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ordalii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양식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치어의 대량폐사 원인인 비브리오병에 관하여 (Vibro ordalii, the causative agent of massive mortality in cultured rockfish(Sebastes schlegeli) larvae)

  • 박성우;김영길;최동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5
    • /
    • 1996
  • 1995년과 1996년 충남의 조피볼락 종묘생산장에서 발생한 대량폐사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병어로 부터 분리된 원인균은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의해 Vibrio ordalii로 동정되었다. 당년생과 일년생 조피볼락에 대한 병원성 조사를 위하여 수온 $18^{\circ}C$$25^{\circ}C$에서의 감염실험을 실시한 결과 $25^{\circ}C$의 일년생 시험어에 비해 $18^{\circ}C$의 당년생 치어가 훨씬 높은 비율로 감염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어장에서의 질병발생예를 포함한 현장조사 결과와 일치하고 있었다. 병어의 병리조직학적 관찰결과 아가미는 2차새변과 뇌의 모세혈관의 확장, 호흡상피의 박리, 간실질의 위축, 신장의 괴사가 관찰되었고 소화관계는 뚜렷한 병변이 없었다.

  • PDF

어병(魚病) 세균(細菌)에 대한 쑥 정유(精油)의 항균력(抗菌力) 검색 (Antimicrobial activity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ssential oil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 김영길;노범진;이근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17
    • /
    • 1994
  • 어병 세균에 대해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추출물인 정유의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Aeromonas hydrophila, Aeromonas salmonicida, Aeromonas sorbia, Edwardsiella tarda 와 Streptococcus sp. (yellowtail)는 1,000~2,000 ppm 에서 증식이 억제되었다. 즉 억제 농도는 A.salmonicida 가 1,000 ppm A.hydrophila, A. sorbia, E. tarda 와 Streptococcus sp. (yellowtail)는 1,500 ppm 이었다. 그러나 Vibrio anguillarum, Vibrio ordalii, Edwardsiella ictaluri와 Streptococcus sp. (SF-1)는 100~2,000 ppm 농도에서 현저한 억제 효과는 없었다.

  • PDF

In vivo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병원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and Vibrios on pathogenicity in vivo)

  • 권문경;조병열;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4
    • /
    • 2009
  • 넙치 병어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spp.(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 and V. ordalii)를 분리한 후 in vivo에서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분리균을 인위감염 한 결과, 폐사율, 혈청의 ALT, AST, cortisol 농도가 vibrio 감염구에 비하여 P. damselae 감염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P. damselae 감염구에서 비특이적 면역반응인 식세포의 nitroblue tetrazolium(NBT) 반응과 혈청의 라이소자임 활성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P. damselae는 특이적 효소인 damselysin의 분비로 높은 용혈능과 phospholipase 활성, 감염 시 내부 장기의 손상에 의한 ALT와 AST 상승, cortisol 농도의 증가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가 높은 병원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II. 비브리오병에 관하여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Silurus asotus) in Korea II. Pathology on vibriosis)

  • 김영길;이근광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1993
  • 발병한 양식 메기로 부터 vibrio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물학적 생화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V. ordalii로 동정 되었다. 분리균은 glucose, lactose, maltose 와 salicine으로 부터 산을 생산 하였으며, arabinose, galactose, inocitol과 xylos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분리된 V. ordalii를 각각 KL-1, KL-2라 명명하였다. KL-l과 KL-2는 생리학적 특성이 유사하였다. 즉, pH 5-10, NaCl 0%~6.0%에서 발육하였으며, 또한 NaCl 7.0%, pH 10이상 그리고 pH5이하에서는 발육하지 않았다. KL-1 균주를 건강한 메기에 인공 감염시킨 결과 양식장에서 발병된 증상과 동일한 출혈성 궤양이 유발되었다. 감염 24시간 후에 나타난 흙은 반점은 접종 부위 주변에서 부터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감염 120시간 후부터는 배지느러미 부위까지 궤양이 확장되었다. 각각 온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25^{\circ}C$에서 폐사율이 70%로 나타났다. 약제 감수성 시험에서 KL-1 과 KL-2 균주는 모두 GM, K, N, S와 SxT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CF 및 $L_2$와 VA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In vitro에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병원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and Vibrios on pathogenicity in vitro)

  • 권문경;김명석;조병열;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81
    • /
    • 2007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병어에서 분리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와 Vibrio spp.(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 and V. ordalii)의 병원성을 in vitro에서 조사하였다. Extracellular products (ECPs)의 성상은 효소 활성, 양과 넙치 적혈구에 대한 용혈능과 cell-line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세균의 internalization에서 signal transduction pathways를 signal transduction inhibito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P. damselae는 phospholipase 활성, 넙치 적혈구에 대한 용혈능,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리된 vibrios 균주에 비하여 internalization에서 다양한 경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활성은 P. damselae의 병원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eta$-Glucan 투여에 의한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세균성 질병에 대한 저항성 향상 (Enhancement of bacterial disease resistance in rockish(Sebastes schlegeli) by $\beta$-glucan administration)

  • 박성우;김영길;최동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2
    • /
    • 1997
  • $\beta$-Glucan을 경구 혹은 침지투여하여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비특이적 방어기작을 향상시켜 세균성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면역자극제로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eta$-Glucan을 사료에 섞어 경구투여하거나 혹은 사육수에 현탁시켜 침지투여한 후 Vibrio ordalii,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Edwardsiella tarda를 주사하여 인위감염으로 $\beta$-glucan의 효능을 시험하였다. V. ordalii를 주사한 결과, 1% $\beta$-glucan을 30일 동안 경구투여한 시험구는 25%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beta$-glucan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3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S. epidermidis를 주사한 결과, 20 및 30일 경구투여구는 95%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나 E. tarda의 인위감염시 전혀 방어효과가 없었다. V. ordalii 사균혼합구 혹은 단독 침지 시험구는 주사 후 10일 동안 전혀 방어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beta$-glucan의 경구투여는 S. epidermidis와 V. ordalii에 효과적이나 E. tarda에는 방어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브리오속 균주들에서외 세포의 효소의 분포 (Distribu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from Various Vibrio Species)

  • 차재호;김윤희;정초록;김수광;양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2-227
    • /
    • 2001
  • The members of the genus Vibrio include harmless aquatic strain as well as strains capable of causing infections in human and fish. Pathogenic mechanisms are only understood for Vibrio cholerae O1 and O139 and not for the majority of Vibrio species. Twelve clinical and nonclinical strains were examined by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for the importance of extracellular enzymes as a virulence determinant of Vibrio species. In vivo cytotoxicity assay was performed by injecting approximately $10^{8}$ cells/mL into mice (BALB/c). V. harvyi and V. vulnificus showed 100% lethality within 3hr after bacterial injection. V. fluvialis and four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showed 50% lethality within 4hr. V. mimicus, V. alginolyticus and V. furnissii revealed 30% lethality within 9hr. Nonclinical strains, V. campbellii and V. ordalii, did not show any lethality. In vitro protease and hemolytic activities were also good indicators for clinical and nonclinical strains of Vibrio species. The clinical strains showed much higher activities than nonclinical strains. The activity of some clinical strains of re-isolates was evidently increased. Most clinical strains had $\beta$ hemolytic activit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valent distribu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s in pathogenic Vibrio sp. implies their importance as a virulence determinant.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병원성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의 분리 (Isolation of pathogenic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권문경;박상언;방종득;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5-214
    • /
    • 2005
  • 최근 2년간 동해안 지역 넙치 양식장의 양식 넙치에 피해를 일으키는 P. damselae 균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P. damselae의 16s rRNA 염기 서열은 P. damselae subsp. damselae ATCC 33539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는 Pedersen et al.(1997)의 biotype과 비교한 결과, biotype No 8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P. damselae subsp. damselae ATCC 33539의 LPS와 동일한 단백질 패턴을 나타내었다. 넙치의 병어로부터 P. damselae와 Vibrio 속 세균의 감염 상태를 조사한 결과, P. damselae가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V. anguillarum, V. splendidus, V. harveyi와 V. ordalii순으로 감염율이 나타났다.

식물 추출 정유가 어류의 병인체에 미치는 항미생물 효과 (Effect of Plant Extracted Essential Oil on Antimicrobial Activity for Fish Phathogens)

  • 이근광;이정열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1-87
    • /
    • 2001
  •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plan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Thuja orientalis and Chamaecyparis obtusa were tested against selected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of fish. At the concentrations above 500ppm, ingibitory effect of the oil of A. princeps var. orientalis was at its peak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ATCC 14715, A. hydrophila CF-2, A. salmonicida ATCC 14174 and A. salmonicida EL-1 but the bacteria Edwardsiella tarda KBF-1, Vibrio anguillarum ATCC19264, V. ordalii ATCC33509 and Streptococcus sp. were insensitive. Likewise, the oil extract of T. orientalis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V. ordalii ATCC33509, E. tarda ECK-1, and E. tarda KBF-1 at 300ppm; however the activity was highest at 500ppm or A. hydrophila ATCC14715, A. hydrophila CF-2, A. salomonicida ATCC14174, A. salmonicida EL-1 and Streptococcus sp. SF-1. With increasing dose of C. obtusa oil, the inhibitory activity became more and more effective against A. hydrophila CF-2, A. salomonicida ATCC14174, E. tarda ECK-1 and Streptococcus sp. SF-1, but A. hydrophila ATCC14174, A. salmonicida EL-1, E. tarda KBF-1, V. anguillarum ATCC19264, V. ardalii ATCC33509 and gram positive bacteria (Streptococcus sp.) were somewhat resistant. A. princeps var. orientalis, T. orientalis and C. obtusa were also tested against Saprolegnia sp. at the oil concentrations of 10, 100, 500, 1,000, 1,500 and 2,000ppm.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oil on the inhibit the mycelial growth of Saprolegnia sp. at 10ppm and completely inhibited at over 500ppm.

  • PDF

식물 40종 고압용매 추출물의 통합적 항산화 능력 및 항균 활성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 강미애;김미보;김지훈;고영환;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49-1256
    • /
    • 2010
  • 제주, 전남 고흥, 경북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자원 4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식품산업에 응용할 천연소재를 탐색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짚신나물이 174.4 mg GAE/g로 자생식물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물참나무, 서어나무, 붉나무가 각각 116.9, 113.3, 108.2 mg GAE/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고형분 함량에 대한 총 페놀 함량의 비율은 짚신나물이 72.6%로 가장 높았고, 서어나무(47.3%), 물참나무(46.4%), 자금우(40.2%), 바늘꽃(40.1%)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마가목이 5.81 m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나도송이풀, 붉나무, 물참나무, 서어나무가 각각 3.96, 3.63, 3.63, 3.34 mmol ascorbic acid equivalents/g를 나타내었다.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서어나무가 8.51 mmol Trolox equivalents/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세잎이질풀, 물참나무, 바늘꽃, 섬기린초가 각각 6.57, 5.68, 3.85, 3.83, 3.69 mmol Trolox equivalents/g를 나타내었다. 국내 자생식물 40종 추출물에 대하여 4종의 양식 넙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9종 즉, 바늘꽃, 독활, 짚신나물, 물참나무, 나도송이풀, 세잎이질풀, 서어나무, 섬기린초, 섬바디 만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짚신나물은 S. iniae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독활, 나도송이풀, 섬바디는 S. parauberis과 S. iniae에 대하여, 물참나무, 세잎이질풀, 서어나무는 V. ordalii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