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yl wast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간접가열 유화설비에 의한 폐멀칭비닐의 연료유 특성 (Fuel Oil Characteristics of Mulching Waste Vinyl by Indirect Heating Emulsion System)

  • 김해지;김남경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2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the fuel oil characteristics of mulching waste vinyl by indirect heating emulsion system. For the emulsion experiment of waste vinyl, the system is composed of melting furnace, the 1th pyrolysis furnace, and the 2nd pyrolysis furnace. The mulching waste vinyl is used for the fuel oi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ulching waste vinyl. The refined oil, gasoline, and diesel oil are extracted and quantified to analysis the fuel oil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duction of fuel oil from mulching waste vinyl is possible using the emulsion system.

  • PDF

폐비닐의 건식 전처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st vinyl pretreatment system by dry method)

  • 이현용;이재경;류병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0
    • /
    • 2006
  • Waste vinyl tretreat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the joint project between KIMM and Woosung Co. General process for removal of impurities from waste vinyl is consisted of feeding, separating, cutting, washing, drying and recovering impurities. However, there are problems such as wastewater when washing of waste viny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developed new dry type cleaning system.

  • PDF

폐비닐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현장 적응성 연구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Waste Vinyl Asphalt Concretes)

  • 김광우;이상범;이순제;김성운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11-114
    • /
    • 2001
  •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for recycling waste vinyl in asphalt concrete mixture for roadway pavement. The mixing method and proper content of waste polyethylene(PE) film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mix design. This study used 2-type aggregate gradations and two-type waste PE films. The mixtures were applied for a test pavement on a rural road. Quality evaluation of the asphalt concrete confirmed that waste vinyl asphalt concrete was applicable to road pavement.

  • PDF

폐비닐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특성(구조 및 재료 \circled2) (Evaluation of Asphalt Mixtures Using Waste vinyl)

  • 김광우;이상범;도영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59-265
    • /
    • 2000
  • This study is a fundamental research for recycling waste vinyl in asphalt concrete mixture for roadway pavement. The mixing method and proper content of waste polyethylene(PE) film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mix design. This study was performed mix designs using 2 type graduations of aggregate and used two types waste PE film. The asphalt concrete mixture was satisfied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ts showed that dense grade asphalt concrete mixture containing waste vinyl were higher performance in comparision to other mixtures(common dense grade mixture and gap grade mixtures). From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ddition of waste vinyl improved on quality of asphalt concrete mixture.

  • PDF

농업용 폐비닐로 개질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Mix Design for Waste PE Films Modified Asphalt Concrete)

  • 김광우;이상범;오성균;고동혁;정승호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313-318
    • /
    • 1999
  •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to improve quality of asphalt concrete mixture, to preserve environment, and to recycle waste vinly. The mixing method and proper content of waste vinyl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mix design. This study performed mix designs using 2 type gradations of aggregate in addtion content of wate vinly. Marshall stability at optimum asphalt content of asphalt concrete mixture addtin wate vinly was satisfied with the specification of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 and its values indicated that dense grade asphalt concrete mixture containing waste vinyl were higher than common dense grade mixture (control). From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ddtion of waste vinyl improved quality of asphalt concrete mixture.

  • PDF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재생원료 분석 및 배합비율에 따른 특성 평가 (Analysis of Recycled Raw Materials and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by Mixing Ratio for Recycling of Waste Vinyl)

  • 안낙균;이찬기;김정환;박필환;김승환;윤진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1호
    • /
    • pp.53-59
    • /
    • 2021
  • 생활계에서 발생되는 폐비닐은 토사, 금속, 유리 등의 이물질로 인해 고형연료(SRF, Solid Refuse Fuel)로 사용되었지만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고형연료의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어 재활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비닐 재활용을 위해 우선 생활계 폐비닐로 생산된 복합 재생원료와 영농폐비닐로 생산된 PE 단일 재생원료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원료 분석 결과, 폐비닐은 주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복합 재생원료는 약 2%의 회분이 잔존하고 있으며 PE 단일 재생원료의 경우는 회분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재생원료의 배합비율에 따른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 열처리 온도 200 ℃, 압착 압력 30 MPa, 배합비율 3:7 (복합:PE 단일) 조건에서 인장강도가 최대 약 16 MPa임을 확인하였다. 굽힘강도는 열처리 온도 200 ℃, 압착 압력 30 MPa, 배합비율 3:7 (복합:PE 단일) 조건에서 최대 약 39 MPa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재생원료들의 배합비율에 따른 강도 특성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폐비닐의 재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닐스트립-시멘트 혼합 모래시편의 보강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inforcing Effects of Mixtures of Vinyl Strip and Cement on the Sand Specimens)

  • 유정민;김종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0호
    • /
    • pp.5-16
    • /
    • 2018
  • 날로 늘어가는 폐비닐은 가장 큰 환경문제가 되어가고 있으며, 특히 농촌에서 발생하는 영농폐비닐은 수거인력부족 및 재활용 인식부족 등으로 농경지에 방치 혹은 불법매립 되어, 이로 인한 문제점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폐비닐은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가장 이상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폐비닐 재활용의 적용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한 사전연구로 비닐스트립의 지반보강재로서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닐스트립과 시멘트로 보강된 모래시편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과 공진주/비틂전단시험을 수행하여 정적 및 동적 보강효과를 분석하였다. 상대밀도 40%와 60%의 모래질 흙에 다양한 보강조건의 시편을 제작하여 비닐스트립 혼합률과 시멘트 혼합률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와 전단탄성계수/감쇠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비닐스트립-시멘트 혼합 보강기법의 정적 및 동적 보강효과를 확인하였고, 비닐스트립 및 시멘트의 최적 혼합조건을 제시하였다.

폐비닐로 개질된 아스팔트의 저장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age Stability of Waste Vinyl-Modified Asphalt)

  • 김강산;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3호
    • /
    • pp.191-198
    • /
    • 2008
  • 아스팔트 개질재로 쓰이고 있는 폴리에틸렌은 아스팔트와의 비중차와 비상용성으로 인하여 상분리가 일어난다고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분리를 억제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을 가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상분리 억제를 시도하였다.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폐비닐을 사용하였으며, 과산화물로는 디큐밀퍼옥사이드와 로로일퍼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현미경상으로는 과산화물이 첨가되어 상분리가 억제되었다. 그러나 유변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아스팔트와 폴리에틸렌은(비록 폴리에틸렌이 가교된다 하더라도) 분자단위에서는 서로 섞일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계적 시험(인장강도, 마샬안정도, 동적안정도)에서는 매우 우수한 물성을 보여주어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기존의 슈퍼팔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폐비닐 활용률 제고를 위한 수열합성 생성물인 에코 파우더(Eco-powder)의 기초물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asic Property Evaluation of Eco-powder, a Hydrothermal Synthesis Product for Improving Waste Vinyl Recycling Efficiency)

  • 최선미;이민철;김진만;손영곤;김남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1호
    • /
    • pp.48-57
    • /
    • 2024
  • 본 연구는 농촌에서 발생되는 C급 폐비닐의 활용률 개선을 목적으로 아임계 열수를 거쳐 생성된 에코 파우더(Eco-powder)를 플라스틱 원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생성된 에코 파우더의 회분함량 제어를 위한 선가공 처리의 효율과 생성된 에코 파우더의 회분함량에 따른 플라스틱으로서의 기초 특성을 평가하였다. 기초 특성으로서는 수준별 에코 파우더 활용 압축성형 시험체의 회분함량, 충격강도, 굴곡강도, 인장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선가공으로 물리적인 충격을 통한 토사분과 폐비닐 부분의 분리 효율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분함량에 따른 충격강도, 굴곡강도, 인장강도 평가 결과, 회분함량 26% 이하 수준의 에코 파우더에서 목표로 하는 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기존 활용도 및 회수율이 낮던 C급 폐비닐을 아임계 열수 처리 후 물리적 가공 처리를 통해 최적 조건을 설정하여 플라스틱 원료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Inventories for Precursors (NOx, SOx) Released from Open Burning of Agricultural Waste Vinyl Causing the Secondary Gene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 Kim, Tae-Han;Choi, Boo-Hu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5-207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While response measures to particulate matters in rural areas are limited due to poor inventory record keeping in the agricultural sector, it is necessary to control agricultural waste vinyl and the emission of precursors released from open burning and the secondary gene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Currently, the open burning emission calculation method uses the definition prescribed in CAPS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ethods: This study presented an open burning emission calculation formula for agricultural waste vinyl, which is included as agricultural waste. As for activity data, the open burning ratio of agricultural waste vinyl, and the annual incineration volume provided in the Status Survey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were applied. The emission factor was generated through incineration tests on three agricultural plastic film samples collect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Results: Among precursors, SOx and NOx were selected and their emission features were monitored with incineration experiment infrastructure based on the EPA 5G method. The highest emission concentration by agricultural waste type was concent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As for emission factor of SO2, it was calculated at 98.25 g/kg for mulching-use LDPE, 52.31 g/kg for greenhouse-use LDPE, and 14.40 g/kg for HDPE. As for NOx, it was calculated at 18.21 g/kg for mulching-use LDPE, 16.49 g/kg for greenhouse-use LDPE, and 10.67 g/kg for HDPE. Conclusion: This test confirmed the incineration features of PE-based plastics, ascertained the SOx emission factor that had not been included in open burning in the past, and established that low NOx emission concentration is interfered by soil mixed with livestock excret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ystem for controlling air pollutants in rural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