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spp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2초

수영만의 해양세균의 분포와 우점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Celluar Fatty Acid Composition of Dominated Genus in Suyeong Bay)

  • 강원배;성희경;문창호;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0-651
    • /
    • 1997
  • 수영만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양세균의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영만에서 해양세균의 시${\cdot}$공간적 분포 양상의 변화 및 조사기간동안 수영만에서 분리된 해양세균중 우점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연구 해역의 총균수와 생균수의 분포는 각각 $10^7\~10^8/m\ell$$10^4\~10^6\;cfu/m\ell$ 범위였으며, 총균수는 표층과 저층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생균수는 저층의 경우 동계에서 하계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해양세균 총 303균주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Pseudomonas spp. $(30.4\%)$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그 다음으로 Acinetobacter spp. $(18.8\%)$, Vibrio spp. $(13.2\%)$, Flavobacterium spp. $(12.2\%)$, Bacillus spp. $(8.9\%)$ 등이 우점하였다. 수영만에서 분리된 해양세균 중 Gram 음성세균 중에서 가장 우점한 Pseudomonas속과 Gram 양성 세균중에서 가장 우점한 Baillus속 각각 5균주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검출된 균체 지방산은 총 31종이었으며, Pseudomonas속에 비해 Bacillus속의 지방산 형태는 비교적 단순했다. 또한 Pseudomonas속의 균체 지방산에서는 단순불포화지방산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고 Bacillus속 에서는 쇄상지방산이 우점한 지방산 형태였다. 또한 Pseudomonas속에서 검출된 OHFA와 CFA는 Baillus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seudomonas속의 균체 지방산은$C_{16:1},\;C_{17:1},\;C_{18:1}\;and\;C_{16:0}$이 우점했고, Baillus속 세균들에서는 $C_{15:0}\;iso\;,\;C_{15:0}\;anteiso,\;C_{17:0}\;iso\;,C_{17:0}$가 많이 검출되었다.

  • PDF

서해산 김 엽체상의 미소생물과 김의 병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II. 목포 인근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piphytic Microbes and the Blight of Porphyra Speci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Korea -II. Seasonal Vari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urrounding Seawater of Porphyra Farming Area Near Mokp'o-)

  • 김정희;이건형;신윤근;김중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3
    • /
    • 1992
  • 1990년 2월부터 12월에 걸쳐 목포 인근수역에서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속조성의 변화를 미생물 생태학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해수에 나타난 종속영양 세균의 년중 분포는 $1.05\times10^2-1.46\times10^5$\;cfu/ml$ 에서 변화하였으며, 생리적 특성세균의 년중 분포는 단백질 분해세균의 경우, $5.0\times10-4.34\times10^4\;cfu/ml,$ 지방 분해세균은 $0-1.35\times10^4\;cfu/ml,$ 전분 분해세균은 $0-1.2\times10^4\;cfu/ml,$ 의 범주에서 분포하였다. 주변해수에서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간균이 $65\%$를 차지하였고, $76.7\%$가 그람 음성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의 대부분은 중온성이었으며, 다양한 탄소원을 이용할 수 있었고, 염분내성범위가 넓었다. 또한 우점속은 2월에는 Flavobacterium spp., 3월에는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7월에는 Vibrio spp.,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11월에는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등이 출현하여 조사시기와 조사정점에 따라 우점속의 차이를 보였다.

  • PDF

In vivo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병원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and Vibrios on pathogenicity in vivo)

  • 권문경;조병열;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09
  • 넙치 병어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spp.(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 and V. ordalii)를 분리한 후 in vivo에서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분리균을 인위감염 한 결과, 폐사율, 혈청의 ALT, AST, cortisol 농도가 vibrio 감염구에 비하여 P. damselae 감염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P. damselae 감염구에서 비특이적 면역반응인 식세포의 nitroblue tetrazolium(NBT) 반응과 혈청의 라이소자임 활성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 damselae는 특이적 효소인 damselysin의 분비로 높은 용혈능과 phospholipase 활성, 감염 시 내부 장기의 손상에 의한 ALT와 AST 상승, cortisol 농도의 증가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가 높은 병원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군산 내만에서 분리된 세균총에 대한 약제 내성 조사 (Drug Resistance of Bacterial Flora Isolated from Kunsan Bay)

  • 최민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9
    • /
    • 2000
  • 군산내만에서 분리한 미생물총 Vibrio spp.(44균주), Pseudomonas spp.(42균주), Aeromonas spp.(26균주), Moraxella spp.(9균주), Enterobacteria spp.(6균주), Bordetella spp.(3균주), Alkaligenesis spp.(3균주), Staphylococcus spp.(3균주), Flavobacterium spp.(2균주)를 총 123주를 대상으로 Ampicillin(AM), Penicillin-G(PM), Rifampicin(RF), Streptomycin(SM), Oxolinic acid(OA), Nalidixic acid(NA), Oxytetracycline(OT), Amikacin(AK), 및 Enorfloxacin(EF)등의 약제에 대해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공시약제에 대한 감수성균주는 42균주(34.1%)이었으며, 내성균주는 81균주(65.9%)로서 약제 내성율은 AM(54균주/43.9%), PM(47균주/38.2%) 및 RF(35균주/28.4%) 등에는 고빈도의 내성을 보였으며, SM(9균주/7.3%), OA(5균주/4.06%) 및 NA(1균주/0.8%)등에는 저빈도의 내성을 보였다. 그렇지만 OT, AK 및 NF에는 내성을 보이지 않았다. 내성 유형은 총 15유형(1-4제)으로서 이중 단일약제 내성 균주는 모두 35균주(28.4%)로서 AM(20균주/16.3%), PM(10균주/16.3%)및 RF(10균주/8.1%)약제에 내성 출현율이 높았다. 한편, 다제내성은 12유형을 나타내었으며, AM-PM-RF(16균주/13.4%), AM-PM(8균주/6.5%) 및 PM-RF(7균주/5.6%)유형이 비교적 출현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본 해역은 다양한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총이 서식하고 있어서 향후 다제내성균이 빠르게 확산 되어 어류질병의 치료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 PDF

금강 하구 해역의 해수에 병원성 비브리오균(Vibrio spp.)의 분포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 spp. in Seawater of the Geum River Estuary Area, West Coast of Korea)

  • 박선아;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844-849
    • /
    • 2022
  • The pathogenic Vibrio genus denotes halophilic bacteria that are distributed in aquatic environments, including both sea and freshwater. V. cholerae, V. vulnificus, and V. parahaemolyticus are the main species that can be potent human pathogens and the leading cause of septicemia, wound infections, and seafood borne gastroenter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s in seawater. We obtained a total of 80 seawater samples from the Geum River estuary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April to December 2021. Pathogenic Vibrios was determin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s. The detection levels of 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n the seawater samples were 7.5%, 68.8%, and 30.0%,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results were as follows: 3.6-3.6 MPN/100 mL in V. cholerae, 3.6-3,400 MPN/100 mL in V. parahaemolyticus, and 3.6-4,300 MPN/100 mL in V. vulnificus.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 novel insight into the necessity for seawater sanitation in the Geum River estuary area, and could help reduce the risk of seafood-borne outbreaks caused by pathogenic Vibrios.

Characterization of a New ${\beta}$-Lactamase Gene from Isolates of Vibrio spp. in Korea

  • Jun, Lyu-Jin;Kim, Jae-Hoon;Jin, Ji-Woong;Jeong, Hyun-D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555-562
    • /
    • 2012
  • PCR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beta}$-lactamase genes carried by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strains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between 2006 and 2009. All 36 strains tested showed negative results in PCR with the primers design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various known ${\beta}$-lactamase genes. This prompted us to screen new ${\beta}$-lactamase genes. A novel ${\beta}$-lactamase gene was cloned from Vibrio alginolyticus KV3 isolated from the aquaculture water of Geoje Island of Korea. The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VAK-3 ${\beta}$-lactamase) revealed an open reading frame (ORF) of 852 bp, encoding a protein of 283 amino acids (aa), which displayed low homology to any other ${\beta}$-lactamase genes reported in public databases. The deduced 283 aa sequence of VAK-3, consisting of a 19 aa signal peptide and a 264 aa mature protein, contained highly conserved peptide segments specific to class A ${\beta}$-lactamases including the specific amino acid residues STFK (62-65), SDN (122-124), E (158), and RTG (226-228). Results from PCR performed with primers specific to the VAK-3 ${\beta}$-lactamase gene identified 3 of the 36 isolated strains as V. alginolyticus, Vibrio cholerae, and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indicating the utilization of various ${\beta}$-lactamase genes including unidentified ones in ampicillin-resistant Vibrio spp. strains from the marine environment. In a mating experiment, none of the isolates transfered the VAK-3 ${\beta}$-lactamase gene to the Escherichia coli recipient. This lack of mobility, and the presence of a chromosomal acyl-CoA flanking sequence upstream of the VAK-3 ${\beta}$-lactamase gene, led to the assumption that the location of this new ${\beta}$-lactamase gene was in the chromosome, rather than the mobile plasmi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AK-3 ${\beta}$-lactamase was indicated by elevated levels of resistance to penicillins, but not to cephalosporins in the wild type and E. coli harboring recombinant plasmid pKV-3, compared with those of the host strain alone.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VAK-3 ${\beta}$-lactamase is a new and separate member of class A ${\beta}$-lactamases.

우렁쉥이에 대한 병원성 비브리오균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Pathogenic Vibrio through Sea Squirt Consumption in Korea)

  • 하지명;이지연;오혜민;신일식;김영목;박권삼;윤요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V. vulnificus와 V. cholerae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우렁쉥이에 대한 위해평가를 실시하였다. 위험성 확인 단계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위험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노출평가 단계에서는 초기오염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네 권역에서 우렁쉥이의 병원성 비브리오균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형할인마트, 시장 및 횟집에서 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유통 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시료의 품온 및 진열대 온도를 직접 측정하여 유통 온도를 수집하였다. 예측모델 개발을 위하여 병원성 비브리오 균을 혼합하여 우렁쉥이에 접종 후 다양한 온도(7℃, 10℃, 15℃, 20℃)에 저장하면서 시간대별로 꺼내어 세균의 생장 및 사멸을 확인하였다.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은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용량-반응모델 선정을 위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오염실태 조사 결과 V. vulnific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V. cholerae는 101개의 시료 중 1개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다. 유통환경조사 결과 우렁쉥이는 최소 1시간, 최대 48시간까지 진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0-10℃로 유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측모델 개발 결과 모든 온도(7℃, 10℃, 15℃, 20℃)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점차 사멸하는 경향을 띄었으며 개발된 모델의 적합성 검증결과 RMSE값이 0에 가까워 개발된 모델이 우렁쉥이에서 병원성 비브리오 균의 균주 변화를 묘사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섭취자 비율 및 섭취량은 0.26% 및 65.13 g으로 나타났으며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모델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RISK Fitting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해도를 추정한 결과, 우렁쉥이를 섭취하였을 경우 1일 1인에게서의 V. vulnificus로 인한 식중독 발생 확률은 평균 2.66×10-15, V. cholerae로 인한 식중독 발생 확률은 평균 1.02×10-12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민감도 분석결과 섭취자 비율이 위해도에 가장 큰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당 연구결과는 국내 우렁쉥이 유통과정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대한 안전한 수산물을 생산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위해 평가 결과는 국내 수산물에서 V. vulnificus와 V. cholerae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Diversity of Multi-drug Resistance Profiles in Tetracycline-Resistant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Coastal Sediments and Seawater

  • Neela Farzana Ashrafi;Nonaka Lisa;Suzuki Sator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64-68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ulti-drug resistance profiles of the tetracycline (TC) resistant genus Vibrio to determine its susceptibility to two ${\beta}-lactams$, ampicillin (ABPC), and mecillinam (MPC), as well as to macrolide, erythromycin (EM). The results showed various patterns of resistance among strains that were isolated from very close geographical areas during the same year, suggesting diverse patterns of drug resistance in environmental bacteria from this area. In addition, the cross-resistance patterns suggested that the resistance determinants among Vibrio spp. are acquired differently within the sediment and seawater environments.

In vitro and in vivo antibacterial activities of root extract of tissue cultured Pluchea indica (L.) Less.

  • Pramanik, Kartick Chandra;Chatterjee, Tapan Kumar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3호
    • /
    • pp.295-301
    • /
    • 2008
  • The methanolic root extract of tissue cultured Pluchea indica (L.) Less. was tested for its antibacterial potentiality against 102 different strains of bacteria belonging to both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groups. The bacteria c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ir decreasing order of sensitivity as follows: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cholerae, Bacillus spp. Vibrio parahaemolyticus, shigellae,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The extract was found to be bacteriostatic in natur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NCTC 74. When administered to Swiss strain of white mice at the doses of 0.5 and 1.0 mg/kg body weight, the extract could significantly protect the animals challenged with 50 MLD of S. typhimurium NCTC 74. According to the chi-square test, the in vivo data is highly significant (P < 0.001).

Antimicrobial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prepared under ultrafiltration membrane bio-reactor, against hygienic bacteria of Vibrio spp.

  • Jeon, You-Jin;Heo, Moon-Soo;Lee, Ki-Wan;Ha, Jin-Hwan;Kim, Soo-Hyun;Yang, Byung-Gyoo;Kim, Se-Kw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47-148
    • /
    • 2001
  • Many people living in Asia countries, particularly Korea, Japan and China, have consumed very widely fresh seafood products, such as shrimps, oysters, mussels and other marine invertebrates and fishes, without any heating or cooking. A variety of Vibrio spp., including V. parahaemolyticus, V. cholera. V. vulnificus, and V. fluvialis, lives in these seafoods and cause great problems associated with human disease. A strong antimicrobial agent to effectively inhibit the growth of these pathogenic bacteria in in vivo or in vitro is urgently need for preventing fish and human diseases.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