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ilatory suppor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3초

근막간극감염에 의한 패혈증 연구 (Sepsis Developed from an Odontogenic Infection)

  • 정미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26-329
    • /
    • 2011
  • Mortality associated with maxillofacial infec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the development of antibiotics, and improved oral care. However, inappropriate treatment, delayed treatment, old age, underlying systemic disease, and drug-resistant micro-organisms can potentially result in life threatening situations such as cavernous sinus thrombosis, mediastinitis, and sepsis. Sepsis is the most dangerous state with high mortality, ranging from 20~60%. The treatment of sepsis involves properly monitoring vital functions, fluid resuscitation, surgical drainage, and empirical use of high doses of antibiotics until culture results are available. Ventilatory support maybe be required as well. We encountered a 64-year-old patient who died from sepsis that developed as the result of an odontogenic infection. The initial diagnosis was right temporal, infraorbital, buccal, pterygomandibular space abscess. Despite surgical and medical supportive care, the condition progressed to sepsis and after four days the patient died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

  • PDF

급성 폐혈전색전증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 혈중 BNP의 의의 (The Prognostic Role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in Acute Pulmonary Thromboembolism)

  • 이수진;이재형;박지영;조우성;김지은;김기욱;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40-547
    • /
    • 2006
  • 연구배경: 폐혈전색전증은 혈역학적 안정성과 우심부전의 정도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우심부전을 조기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심초음파를 포함한 다양한 진단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폐혈전색전증의 예후 인자로서의 혈중 BNP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내원하여 급성 폐혈전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BNP 검사와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던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예후 예측인자로 중환자실 입실여부, 인공 환기 치료 유무, 활력징후의 안정성여부, 합병증의 동반, 사망여부, 심초음파의 폐동맥압력 값과 삼첨판막의 역류정도를 설정하여 혈중 BNP 농도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고 혈역학적 안정성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을 구분하는 BNP의 cutoff 값을 구하였다. 결 과: 활력징후의 안정성 여부, 우심실 수축기압과 삼첨판막의 역류 정도, 기계환기 시행여부, 사망여부가 혈중 BNP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활력징후 안정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사망, BNP 농도, 기계 환기 여부가 통계적 의의를 보였다. 활력징후 안정성을 기준으로 안정군과 불안정군으로 나눌때 양군의 분류를 위한 BNP 농도의 cut-off level은 377.5 pg/dl에서 가장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았다. 결 론: 혈중 BNP는 여러 예후 예측인자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 측정이 쉽고 빠른 시간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폐혈전색전증 환자의 우심부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심초음파나 폐혈관 조영술등의 검사가 어려운 경우나 이 값들을 보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용한 예후 인자로 고려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간질성 폐렴에서 조기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의 효과 (Efficacy of Early Steroid Therapy in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 이계영;지영구;김윤섭;명나혜;박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19-528
    • /
    • 2002
  • 연구배경 : 급성 호흡부전증후군(ARDS) 환자 중에서 폐생검에서 섬유증식의 조직소견을 보이고 감염의 증거가 없을 경우 부신피질호르몬 치료가 임상경과를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간질성폐렴(AIP)의 폐조직소견이 ARDS의 미만성 폐포손상과 일치하므로 감염의 증거가 없는 AIP 환자들에서 조기 부신피질호르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 법 : 1995년 5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단국대학교 병원에 입원한 AIP 환자 중에서 인공호흡치료 7일 이내의 조기에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를 발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의 효과를 진료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AIP의 진단은 ARDS의 원인으로 얄려진 원인인자 없이 발병한 ARDS 환자중에서 조직소견상 섬유종식기의 미만성 폐포손상의 소견을 보였을 때 진단하였다. 대상환자들의 병리소견, 임상소견, 그리고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에 대한 폐생리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5명(남자 3명, 여자 2명)의 AIP 환자들이 조기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를 받았다. 방법으로는 methylprednisolone, 1-2 mg/kg을 매 6시간마다 경정맥으로 투여받았다. 인공호흡 시작시기부터 부신피질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시작 시기까지의 기간은 $0.6{\pm}1.7$ 일이었으며, 인공호흡 시작시기부터 폐생검까지의 기간은 $1.8{\pm}1.4$일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폐조직소견상 섬유증식의 소견을 보였으며, 폐생검으로 인한 합병증을 일으킨 환자는 없었다. 4명(80%)의 환자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로 뚜렷한 임상소견의 호전으로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였고, 부신피질 호르몬 치료 시부터 이탈까지의 기간은 $2.8{\pm}0.4$일이었으며, 부신피질호르몬 치료 후 $PaO_2/FiO_2$ 비는 치료 첫날의 $127.4{\pm}10.0$에서 치료 7일 째 $223.8{\pm}37.6$으로 호전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20%)에서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였다. 부신피질호르몬 치료로 인한 합병증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감염증의 증거가 없는 AIP 환자에서 조기 부신피질호르몬 치료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나 대상 환자 수가 너무 적으므로 앞으로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70세이상 환자에서의 개심술 (Open Heart Surgeries in Septuagenarians.)

  • 김형수;이원용;지현근;김응중;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1호
    • /
    • pp.1017-1022
    • /
    • 1999
  • Background: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are referred for open heart surgeries(OHS). These patients are assumed to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because of compromised functional reserves in their vital organs. We reviewed the results of OHS patients who were 70 years old or older. Material and Method: Thirty six consecutive septuagenarians underwent OHS from 1995 to 1997. Operations wer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in 26 including 3 left main surgical angioplasty, valve replacement in 7, MVR+CABG in 2, and ASD closure+TAP in 1. Statistical tes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survivor group with nonsurvivor group in respect to risk factors including NYHA functional class, LVEF, emergent operation, IABP support, CPB/ACC time, ventilator time cardiac index, ICU stay and hospital stay for operative mortality. Result: Operative mortality r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re 16%(6/36) and 50%(18/36). One-year and 3-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were 76%. Nine patients(25%) had major complications including third-degree A-V block(2), respiratory failure(1), stroke(3),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3) and postoperative hemorrhage(2). The causes of death were pneumonia(1), bleeding(1), acute renal failure(1), low cardiac output(1), third-degree A-V block(1), and ventricular tachycardia(1). The univariate analysis of mortality shows that NYHA class IV, LVEF<40%, lesser values for C.I, and longer time for ventilatory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factors(p value=0.03, 0.001, 0.007, and 0.014). The emergent operation, CPB/ACC time, IABP support, ICU stay and hospital stay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We conclude that cardiac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septuagenarians with acceptable outcomes when done in patients with normal to moderately depressed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adequate functional reserves in their vital organs.

  • PDF

압력보조 환기법으로 기계호흡 이탈시 최소압력보조(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의 결정 (Determination of Minimal Pressure Support Level During Weaning from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0-387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법은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인공환기법으로 적절한 압력보조 수준이 이탈 과정에 중요하며 특히 최소압력보조 (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에서 환자의 환기 상태가 적절하면 치료자는 인공 호흡기로 부터 여탈 및 기관내 관을 발관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최소압력 보조 수준의 적용은 환기 이탈 기간의 장기화나 이탈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탈기 환자들이 최소압력보조 치의 범위를 알아보고 또한 최대 흡기유량과 총환기계 저항의 곱으로 구한 최소압력보조치의 계산값과 환자의 기관내 관 끝에서 실측한 값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도식으로 계산된 최소압력 보조 값의 임상적 유용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폐 감시기 (CP-100 pulmonary monitor, Bicore, USA)를 이용하여 부가된 호흡일을 구한 후 최소압력보조의 수준을 직접 측정하였고, 이들 중 9예에서는 또한 유도식 (peak inspiratory flow rate$\times$total ventilatory system resistance=minimal pressure support)을 이용하여 최소합력보조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16명중 14명에서 측정한 최소압력보조의 실측치는 4~12.5 cm$H_2O$로써 환자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각각 15, 21 cm$H_2O$로써 높게 측정되었으나 기관내 관을 발관 후 내강이 기도 분비물로 심한 폐쇄가 발견되었다. 실측치를 측정한 16명중 9명에서 유도식을 이용하여 최소압력 보조의 계산치를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는 평균 0.81로 실측치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관 계수는 0.88(p=0.00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 시도시 최소압력보조 수준의 결정은 유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자가 임의적으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과 집중치료실 환자의 임상적 고찰 (An Clinical Analysis on t Patients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INU])

  • 김근;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5호
    • /
    • pp.365-372
    • /
    • 1993
  • We analyzed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ICU]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7 through December 1991.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for 5 years was 2446 and 1553[63.5%] were male,893[36.5%] were female. The average age was 34.1 years old and the greatest age group was the 1-9 age group.The number of the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which was the highest among all departments,was 1608 [65.7%].Congenital Heart disease was the most common among all diseases.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any kinds of operations were 89.9% of all patients.The averge stay in SICU was 5.2 days.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2.1% ,which included hopelessly discharged patients and the highest mortality rate occurred in the patients over 80 years old.The highest cause of death was cardiac problem[30.4%]. The next was sepsis.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a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was 35.7% and 52% of those patients belonged to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 PDF

Open Transthoracic Plication of the Diaphragm for Unilateral Diaphragmatic Eventr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Alshorbagy, Ashraf;Mubarak, Yasser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07-310
    • /
    • 2015
  • Background: To evaluate our experience of early surgical plication for diaphragmatic eventration (DE) in infancy and childhoo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infants and children with symptomatic DE who underwent plication through an open transthoracic approach in our childhood development department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12. Surgical plication was performed in several rows using polypropylene U-stitches with Teflon pledgets. Results: The study included 12 infants and children (7 boys and 5 girls) with symptomatic DE (9 congenital and 3 acquired). Reported symptoms included respiratory distress (91.7%), wheezing (75%), cough (66.7%), and recurrent pneumonia (50%). Preoperative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was required in 41.7% of the patients. The mean length of hospital stay was $6.3{\pm}2.5day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3{\pm}14.5months$. Preoperative symptoms were immediately relieved after surgery in 83.3% of patients and persisted in 16.7% of patients one year after surgery. All patients survived to the end of the two-year follow-up and none had recurrence of DE. Conclusion: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plication of the diaphragm for symptomatic congenital or acquired diaphragmatic eventration offers a good clinical outcome with no recurrence.

산전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범발성 태변성 복막염 2예보고 (Generalized Meconium Peritonitis Diagnosed with Antenatal Ultrasonography)

  • 김성철;황신;유시준;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권1호
    • /
    • pp.59-62
    • /
    • 1995
  • Meconium peritonitis is defined as an aseptic, chemical or foreign-body peritonitis caused by spill of meconium in the abdominal cavity related to the prenatal perforation of the intestine. Perforation is usually caused by obstruction from meconium ileus, intestinal atresia, stenosis, volvulus, internal hernia, congenital peritoneal bands, intussusception, or gastroschisis. Less commonly, no evidence of distal obstruction exists. Here, we present two cases of generalized meconium peritonitis of antenatal diagnosis. The first case, detected at 8 months of gestational age, had a perforation of the proximal blind pouch of jejunal atresia, associated with respiratory distress due to severe abdominal distension. This case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esection and anastomosis and brief period of postoperative ventilatory support. The second case had a distal ileal perforation with thick meconium in the terminal ileum. In this case, there was no dilatation of ileum proximal to the perforation site. Resection and anastomosis was performed an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PDF

대동맥궁 단절을 동반한 Taussig-Bing 기형에서 새로운 일차적 완전 교정술 - 1례 보고 - (A New Method of One Stage Correction of Taussig-Bing Anomaly with Interrupted Aortic Arch -1 case report-)

  • 정종필;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83-87
    • /
    • 1997
  • Tausslg-Bing 기형은 드물게 대동맥궁 중단과 병발되며, 이 경우 양대혈관의 크기 가 현저히 달라 대동맥 전환술을 시행함에 어려움이 있다. 생후 20일 된 환아가 상기 진단으로 내원하여, 다장기부전에 대한 3주간의 집중관리 후 수술을 받았다. 수술은 심실중격 결손의 복원, 대동맥 전환술 및 광범위한 대동맥궁형성술로 이루어졌으며, 대혈관들의 크기 차이는 상행 및 하행 대동맥의 절편을 이용하여 원위신대동맥(distal neoaorta)를 형성하므로써 극복하였다. 환아는 큰 문제 없이 회복하였으며, 수술후 시행한 심도자상의 결과도 양호한 상태로 16개월간 추적 관찰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