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al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Job Stress)

  • 오은주;김영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3-18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job stress. Methods: Subjects were 245 nurses working at 3 upper-scale general hospitals in B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e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nsist of general characteristics, verbal abuse and job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of verbal abuse level was 2.2 points and job stress level was 2.5 points.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job stress among the subjec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verbal abuse against nurses especially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job stress.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buse increases their job stress. Therefore,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are based on the case studies with coping method according to clinical careers and working areas are required to reduce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decrease their job stress.

병원 근무 중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과 정서적 반응 및 대처방안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

  • 조윤희;홍유리;이아미;김미경;이혜진;한애경;김은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0-27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and conducted from April to July 2011. One hundred and seventeen nurses with over one-year experience in general ward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 Results: The nurses' experience rate of verbal abuse during the entire period of work in hospitals was 98.3%. The majority of the nurses were verbally abused by patients (70.9%), followed by patients' relatives (65.8%), physicians (61.5%), and coworkers (58.1%). Overall negative emotional response score of nurses after verbal abuse was $38.82{\pm}8.28$.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were as follows: suppression was 74.4%, complaining of an injustice to close people, 67.5%, and ignoring, 43.6%. Conclusion: Nurses have significantly been exposed to verbal abuse while working in hospitals. Therefore, hospital managers and nurse managers are required to inform other staff and visitors in hospitals the real condition of verbal abuse against nurses and provide a safe work environment by developing the report and disposal system of verbal abuse.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in Emergency Nurses)

  • 김희준;이영진;유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unit.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07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instruments used were a verbal abuse checklist, a subscale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used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2.0 program for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Emergency nurses experienced more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than nurses in other departments, and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was low.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of these variables and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verbal abuse appeared in the order of nurses, patients & caregivers, and doctors. This means there were serious problems with communication with nurses.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verbal abu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ulture of mutual respect between nurses, medical staff, patients & caregivers. Moreover, a compassion fatigue management program is needed to reduce emotional fatigue.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buse and Mental Health in Some Operating Nurses)

  • 박부연;이경희;신지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05-1211
    • /
    • 2012
  • 이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들의 언어폭력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17일부터 31일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언어폭력경험과 간호사 요인 언어폭력 유형이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언어폭력은 수술실 간호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그것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언어폭력 경험 및 대처방안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ist)

  • 문학진;한예슬;조영식;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8-354
    • /
    • 2015
  • 본 연구는 임상 치과위생사가 경험한 언어폭력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 근무 중에 언어폭력 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 177명(61.2%)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1달간 언어폭력 경험한 경우는 없음이 57.1%, 1회 15.7%, 2회 13.6%, 3회 이상이 13.6%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의 가해자는 환자가 67.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의사 21.1%, 선임 또는 동료 치과위생사 10.0%, 타 직종 직원 1.0% 순이었다. 치과위생사가 자각한 언어폭력의 이유에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나에게 화풀이 한다'가 17.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환자나 보호자가 질병과 관련된 신체적 정서적 고통을 나에게 화풀이 한다' 14.1%, '치과위생사를 치료자가 아닌 아랫사람으로 인식한다' 12.6%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가 자각한 언어폭력의 유형에는 '반말을 한다'가 21.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큰 소리를 지른다', 16.3%, '비아냥거리는 말을 한다' 1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을 경험한 응답자의 대처는 '참는다' 12.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무시한다' 8.2%로 소극적 대처 양상이 많았다. 근무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임상경력, 주 업무, 직위에 따른 언어폭력 경험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 경험과 최근 1달간 언어폭력경험 횟수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직업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직업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위생사의 언어폭력의 가해자는 대부분 환자이며, 언어폭력 내용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불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화풀이하는 등 치과위생사가 경험하고 있는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례중심별 언어폭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언어폭력 방지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과 내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하여 안전하고 협력적인 치과 근무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직무 스트레스,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xperiencing Verbal Abuse, Job Stress and Burnou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Hemodialysis Units)

  • 정선애;박경연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9-19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modialysis unit nurses' experience of verbal abuse,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identify the explained variances for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a probability sampling. The data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231 hemodialysis unit nurses in seven cities in Korea and were analyzed with SPSS 20.0. Results: The mean scores were $2.45{\pm}0.62$ (out of 5) for experience of verbal abuse, $2.40{\pm}0.26$ (out of 4) for job stress, $2.31{\pm}0.48$ (out of 4) for burnout, and $3.16{\pm}0.05$ (out of 5) for turnover int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job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within the hemodialysis unit nurses.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were 'burnout' (${\beta}=.42$, p<.001) and 'job stress' (${\beta}=.17$, p=.015)which explained 42% of the variance (F=15.98, p<.001).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nurses' turnover intention, nurse managers should explore strategies to reduce nurses' burnout and job stress in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 정윤화;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91-399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61명이 참여하였고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폭력경험은 정서중심대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제중심대처는 정서중심대처,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 중심대처는 정서반응,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은 정서반응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서반응은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정서중심대처(${\beta}=.422$)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폭력경험(${\beta}=.283$)이였다. 간호대학생의 안전한 실습환경을 위해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과 효율적인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Effect of Burnout, Verbal Abuse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77-48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과 언어폭력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497명의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8월 2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지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 직위가 확인되었다(Adjusted $R^2=.45$).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소진을 낮출 수 있는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감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호관리자는 간호사를 위한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혈액투석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감정노동, 간호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rbal Abuse Experience,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tress of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 김우주;강다해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99-108
    • /
    • 2022
  • 본 연구는 혈액투석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 감정노동, 간호근무환경이 혈액투석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혈액투석 간호사 169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 Version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혈액투석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감정노동(β=.354, p<.001), 언어폭력경험(β=.255, p=.005), 간호근무환경(β=-.214, p=.003)이었다. 혈액투석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언어폭력경험과 감정노동 감소와 긍정적인 간호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고부관계에서 발생한 노인학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der Abuse in Relationships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 이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9-3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and the type of elder abuse and to examine the overall influence of abuse on abused. A sample of 117 mothers-in-law who lived together their daughters-in-law was used and 7 mothers-in-law among them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type of elder abuse between dyad which mother-in-law experienced was psychological abuse, verbal aggression and physical abuse. 2) Pychological abuse was the abuse which all elderly women experienced and verbal aggressin was the abuse which most elderly women experienced, but physical abuse was te special event which a few elderly women experienced. 3) The influence of abuse on abused and the extent of elder abuse varied with the type of their exper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