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mimicu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초

Vibrio cholerae non-O1과 Vibrio mimicus의 생잔에 대한 염도와 온도의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Vibrio cholerae non-O1 and Vibrio mimicus)

  • 장수현;송대진;양송주;신일식;김영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0-66
    • /
    • 1995
  • 새로운 식중독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수권에서 잘 검출된다고 알려져 있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를 대상으로 민물, 기수 및 해수에서 염도와 온도의 변화에 따른 균수의 증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민물에서 V. cholerae non-O1은 $26\pm1^{\circ}C$보다 4와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으며 V. mimius는 4와 $26\pm1^{\circ}C$보다 $15^{\circ}C$에서 생잔기간이 길었다. 2. 기수에서는 두 균주 모두 15, 4, $26\pm1^{\circ}C$으로 생잔기간이 길었다. 3. 해수에서는 두 균주 공히 온도가 높을수록 생잔기간이 짧았으며, $4^{\circ}C$에서 실험조건 중 생잔기간이 가장 길었다. 4. 민물에서는 V. mimicus보다 V. cholerae non-O1의 안정성이 높았고, 기수에서는 V. cholerae non-O1보다 V. mimicus의 안정성이 높았으며 해수에서는 두 균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염도와 온도의 변화는 V. cholerae non-O1과 V. mimicus의 생잔에 중요한 인자이다.

  • PDF

비브리오 속의 단백질 분해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olytic Activities of Pathogenic Vibrio sp.)

  • 양지영;한종흔;이재우;김수광;차재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3-175
    • /
    • 2000
  • V. parahaemolyticus 종류들이 gelatin분해 확인 실험에서 큰 clear zone을 형성했고, V. alginolyticus 분리균주도 V. parahaemolyticus와 비슷한 clear zone을 형성했다. V. fluvialis KCTC 2473은 clear zone을 형성하지 못했다. Hemolytic activity측정 실험에서는 V. parahaemolyticus 분리균주(2)가 가장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V. parahaemolyticus ATCC 17802, V. parahaemolyticus 분리균주(1)과 V. mimicus ATCC 33653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다른 비브리오균은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Azocasein분해 활성 실험에서는 V. parahaemolyticus ATCC 17802, 분리균주(1), 분리균주(2)는 200EU/m1전후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는 110EU/ml전후로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PDF

지방산 조성에 의한 vibrio cholerae non-O1의 화학분류학적 관계 (The Chemotoxonoic Relationship of Vibrio cholerae non-O1 by Fatty Acid Compositions)

  • 성희경;이원재;장동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4
    • /
    • 1998
  • Vibrio cholerae non-O1 49균주와 V. Vibrio cholerae non-O1, V. mimicus, V. vulnificus와 V. parahaemolyticus의 균체 지방산(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을 gas liquid chromatogrphy로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여 Vibrio 종과 V. cholerae의 혈청형별 유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출된 지방산은 모두 41종이었고 분포량이 많은 것은 16:0, 16:1 cis 9, 18:1 trans 9/16/cis 11과 15:0 iso 2 OH/16:1 cis 9였다. 검출된 지방산 중에서 35종은 V. cholerae를 동정하는데 주요한 인자로 작용되었다 지방산분포를 UPGMA(비가중수리분석)으로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V. cholerae non-O!은 V. cholerae O1보다 V. choleare non-O1 중에서 O2, O5, O8, O10, O14, O27, O37, O39, O45와 O69의 총 10종류 혈청을 대상으로 지방산 조성에 의한 유사성을 검토한 결과 유사도가 92% 이상 수준에서 7개의 아종을 형성하여 혈청형과 지방산 조성간에는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V. cholerae non-O1의 동정 및 역학적인 조사시 지방산 분석은 유용하게 활용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metalloprotease from Vibro mimicus and its hemagglutinating activity

  • Kong, In-Soo;Shin, Seung-Yeol;Lee, Jong-Hee;Kim, Jin-Man;Park, Young-Seo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1-162
    • /
    • 2000
  • Metalloprotease produced in Vibrio mimicus, in which zinc is an essential meta ion for catalytic activity, degrades a variety of biologically important substances including human collagen, several complement components, and immunoglobulin. For gene overexpression and convenient purification, VMC gene was constructed in pET22b(+) expression vector by using of PCR. (omitted)

  • PDF

식초와 젖산이 생선회 식중독 유래 병원성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negar and Lactic Acid on the Survival of Pathogens Causing Food Poisoning of Sliced Raw Fish Meat)

  • 김영만;김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9-675
    • /
    • 2002
  • 저가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하여 산업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할 때 생선회를 원인식으로 하는 식중독 세균의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생선회 소스의 원료인 유기산을 대상으로 생선회 식중독 유발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식초(총산도 6.0-7.0%)와 젖산(총산도 8.0-9.0%)은 낮은 농도에서도 Vibrio속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Vibrio vulnificus(V. vulnificus), V. cholerae non-O1,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순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S.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E. coli O157:H7)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16$\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18$\mu\textrm{g}$/$m\ell$, V. mimicus 16$\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12$\mu\textrm{g}$/$m\ell$, S. typhimurium 26$\mu\textrm{g}$/$m\ell$, E. coli O157:H7 20$\mu\textrm{g}$/$m\ell$를 나타내었고,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0$\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25$\mu\textrm{g}$/$m\ell$, V. mimicus 25$\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25$\mu\textrm{g}$/$m\ell$, S. typhimurium 40$\mu\textrm{g}$/$m\ell$, E. coli O157:H7 35$\mu\textrm{g}$/$m\ell$를 나타내었다. 순간 살균력 (10초)은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8%, V. cholerae non-O1 14%, V. mimicus 10%, V. parahaemolyticus 4%, E. coli O157:H7 48%에서 증식되지 않았지만 S. typhimurium은 50%에서도 집락이 검출되었다.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 V. cholerae non-O1 3%, V. mimicus 4%, V. parahaemolyticus 3%, S. typhimurium 14%, E. coli O157:H7 17%에서 증식되지 않았다. 식초와 젖산은 낮은 농도에서 생선회 식중독 유발에 주 원인균이 되는 Vibrio 속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S.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생육은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새우에서 분리된 Vibrio species 동정을 위한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ITEK 2 System and Species-specific PCR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Shrimp)

  • 이정민;이원준;김민주;조용선;이진성;이현진;윤상우;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1-288
    • /
    • 2015
  • Vibrio 속에 속한 세균에 의한 식중독은 오염된 해산물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산물을 날것으로 섭취하는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빠르고 정확한 Vibrio 검출기술은 식품위생 및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배지를 이용한 동정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생화학적 방법인 Vitek 2 system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species-specific PCR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동정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Vibrio 표준균주와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에 의하여 Vibrio 속으로 확인된 24개의 분리균주가 이용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을 이용한 경우,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된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2개(2/5, 4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5개(15/24, 62.5%) 등의 총 17개 균주(17/29, 58.6%)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한 경우, 위의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5개(5/5, 10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6개(16/24, 66.7%) 등의 총 21개 균주(21/29, 72.5%)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하여 동정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표준균주 중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등의 2개(2/5, 40%), 새우분리균주 24개 중에서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7개 (7/24, 29.2%) 등의 총 9개(9/29, 31%) 균주들에 대한 동정결과만이 일치하였다.

기수에서 분리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미분류 Vibrio sp.의 세균학적 특징 -2. Vibrio mimicus와 유사한 Vibrio sp. E10의 세균학적 특성-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Vibrio sp., Hemolysin Producer Isolated from Brackish Water -2.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sp. E10 Similar to Vibrio mimicus-)

  • 김영만;유홍식;오희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45-550
    • /
    • 2002
  • 금강 하구에서 분리한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V. mimicus와 유사하지만 분류되지 않은 기수성 Vibrio속으로 추정되는 균주 Vibrio sp. E10 (V. kunsan)의 세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생화학적 시험과 전자현미경 상의 형태에서는 V. mimicus와 유사하였지만 TCBS 배지 상의 colony 형태는 V. vulnifirus와 유사하였으므로 V. mimicus와는 차이를 보였다. Human과 sheep blood agar에서의 뚜렷한 용혈환과 rat에 피부혈관투과항진 작용으로 용혈독성이 있었으며, mouse에 대한 치사독성이 있었으므로 병원성이 확인되었다. 생육 가능한 환경 조건은 염도 0$\~$$4.5\%$, pH 6.2$\~$9.2, 온도 $14\~42^{\circ}C$이 었다. Vibrio sp. E10의 16S rDNA 염기서열은 10여종의 V. cholerae와 1종의 Vibrio mimicus의 염기서열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유사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세균 자동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 genus는 Vibrio 속으로 동정되었으나 species는 일치하는 균종이 없었다. 알려진 Vi-brio속 중에서 유사성이 높았던 V. mimicus와 비교해 볼 때 18종류의 항목이, V. cholerae와는 11종류의 항목이 다른 반응을 나타내어 미분류 균종으로 확인되었다.

PCR-RFLP에 의한 Vibrio core group을 포함한 Vibrio 종의 구분 (Differentiation of Vibrio spp. including Core Group Species by PCR-RFLP)

  • 박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5-250
    • /
    • 2012
  • Vibrio속의 core 균주(Vibrio alginolytic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포함하여 총 6 종의 Vibrio 균주(V. fluvialis, V. proteolyticus, V. vulnificus, V. mimicus)와 Grimontia (Vibrio) hollisae의 16S rDNA를 PCR 증폭하여 Alu I, Cfo I, Dde I, Hae III, Msp I, Rsa I의 6 종의 제한효소를 처리 후 R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종의 core 균주와 V. proteolyticus는 4 종의 제한효소(Cfo I, Dde I, Msp I, Rsa I)에서 동일한 제한효소 패턴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의 패턴의 조합에 의해 6 종의 Vibrio 종은 6 개의 RFLP type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Alu I의 경우, 실험된 6 종의 Vibrio속에 대하여 각기 다른 6 개의 종 특이적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제한효소 패턴에 근거하여 작성한 덴드로그램에서 Vibrio core group 균주인 V. alginolyticus 와 V. parahaemolyticus는 90% 이상의 매우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Grimontia hollisae는 실험된 모든 제한효소 패턴에서 Vibrio속 세균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RFLP type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CR-RFLP는 제한효소를 적절히 선택한다면 Vibrio 속 세균의 신속한 구분에 여전히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