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Alle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노후 경사주거지 쇠퇴지표로서의 유휴공간 발생패턴 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s the Decline Index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 정인아;우신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93-104
    • /
    • 2018
  • This study is about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s a urban decline indicator to consider a decline of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rom spatial structure perspective. For investigation based upon vacant space and the street structure, this study selects Ami Chojang-dong in Seo-gu, Busan, of which 79.7% of total area is over a gradient of $10^{\circ}$. Focused on relationship between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s and 'vertical alleys(link)' serving as main movement path of local residents in hillside residential area, the length, numbers, slopes, and use characteristic of vertical alleys were analyzed using Arc GIS 9.3 program to classify characteristic zone types of spacial structure in hillside residential area. After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are interpreted in relation with building density, vertical alleys' number length slope, the social and economic issues have been considered as well. After analyzing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this study argues that the occurrence pattern of vacant space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is rather affected by street structure system consisting of vertical alleys than the impacts of social economical issues.

부산역(釜山驛) 상점가(商店街)의 패턴(II) (Pattern of Pusan Station Shopping District(II))

  • 김원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117
    • /
    • 1999
  • 도시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면 누구나 "도시란 무엇인가?"라는 화두(話頭)가 떠오르게 편다. 그리고 끊임없이 생각을 확장시켜 갈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도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도시적인 현상, 도시의 특징, 농촌과의 차이점으로 사고(思考)를 진행시켜 갈 것이다. 또한 화두(話頭)가 무엇인지 망각하면서 계속해서 도시를 연구하고 또 분석할 것이다. 이렇게 화두(話頭)와 사고(思考)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게 되는 경우가 인간의 현상에 있어서는 그리 흔하지 않을 것이다. 도시란 오묘한 존재임에는 틀림이 없다. 도시의 내부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구조에 영향을 비치는 어떤 공간적인 원리, 나아가서 법칙이 존재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도시지리학도들이다. 우리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가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그 현상 뒤에 숨어서 그 현상을 존재하도록 하는 법칙일 것이다. 어떻게 그 법칙을 추구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진리를 찾을 수 있을까? 과연 찾을 수 있을까? 지리학에 있어서 '무엇이 어디에 있는가?'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왜, 어떻게 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러나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르는 채 '왜', '어떻게'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우리는 누적(累積)된 연구 성과의 중요성을 등한시 해서는 안된다. 선배들의 연구 업적을 간과해서도 안될 것이며, 또한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도 안될 것이다. 지리학도들은 미시적(微視的)인 공간에 적용되는 원리는 거시적(巨視的)인 공간에도 적용되며, 그 역(逆)도 성립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지역에 대한 접근이다. 부산시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CBD를 비롯한 여러 계층의 중심지(상점가)에 대한 접근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부산시 전체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지난 10여년간 단계적으로 행하여 온 연구의 한 부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산역 상점가는 부산시 내부에서는 온천장 상점가와 더불어 오히려 특수 기능 상점가의 하나이다. 이곳에 대해서 본 논문에서는 기능별 패턴의 일부, 층별 규모별 패턴, comer의 패턴, 가로별 패턴을 분석하여 부산역 상점가에 대한 접근을 완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