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ilator-associated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초

Clinical Impact of Supplementation of Vitamins B1 and C on Patients with Sepsis-Relat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Yoo, Jung-Wan;Kim, Rock Bum;Ju, Sunmi;Lee, Seung Jun;Cho, Yu Ji;Jeong, Yi Yeong;Lee, Jong Deog;Kim, Ho Ch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3호
    • /
    • pp.248-254
    • /
    • 2020
  • Background: Although few studies have reported improved clinical outcomes with the administration of vitamin B1 and C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septic shock or severe pneumonia, its clinical impact on patients with sepsis-relate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remains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with vitamin B and C supplementation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RDS. Methods: Patients with ARDS requiring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CU)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administered with vitamin B1 (200 mg/day) and C (2 g/day) June 2018-May 2019 (the supplementation group) and those who did not receive vitamin B1 and C administration June 2017-May 2018 (the control group). Results: Seventy-nine patients were included. Thirty-three patients received vitamin B1 and C whereas 46 patients did not. Steroid administration was more frequent in patients receiving vitamin B1 and C supplementation than in those without i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rtality between the patients who received vitamin B1 and C and those who did no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ntilator and ICU-free days between each of the 21 matched patients. Conclusion: Vitamin B1 and C supplement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ed mortality rates, and ventilator and ICU-free days in patients with sepsis-related ARDS requiring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Judet's strut를 사용한 늑골 고정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wperiences of Rib Fixation Using Judet's Strut)

  • 김재련;임진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9호
    • /
    • pp.847-850
    • /
    • 1995
  •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in multiple rib fracture due to accident , 24 cases treated by surgical rib fixation using Judet`s strut for multiple rib fracture and flail chestduring the period from June 1993 to October 1994 were reviewed. There were 17 males and 7 females.They ranged in age from 19 years old to 56 years old. The causes of rib fracture were traffic accident in 18 cases, fall down in 3 cases, compression in 2 cases stab wound in 1 case. The number of rib fracture were five in 7 cases, six in 5 cases, four in 5 cases, three in 3 cases. Associated intrathoracic injuries were hemopneumothorax in 12 cases, hemothorax in 10 cases, lung laceration or hemorrhagic contusion in 7 cases. Associated extrathoracic injuries were abdominal injuries in 21 cases, orthopedic problem in 7 cases, head trauma in 4 cases. The most common fractured site was posterolateral portion of the ribs. The causes for operation were flail chest, severe rib displacement and pain, hemothorax or hemopneumothorax with continuous air leakage and stab wound. There were 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one with hydrothorax, two with fibrothorax, two with wound infection and one case of death due to multiful organ failure. Postoperatively, all patients became comfortable and complained less painful. Twenty patients restored spontaneous breathing without ventilator support, three patients were ventilated during a day and one patient expired after 2 days. There were no morbidity and mortality related to operation.

  • PDF

인공판막치환술후 발생한 급성신부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Acute Renal Failure after Valve Replacement Surgery)

  • 신현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2호
    • /
    • pp.122-127
    • /
    • 1994
  • A retrospective study of 737 consecutive patients surviving the first 24 hours who underwent valve replacement surgery from July 1980 to June 1993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prevalence, variables that could be used to predict outcome and results of therapy for postoperative acute renal failure[ARF]. Twenty-one patients[2.8 %]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Positive risk factors noted in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renal failure included age,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 III & IV, endocarditis and elevated preoperative concentration of serum creatinine. The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aortic cross-clamping and the total duration of the operation also close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ARF. The mortality rate for established ARF was 38.1% and ARF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ventilator support and intensive care unit stay.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of oliguric renal failure was 38.1% and 85.7%.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associated with two or mo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erum creatinine value exceeded 5 mg/dl. We concluded that therapy should be aimed at prevention of oliguric renal failure, or at least its conversion to nonoliguric renal failure, and early institution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with intensive support probably gives the best chance for survival.

  • PDF

Down증후군과 관련된 선천성 심장질환 (Congenital Heart Disease Associated with Down Syndrome)

  • 윤양구;조범구;홍승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654-658
    • /
    • 1990
  • Between January of 1980 and December of 1989, we are encountered 121 cases of Down syndrome here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of these being endocardial cushion defect, ventricular septal defect, tetralogy of Fallot, atrial septal defect, patent ductus arteriosus and complicated anomalies. The mean age was 1 month 2 years with the sexual division at 31 males and 29 females. Among these 60 patients, 10 of them were treated trough surgical management, 8 of them being open heart surgeries, the 8 open heart surgeries are broken down as follow: 4 total correction of ECD, 2 patch repair of VSD, 1 total correction of TOF, 1 patch repair of ASD secundum. Another 2 operative management are ligation of PDA and modified Blalock - Taussig shunt of TOF. Postoperatively all patients were weaned and extubated on an artificial ventilator without any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were discharged without incident.

  • PDF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서울 및 경기 지역 환자의 실태 (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Patients with Home Ventilator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 안종준;이기만;심태선;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5호
    • /
    • pp.624-632
    • /
    • 2000
  • 서론 : 최근 발달된 기술로 작고 기능이 뛰어난 가정용 인공호흡기가 개발되어 구미에서는 장기간 기계환기가 필요한 만성호흡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아 점차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정에서 기계환기치료의 적용이 최근 확산되고 있으나 이 치료법에 대한 임상 경험 보고나 그 실태 조사 자료가 거의 없어 이에 대한 기초 자료의 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기계환기 보조가 필요하여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간호 관리의 문제점과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92명의 명단을 인공호흡기를 공급 관리하는 업체에서 제공 받아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방문에 동의하는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시행하였고, 환자 간호 관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에는 간호 관리에 대한 사전 교육 여부, 의료인의 가정 방문 여부, 인공호흡기 이상의 경험 여부, 인공호흡기 및 부가 장비의 구입 경비, 환자 간호와 연관된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제안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설정 요소들을 확인하고, 측정되는 일회호흡용적(tidal volume), 최대 기도압, 산소포화도 등을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 1) 방문을 마친 환자 29명중 남자는 26명(90%)이었고, 나이는 48.0(${\pm}$20.1)세였다. 환자들의 기저 질환은 신경근 질환 21명(72.4%), 척수 손상 2명(6.9%), 만성 폐질환 6명(20.7%)이었다. 2) 간호 관리자는 배우자가 14명(48.3%)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 간호 관리를 위한 사전 교육은 주로 입원 중 간호사로부터 배우고 있었다. 3) 인공호흡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23명으로 압력달성양식(pressure targeted type)은 745(${\pm}$329)만원, 용적달성양식(volume targeted type)은 1,428(${\pm}$313)만원이 각각 소요되었다. 장비 구입에 소요되는 총 비용은 1,13l(${\pm}$653)만원이었다. 환자를 간호 관리하는데 1개월간 소요되는 평균 비용은 112(${\pm}$136)만원이었다. 4) 29명의 환자 중 25명 (86%)은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기계환기를 시행하고 있었다. 인공호흡기는 용적달성양식이 20명(69%)으로 압력달성양식(9명, 31%)보다 더 많았다. 결론 : 우리나라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신경근 질환 환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경보 기능을 가진 용적달성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환자와 가족들은 장비 구입 및 유지와 연관된 경제적인 어려움을 당연한 문제로 제시 하였으며 환자들 중 일부는 가정간호사들의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의사들의 지속적인 감시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었다.

  • PDF

영남권역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 가족간병인의 간병 부담과 삶의 질 (Survey on the Care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Using Home Mechanical Ventilator in Yeongnam Region, Korea)

  • 손주현;문명훈;조미경;윤라유;허성철;민지홍;문정인;김수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9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영남권역 내 가정에서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를 돌보는 가족간병인이 느끼는 간병 부담과 삶의 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영남권역 내에 거주하며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를 돌보는 주간병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가족간병인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환자의 정보, 간병 실태 및 추가 지원 요구 사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가족간병인의 간병 부담과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 Korean version of Short Form Zarit Burden Interview(K-ZBI-12)과 한국형 가중치 모형에 따라 교정한 3-Level version of EuroQol-5 Dimension(KEQ-5D-3L)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 총 150명 중 주간병인이 가족간병인인 98명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54.10±17.94세, 성별은 남자 74명(75.5%), 여자 24명(24.5%)이었고 주 진단은 신경근육계 질환이 83명(84.7%)으로 가장 많았다. 가족간병인의 K-ZBI-12 점수는 33.08±10.34로 간병에 대한 고부담을 보였고 EQ-5D-3L 점수는 0.71±0.25로 두 항목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38). 환자의 연령,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의료비에 대한 가족간병인의 경제적 부담, 간병비에 대한 가족간병인의 경제적 부담 및 전문간병인의 참여 시간은 K-ZBI-12 점수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KEQ-5D-3L 점수는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사용기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17). 환자가 침습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경우 비침습적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족간병인의 KEQ-5D-3L 점수가 낮았다(p=.008). 간병에 참여하는 인원이 두 명 이상인 경우가 한 명인 경우보다 K-ZBI-12 점수가 낮았다(p=.001). 가족간병인이 추가지원을 바라는 요구사항 중 경제적 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영남권역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보호자가 느끼는 간병 부담이 크고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족간병인의 간병 부담과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지역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회경제적 지원 및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추가적인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가정용 인공호흡기 관련 안전사고 특성 및 손상 영향 요인 분석: 상급종합병원 일반병동 환자 중심으로 (Factor Associated with Injury Related to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General Ward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 김향숙;최모나;양용숙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2호
    • /
    • pp.131-14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inciden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y for patients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HMV) at the hospital.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ork log of respiratory home care nurses and the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independent t-test and χ2 test were used. Associated factors with injury development were identified by generalized mixed modeling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and gender. Results: A total of 304 patients on HMV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which 129 (42.4%) experienced 352 HMV-related incidents. Mean frequency of incidents for each patient was 5.11±3.98, ranged from 1 to 15 times. In 19.0% of the incidents, injury was developed. Types of incident and persons involved in the incid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atient's injury. In the case of the safety incidents, patient's inju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ccidents caused by respiratory circuit problems compared to those caused by problems with the ventilator operation by the medical staff (coefficient=1.25, p=.02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ose involved in the safety incidents, patient's inju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cident caused by the patient family members or caregivers than that caused by the medical personnel (coefficient=1.25, p=.019). Conclusion: In order to minimize injury caused by incidents in patients with HMV, hospitals need to provide systemic education to their medical staff and caregivers to enhanc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porting and safety management.

항생제를 사용하고 있었던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환자에서의 원인균 발견을 위한 소량 기관지폐포세척술의 진단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Study for Diagnostic Efficacy of Minibronchoalveolar Lavage in the Detection of Etiologic Agent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Antibiotics)

  • 문두섭;임채만;배직현;김미나;진재용;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21-330
    • /
    • 1999
  • 배경: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이하 VAP)의 원인균 동정의 표준적인 방법으로는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검체보호솔질법(protected specimen brush, 이하 PSB)이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PSB가 고가이고 국내의 경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VAP의 진단에는 PSB외에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olar lavage, 이하 BAL)이 흔히 이용되나 호흡부전으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다량의 BAL을 시행하기 어렵고, 시술 후 환자 상태가 악화될 수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기왕에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VAP가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포함한 원인균의 동정 검사에 필요한 최소한의 BAL검체(25 ml) 만 채취하는 소량의 BAL(이하 miniBAL)을 시행하여 동일한 부위에서 시행한 PSB에 의한 세균 배양 검사 성적과 비교함으로써 miniBAL 검사의 진단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8월 31일까지 서울 중앙병원 성인 중환자실에서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던 중 연속적으로 VAP가 발생한 38명(41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61{\pm}14$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3.6:1 이었다. PSB는 단순 흉부사진상 병변이 심한 부위에서 시행하였고, 동일부위에서 miniBAL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였다. miniBAL은 생리식염수를 50 ml씩 투여하여 총 25 ml가 모일 때까지 세척을 반복하였다. VAP 원인균의 판정 기준은 PSB와 BAL을 통해 얻은 검체를 정량 배양법으로 배양한 뒤 PSB는 $10^3cfu/ml$ 이상, BAL은 $10^4cfu/ml$ 이상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25 ml BAL을 얻기 위해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주입한 생리 식염수의 양은 평균 $93{\pm}32ml$ 였다. PSB의 경우에는 총 41예 중 19예(46.3%), miniBAL의 경우 18예(43.9%)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 PSB와 miniBAL은 41예 중에서 35예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진단 일치율은 85.4%였다. VAP가 호전된 환자는 39명 중에서 19명(48.7%)이었고 miniBAL과 PSB를 통해 원인균이 발견된 환자들(12/19 명, 63.2%)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들(7/20명, 35%)에 비해 VAP 호전율은 높았으나 두 군사이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2). 검사 전, 검사 중 그리고 검사 후의 분당 평균 심 박동수는 각각 $111{\pm}22$회, $125{\pm}24$회, $111{\pm}26$회이었으며 동맥혈 산소분압은 각각 $97{\pm}3%$, $92{\pm}10%$, $95{\pm}3%$ 이었다. 검사 전파 검사 중의 심 박동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p<0.05) 검사 전과 검사 10분 후의 심 박동수는 차이가 없었다(p>0.5). 검사 전과 비교하여 검사 중과 (p<0.05) 검사 후의 (p<0.005)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검사 시행 중 저혈압 2예, 동맥 산소 분압의 저하 3 예의 부작용이 있었으나 검사 종료후 곧 회복되었고, 심방조동(atrial flutter)으로 l예에서 검사가 중단되었으나 8일 후에 문제 없이 miniBAL이 시행되었다. 결론: MiniBAL 배양검사의 결과는 PSB에 의한 결과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비교적 안전한 검사방법이므로 VAP 의 원인균 규명에 PSB와 고식적인 BAL을 대치할 수 있는 진단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 진단에서 인공기도 흡인액을 이용한 Multiplex PCR과 세균배양 결과의 비교 (Multiplex PCR of Endotracheal Aspirate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s in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 송주한;명순철;최송호;전은주;강형구;이혜민;조성근;최재철;신종욱;박인원;최병휘;김재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3호
    • /
    • pp.194-199
    • /
    • 2008
  • 연구배경: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하면 이 질환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주된 원인균인 녹농균, 폐렴막대균 그리고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에 대한 multiplex PCR법을 시행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기계환기폐렴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24시간 이내에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채취하여 $2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였고, 추후에 multiplex PCR을 시행하였다. Forward & reverse primer는 각각의 원인균에 특이한 부위에 맞춰서 제작하였다(녹농균의 oprL gene, 폐렴막대균의 16S rRNA,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의 mec gene). 기관내튜브흡인액의 배양검사를 포함한 기계환기폐렴 환자의 임상적 및 검사실 소견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명(남자 18명, 여자 6명)의 기계환기폐렴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나이(평균${\pm}$표준편차)는 $70{\pm}11$세였다. 모든 환자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기관내튜브 흡인액의 배양에서 11명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녹농균 2예, 폐렴막대균 1예, 메치실린내성 포도알 균 2예, 기타 그람음성간균 3예, 폐렴알균 2예, 복합감염 1예). 녹농균에 대한 multiplex PCR은 3예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폐렴막대균에 대해서는 4예에서 양성이었으며, 1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은 2예에서 양성이었으나, 모두 배양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기계환기폐렴의 예후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 여부와 폐렴 발생 당시의 APA-CHE III score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한 multiplex PCR법은 기계환기폐렴에서 그람음성균의 진단에는 가능성을 보였으나, 향후 실제 유용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Quantitative PCR for Etiologic Dia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neumonia in Intensive Care Unit

  • Kwon, Sun-Jung;Jeon, Tae-Hyeon;Seo, Dong-Wook;Na, Moon-Joon;Choi, Eu-Gene;Son, Ji-Woong;Yoo, Eun-Hyung;Park, Chang-Gyo;Lee, Hoi-Young;Kim, Ju-Ock;Kim, Sun-Young;Kang, Jae-Ku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3호
    • /
    • pp.293-301
    • /
    • 2012
  • Backgrou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requires prompt and appropriate treatment. Sinc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frequent pathogen in VAP, rapid identification of it, is pivotal. Our aim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s a useful method for etiologic diagnoses of MRSA pneumonia. Methods: We performed qPCR for mecA, S. aureus-specific femA-SA, and S. epidermidis-specific femA-SE genes from bronchoalveolar lavage or bronchial washing samples obtained from clinically-suspected VAP.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RSA was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mecA and femA-SA gene, with the absence of the femA-SE gene. To compensate for the experimental and clinical conditions, we spiked an internal control in the course of DNA extraction. We estimated number of colony-forming units per mL (CFU/mL) of MRSA samples through a standard curve of a serially-diluted reference MRSA strain. We compared the threshold cycle (Ct) value with the microbiologic results of MRSA. Results: We obtained the mecA gene standard curve, which showed the detection limit of the mecA gene to be 100 fg, which corresponds to a copy number of 30. We chose cut-off Ct values of 27.94 (equivalent to $1{\times}10^4$ CFU/mL) and 21.78 (equivalent to $1{\times}10^5$ CFU/m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our assay were 88.9% and 88.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quantitative cultures. Conclusion: Our results were valuable for diagnosing and identifying pathogens involved in VAP. We believe our modified qPCR is an appropriate tool for the rapid diagnosis of clinical pathogens regarding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