된 사례가 많지 않으나 가상현실 연구에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이론으로 추후 실감미디어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상현실과 관련된 사용자 관점의 주요 이론은 가상현실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물론, 하드웨어와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많은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Brain Stimulation of Elderly with Dementia Using Virtual Reality Home

  • Park, Sung-ju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4호
    • /
    • pp.1-18
    • /
    • 2019
  • The virtual reality (VR) is an immerging technology used in the serious games industry to treat psychological disorders like dementia. We created a system named as Virtual Reality Home (VRH) for the elderly who lived with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 of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measure the long-time immersion and retention of VRH on the moods and apathy, enhancement in physical and brain stimulation as well as a decision making with peoples of dementia and explore the experience of aged care home staff's member. The VRH shows a positive impact on the elderly participants and staff members. During the VRH experience, excitement and a great level of alertness were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but few of them were feeling anxiety. Furthermore, we observed the improvement in physical, memory and brain stimulation, but the participants have a low focus on decision making because they wanted to explore all interactable objects in the VR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R may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se results can assist to expand the future development in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of people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