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species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초

물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항미생물 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l-Kimchi)

  • 김선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3-266
    • /
    • 2005
  • 전남 목포시의 각 가정에서 담근 물김치에서 총 24균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 유산균 중 5균주가 인공 위액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하였고, 특히 물김치로부터 동정된 유산균 MUL-2, MUL-4, MUL-18은 인공위액에서 3시간 배양 후에도 초기 생균수에 비해 변화가 거의 없어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분리 유산균은 병원성 미생물인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Staphyr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Sa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뚜렷한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었다.

택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lismatis Rhizoma Extract)

  • 서권일;조영숙;박정로;이성태;박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24-528
    • /
    • 2000
  • 택사(Alismatis Rhizoma)는 중국에서 많이 생산되고, 우리나라에서도 그 생산량의 50%이상이 전남 순천지방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옛부터 생약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택사분말은 무좀에 도포약으로 쓰이고 있어 택사에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따른 택사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의한 택사 추출물의 항균 test결과 물추출물에서는 거의 모든 시험균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나, 메탄올 및 에탄올 추출에서는 그 활성이 작게 나타났으며, 시험균주중 Vibrio parahaemolyticus균에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의 조사에서 택사 물추출물 100$\mu{l}$첨가시 메탄올 및 에탄올 추출물은 항균효과 나타나지 않았고, 물추출물은 효과가 나타났으나 0.1% BHT첨가시 보다는 그 효과가 적었다.

  • PDF

천수만 해역 세균 군집의 수리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in Cheonsu bay)

  • 정현미;김명운;이건형;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5-271
    • /
    • 1989
  • 서해안의 대표적 내만인 천수만 해역에서 4계절간 분리한 세균들을 대상으로 수리학적 분류를 설시하였다. 총 48가지의 형태학적, 생리적, 생화학적 실험 결과 분리된 계절에 따라 온도에 대한 서로 다른 적응 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다양한 환경변화에 높은 생존 능력을 보여주였다. 각 세균을 동정한 결과 Enterobacteriaceae, Aeromonas Pseudomonas와 Vibrio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봄 가을에 Aeromonas가, 여름 및 겨울에는 각각 Pseudom monas 와 Enterobacteriaceae가 제l우점종임이 발견되었다 Cluster analysis 결과 젠체 세규 군집은 75%의 유사도 수1 에서 총 29개의 phenetic group으로 나뉘어졌으며 각 group별로 계절적 구분이 뚜렷하였다. 전체적으로 계절에 놔른 서로 다른 생리적 특성과 종 구성이 전반적인 생태계에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근해와 염전에서 분리한 색소 생성 호염성 세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Pigment-Producing Halophilic Bacteria Isolated from Coastal Seawater and Solar Saltern in Korea)

  • 용해영;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2-306
    • /
    • 2004
  • 한국 근해와 염전으로부터 40 균주의 색소 생성 호염세균을 분리하여, 16S rDNA PCR-RELP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분리된 호염성 색소 생성 세균들은 Pseudoalteromonas, Photobacterium, Vibrio, Halobavillus, Bacillus, Paracoccus, Salinicoccus, Tenacibaculum, Flavobacterium의 다양한 속의 세균 종이었다. 해양에서 분리한 색소생성 호염 세균의 $80\%$ 이상이 그람음성인 Pseudoalteromonas 속이었으며, 염전에서 분리한 세균의 대부분은 그람양성의 Halobavillus속 세균이었다. 또한 Salinicoccus 속에 속하는 신종 가능성이 있는 균주 KK7을 분리하였다.

Antimicrobial Effects of Chemical Disinfectants on Fish Pathogenic Bacteria

  • Kim, Seok-Ryel;Park, Kyung-Hee;Kim, Du-Woon;Jung, Sung-Ju;Kang, So-Yong;Oh, Myu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971-975
    • /
    • 2008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tential disinfection efficiencies of 10 compounds by determining their antimicrobial capacity and ichthyotoxicit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Vibrio sp., Edwa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and Staphylococcus sp. were tested using 10 different disinfectants;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 chlorine dioxide, povidon iodine, formaldehyde, glutaraldehyd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QACs),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DDAC), ortho-dichlorobenzen, and copper sulfate. Chlorine dioxide ($ClO_2$) containing 5% $ClO_2$ and copper sulfate had no effects on bactericidal activity, while the other disinfectants resulted in 99.99%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4 strains of fish pathogenic bacteria. The ichthyotoxicity of the 10 disinfectants was investigated using 3 kinds of fish species;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pachycephalus), and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_{50}$) values of the 10 disinfectants were estimated to determine toxicity ranges of the doses within 24 hr. Among test disinfectant solutions, hydrogen peroxide showed the highest $LC_50$ in flounder (201.3), rockfish (269.7), and black sea bream (139.3 ppm). DDAC revealed the lowest $LC_{50}$ in flounder (2.1), rockfish (1.0), and black sea bream (1.5 ppm). These results suggest that DDA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glutaraldehyde, and sodium hypochlorite are effective disinfectants for fish and bacterial species examined in this study.

해양미생물과 식물플랑크톤의 상호관계 -1. 수영만의 해양세균과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간의 상호관계- (Studies on Relationships between Marine Bacteria and Phytoplankton in Suyeong Bay -1. On Relationshops of Dominant Species between Marine Bacteria and Phytoplankton-)

  • 김동원;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6-457
    • /
    • 1993
  • 1992년 1월부터 8월까지 해양세균과 식물플랑크톤의 상호관계를 알기 위해 미생물과 식물플랑크톤량 및 종의 분포를 조사하고 실험실에서의 세균종가 규조류인 Chaetoceros spp.의 배양에 의한 세균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 전체 조사기간에 출현한 세균상증 Pseudomonas spp.가 $32.3\%$로 가장 우점했으며, bloom이 일어난 5월에 출현한 세균 중 Acinetobacter calcoaceticus와 Bacillus subtilis가 $51\%$로 우점했으며, 그 외에 Vibrio spp., Pseudomonas vesicularis가 주로 분리되었다. 2. 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은 5월에 $3.3{\times}10^6cell/l$로 bloom을 형성했다. 우점종은 Chaetoceros spp.($62\%$)로 나타났으며 6월과 8월에 걸쳐 편모조류인 Prorocentrum triestinum과 Katodinum spp., Ceratium spp.가 $7.4{\times}10^3{\sim}3.2{\times}10^4$세포/l로 나타났다. 3. L1 broth의 농도에 따른 Pseudomonas vesicularis, Bacillus subtills, Acinetobacter calcoaceticus, Vibrio sp.의 성장을 조사한 결과 P. vesicularis는 L1 broth의 농도 증가할수록 성장이 느려지며 반대로 다른 균종은 L1 broth의 농도 증가와 함께 성장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Chaetoceros spp.의 증가가 P. vesicularis의 성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CR Kit와 선택배지를 이용한 계란의 병원성세균 검출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PCR Kit and a Selective Medium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in Eggs)

  • 김동호;윤혜정;송현파;임상용;조민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65-970
    • /
    • 2009
  • 유통중인 계란의병원성균 오염상태를 시판되는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PCR) kit로 검사한 결과, 총 90개의 검사시료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검출된 계란시료는 30개로,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3.3% 수준이었다.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검출되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Y. enterocolitica는 16개(17.8%), L. monocytogenes 15개(16.7%), St. aureus 12개(13.3%), E. coli O157:H7 4개(4.4%)의 검출빈도를 보였다. 한편, 선택배지를 이용한 viable cell count 방법에서는 27개의 시료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어 검사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약 30.0% 수준이였으며, 미생물별 검출 빈도는 B. cereus가 17개 시료(18.9%)에서 14개(15.6%) 시료로, Y. enterocolitica는 16개(17.8%)에서 12개(13.3%)로, L. monocytogenes는 15개(16.7%)에서 13개(14.4%)로, St. aureus는 12개(13.3%)에서 10개(11.1%)로 감소하였으며, E. coli O157:H7은 두 가지 검출방법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출 대상 미생물 9종 가운데 Campylobacter jejun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pp., 및 Shigella spp.는 두 방법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CR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검출 방법은 viable cell count 방법보다 감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주 연안의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에서 분리된 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및 군집 구조 분석 (Phylogenetic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icrobiome Isolated from Sargassum Horneri off the Jeju Island Coast)

  • 문경미;박소현;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79-1185
    • /
    • 2018
  • 최근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제주의 해안가와 해변, 연근해 양식장 등 매년 대량으로 속출되어 인근 양식업자 및 주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인근 연안으로 흘러 들어온 괭생이 모자반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의 다양성을 탐색하고 동정을 통한 미생물의 기능을 파악함으로써 생태학적 문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Proteobacteria는 분리 된 균주 중 88%를 차지한 우점문으로 ${\alpha}-proteobacteria$강은 6속 10종으로 Pseudorhodobacter속이 40%를 차지하고 Paracoccus속 20%, Rhizobium, Albirhodobacter, Skermanella 및 Novosphingobium 속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beta}-proteobactera$강은 5속 10종으로 Hydrogenophaga속이 50%, Azoarcus 20%, 나머지 Oxalicibacterium, Duganella, Xenophilus속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gamma}-proteobacteria$강은 13속 57종으로 Proteobacteria문에서 74%로 우점강을 차지했고, Shewanella는 23%, Pseudomonas속 12%, Cobetia 19%, Rahnella, Vibrio 및 Serratia속은 4%, 나머지 Rheinheimera, Raoultella, Pantoea, Acinetobacter, Moraxella 및 Psychrobacter속은 2%를 차지했다. Actinobacteria는 1속 2종으로 Gordonia와 Nocardioides속이 각각 50%를 나타냈다. Bacteroidetes문은 3속 5종으로 Lacihabitans, Mariniflexile속은 33%, 나머지 Dyadobacter, Cellulophaga와 Ferruginibacter속은 11%를 차지했다.

생물학작용제 검출 키트 개발 및 성능시험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Biological Agent Detection Kit)

  • 조혜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75-580
    • /
    • 2019
  • In biological warfa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biological agents for proper treatment. We focused on developing a real-time RT-PCR kit that can detect multiple species of biological agents. AccuPower(R) Biothreat Real-Time RT-PCR Kit(v3.0) could detect Bacillus anthracis, Yersinia pestis, Vibrio cholerae, Francisella tularensis, Salmonella typhi, Rickettsia prowazekii, Variola virus, Hantaan virus, Yellow fever virus, Brucella spp., Shigella dysenteriae in a single re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it was verified to be able to detect at least 0.005 ng of nucleotide and 10,000 CFU/ml of bacteria. Therefore, the k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kit for 11 species of biological agents within 2 hours.

몇 가지 천연 향신료 정유의 Vibrio속 균주들에 대한 항균효과 및 그 휘발성 성분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Essential Oils from Various Spices against Vibrio Species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 유미지;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8-443
    • /
    • 2006
  • 여름철 식중독의 원인균인 Vibrio속 균주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자 휘발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생강 등 6종의 정유에 대해 항균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정유의 휘발성 성분을 GC와 GC-Ma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Vibrio균에 대해 천연 생강 정유를 처리 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22.5-85.7%의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주요 휘발성 성분은 ${\beta}-bisabolene$(35.19%, peak area)와 ${\beta}-sesquiphellandrene$(12.22%)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겨자의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parahaemolyticus에 1,000 ppm 처리 시 100%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고, V. vulnificus는 증식억제율이 V. parahaemolyticus 보다 50% 정도 낮게 나타나므로 V. vulnificus가 V. parahaemolyticus 보다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 (92.55%)와 4-isothiocyanato-1-butene(0.53%)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마늘 정유를 1,000 ppm 처리하였을 때 증식억제율은 V. parahaemolyticus 22.8%, V. vulnificus 01 14.6%, V. vulnificus 02 32.9%로 나타났고,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dimethyl sulfide (49.39%)와 methyl 2-propenyl sulfide(10.09%) 등으로 확인되었다. Vibrio균에 대해 정향의 싹과 잎 및 전체의 천연 정유를 처리하였을 경우 V. vulnificus 02에 처리 시 증식억제율이 60.6-80.3%로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 생강, 겨자, 마늘 정유에 대하여 내성이 다소 강했던 V. vulnificus 02에는 정향의 싹 및 잎 정유가 증식억제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정향 싹의 정유는 eugenol(83.33%)와 ${\beta}-caryophyllene$(7.47%), 정향 잎의 정유는 eugenol(87.46%)과 ${\beta}-caryophyllene$(10.03%), 정향 전체의 정유는 eugenol(86.04%)과 ${\beta}-caryophyllene$(9.71%) 등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생강, 겨자, 마늘 및 정향 등의 휘발성 정유는 Vibrio속 균주에 대해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