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a cava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초

폰탄 수술에서 문합방법에 따른 혈류 변화 (Blood Flow Changes by Anastomotic Method in Fontan Operation)

  • 김상현;박영환;조범구;김종훈;홍유선;김영호;김승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3-206
    • /
    • 1996
  • To understand the local fluid dynamics for different desists of Fontan operation, five models were made out of Pyrex glass to facilitate in-vitro study. Model I, II and III have sam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anastomosis of the IVC( inferior vena cava) with that of the SVC(superior vena cava), but Model IV and V have 10 mm offset between them. Also the anastomotic junction angles are different(Model I and $IV:90^{\circ}$, Model II and $V:70^{\circ}$, Model $III:45^{\circ}$). These models were then connected to a flow loop for flow visualization study. In Model I any dominant vortex was not see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juntion, but a large unstable vortex was created in the Model II and III. In Model IV and V a significant stagnation region was created in the middle of the offset region. It also showed that the flow direction from the IVC and SVC to the LPA(left pulmonary artery) and RPA(right pulmonary artery) highly depends on the offset of the junction rather than the anastomotic junction angle.

  • PDF

하대정맥, 우심실에 연장된 정맥내 평활근종증의 성공적 절제 (Successful Removal of Intravenous Leiomyomatosis with Extension into Inferior Vena Cava and Right Atrium)

  • 신홍주;송광재;함시영;김영탁;서준범;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41-444
    • /
    • 2005
  • 복강내 종양이 혈관을 통해 전이될 수는 있으나 우심장까지 침범되는 경우는 드물다. 자궁에서 기원하는 정맥내 평활근종증은 매우 드물며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임상적으로는 하대 정맥, 우심장 또는 폐동맥의 폐쇄를 동반함으로써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치료 방법은 심폐 순환기를 통한 완전 순환정지하에 종괴를 완전절제하는 것이다. 자궁에서 기원한 정맥내 평활근종증을 개복술과 개심술을 이용해 일차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유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동맥판막하 막상협착증 치험 2례 (Discrete Membranous Subaortic Stenosis)

  • 문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4호
    • /
    • pp.727-733
    • /
    • 1988
  • Two cases of the discrete membranous subaortic stenosis were experienc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National Medical Center, Seoul, Korea. Case I was 31 years old male with a history of aortic valve replacement[Ionescu-Shiley, 19mm] at the other hospital in 1980. Heart failure was noticed 6 years later. On cardiac catheterization, pressure gradient between left ventricle 4 aorta was 104 mmHg, but subvalvular aortic stenosis was not detected by preoperative 2-D echo <% left ventriculogram. Above case revealed stenoinsufficiency of the prosthetic valve. Under the diagnosis of the prosthetic valve failure, re-do aortic valve replacement[Bjork-Shiley, 23 mm] was done. During operation, the discrete membranous subaortic stenosis was incidentally found, and it was completely resected. So we thought that above discrete membranous subaortic stenosis was not detected at first operation, and it was progressed during 6 years, and accelerated the degeneration of the prosthetic valve. Case II was 20 years old female. Her complaints were exertional dyspnea, angina, syncope, which were aggravated since 5 years ago. 2-D echo <% left ventriculogram revealed the discrete membranous subaortic stenosis. Pressure gradient was 20 mmHg, but her symptoms were serious. Associated cardiac anomaly was the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without connection with right superior vena cava. Complete excision of the membranous tissue was done. Post-operative pressure gradient between left ventricle & aorta was absent, and her complaints were nearly subsided. Both cases were type I according to the Newfeld classification of the discrete subvalvular aortic stenosis, and complete excision of the membranous tissue was done without myotomy or mymectomy. And short-term follow-up results[Case I:2 years, Case II: 1 ~ years] were good except soft systolic murmur[grade II/VI] at the aortic area in both cases.

  • PDF

Initial assessment of hemorrhagic shock by trauma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 of the inferior vena cava in blunt trauma patients

  • Lee, Gun Ho;Choi, Jeong Wo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3호
    • /
    • pp.181-188
    • /
    • 2022
  • Purpose: Inferior vena cava (IVC) collapse is related to hypovolemia. Sonography has been used to measure the IVC diameter, but there is variation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measurements in patients who have a large amount of intestinal gas or are obese. As a modality to obtain accurate measurements, we measured the diameters of the IVC and aorta on trauma computed tomography scans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VC to aorta ratio and the shock index in blunt trauma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588 trauma patients who were transferred to the regional trauma center (level 1) of Wonk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20 to February 2021. We included trauma patients 18 years or older who met the trauma activation criteria and underwent trauma computed tomography scans with intravenous contrast within 40 minutes of admission. The shock index was calculated from vital signs before trauma computed tomography scan, and measurements of the anteroposterior diameter of the IVC (AP), the transverse diameter of the IVC (T), and aorta were made 10 mm above the right renal vein in the venous phase. Results: Overall, 27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f whom 150 had a shock index ≤0.7 and 121 had a shock index >0.7. The T to AP ratio and AP to aorta rati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Cutoffs were identified for the T to AP ratio and AP to aorta ratio (2.37 and 0.62, respectively) that produced clinically usefu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predicting a shock index >0.7, demonstrating moderate accuracy (T to AP ratio: area under the curve, 0.71; sensitivity, 59%; specificity, 87% and AP to aorta ratio: area under the curve, 0.70; sensitivity, 55%; specificity, 91%). Conclusions: The T to AP ratio and AP to aorta ratio are useful for predicting hemorrhagic shock in trauma patients.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없이, 좌심방으로 연결되는 전관상정맥환류이상과 동반된 관상정맥동 입구폐쇄 1예: 심장전산화단층촬영 소견 (A Case of Coronary Sinus Atresia with a Total Anomalous Cardiac Venous Drainage to the Left Atrium without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Imaging Findings on Cardiac CT)

  • 백상훈;강은주;이기남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82-987
    • /
    • 2021
  • 관상정맥동은 심장의 정맥 배출 체계이다.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는 드문 심장 기형이다.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는 주로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동반하며 그 외에 다른 심장 기형과 동반되어서 나타난다. 하지만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만 단독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58세 여성에서 발견된 지속성 좌상대정맥을 동반하지 않고, 좌심방과 심장정맥이 연결되는 선천적인 관상정맥동 입구의 폐쇄만 단독적으로 나타나는 드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아 흉부 CT검사에서 조영제 주입에 관한 프로토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Protocol for Injection of Iodinated Contrast Medium in Pediatric Thoracic CT Examination)

  • 김영균;김연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79-887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흉부 CT검사를 시행하는 소아환자의 조영제 투여를 최소화하고 조영 증강은 최적화하기 위하여, 몸무게의 변화에 따른 생리학적 주입 프로토콜을 정립하는 것이다. 만 10세 이하의 소아환자 8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혈관 조영제 300 mgI/ml를 사용하였으며, A그룹은 몸무게 1.5배의 용량을 주입하였고, B, C, D 그룹은 10%씩 감소하면서 생리식염수 5 ~ 15 ml를 추가 주입하였다. 조영제와 생리식염수의 주입량과 속도 및 지연시간을 몸무게와 연동하여 계산할 수 있는 생리학적 모델의 엑셀시트를 적용하였다. 화질평가는 상대정맥, 상행대동맥, 폐동맥,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 하행대동맥, 쇄골하정맥의 CT number와 SNR을 측정하여 그룹간 비교하였으며, 생리식염수 주입에 따른 인공물 감소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쇄골하정맥과 상대정맥의 CT number를 비교하였다. 또한 조영 증강의 정도와 인공물에 대하여 정성적 평가를 추가로 수행하였다.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에 따른 SNR을 비교 평가한 결과, 상대정맥과 폐동맥, 하행대동맥, 우심실, 좌심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T number는 모든 장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조영제를 10% 감소하고 생리식염수를 추가 주입한 그룹은 조영 증강 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20% 이상 감소한 그룹은 조영 증강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생리식염수 주입한 그룹은 상대정맥과 쇄골하정맥의 조영 증강이 매우 감소되었고, 조영제에 의한 빔 경화 인공물이 상당히 감쇄되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흉부 CT 검사에서 생리학적 조영제 주입 프로토콜의 적용은 조영제에 의한 인공물을 감소시키면서, 불필요한 조영제 사용을 예방하고 조영 증강의 효과는 향상시킬 수 있었다.

대동맥-상대정맥루를 동반한 A형 대동맥 해리증 수술 치험 -1례보고- (Type A Aortic Dissection with Aortocaval Fistula -Report of 1 case-)

  • 김흥수;양승인;정성운;김종원;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599-604
    • /
    • 2002
  • 급성 혹은 만성 대동맥 해리증은 파열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상행대동맥의 해리성 동맥류(Stanford A형 대동맥 해리증)는 극히 드물게 상대정맥으로 파열되어 대동백-상대정맥루를 형성할 수 있는데 대동백-하대정맥루는 복부 대동맥류 환자에서 이따금씩 보고되어 왔다. 최근 상대정맥증후군의 증상을 가진 67세 남자환자에서 CT, MR angiography, 동맥촬영 등 방사선학적 검사결과 Stanford A형 대동맥 해리증 및 대동맥-상대정맥루가 진단되었다. 해리된 동맥류는 절제 후 인조혈관으로 치환되었고 대동맥-상대정맥루는 초저온 순환정지 상태에서 교정되었다. 이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이다.

한우(Bos taurus coreanae)의 정맥관흔적(rudimentum of ductus venous)의 증례 (The rudimentum of the ductus venosus in Korean native cattle (Bos taurus coreanae): case report)

  • 김종섭;조규완;서명득;원청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37-442
    • /
    • 2002
  • The observations of the anatomical closure of the ductus venosus (DV) and vestige of DV were studied in 22 cattle, ranging from 210-day-old fetus to 3-years old Korean native cattle. Vinylite solution was injected into the hepatic, portal, umbilical veins and caudal vena cavae of 22 specimens for vinylite corrosion casts. The DV originated at the confluence of the umbilical and portal veins and emptied into the left hepatic vein or posterior vena cava. The DVs were persisted in a 210-day-old fetus, a 240-day-old fetus, and a 270-day-old fetus. Two newborns, two 2-year-old and two 3-year-old cattle had no rudimentum of DV (6 cases, 31.58%). However, vestiges of DV in varying sizes were observed in a 14-day-old, a 3O-day-old, two 180-day-old and nine adult cattle (13 cases, 68.42%). The lengths of vestiges of DV were about 4.97~99.66 mm.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DV in cattle can be degenerated during the late period of a pregnancy.

상대정맥에 발생한 해면상 혈관종 -1례 보고- (Mediastinal Cavernous Hemangioma)

  • 김동원;이재영;배철영;신원선;맹대현;곽영태;이신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69-72
    • /
    • 1998
  • 종격동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국내외적으로 발표된 예가 흔하지 않다. 본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는 상대 정맥의 우심방 유입구 상방에 발생한 해면상 혈관종을 수술적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35세된 여자 환자로써 우측 경부의 낭종성 종괴를 주소로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하여 수술을 위해 촬영한 단순 흉부 방사선상 우측 종격동에 비정상적인 음영이 관찰되어 본과로 전원되어 추가 검사 후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절제한 종괴는 상대 정맥의 우심방 유입구 약 2cm 상방에 약 4x5cm 크기의 해면상 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수술 후 7일째 퇴원하여 현재 외래 통한 관찰 중인 바, 이상 소견 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분리된 간정맥 및 하대정맥 환류를 동반한 단심실 환자에서의 변형 심장외 도관 폰탄술식 - 1례 보고 - (Modified Extracardiac Fontan Procedure in a Univentricular Heart with Separate Hepatic and Inferior Vena Caval Drainage)

  • 이정렬;이철;장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0호
    • /
    • pp.781-783
    • /
    • 2001
  • 복잡한 체정맥 그리고/혹은 폐정맥 환류를 동반한 단심실 환자에서, 심방내 폰탄술식은 체정맥 및 폐정맥 입구들간의 복잡한 위치관계로 인하여 기술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저자등은 간정맥과 하대정맥이 멀리 떨어져서 공통 심방으로 환류되며, 간정맥의 심방내 입구가 좌하폐정맥과 근접하였던 단심실 환자에 대해 변형 심장외 폰탄술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