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Diversity

검색결과 704건 처리시간 0.024초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 등산로의 훼손 및 주연부식생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Naesorak District of Soraksa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김보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3-534
    • /
    • 1998
  • 설악산국립공원 내설악지구의 6개 주요 등산로에 대해 이용강도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 환경훼손상태를 조사하였다. 총 29.2km, 132개 지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등산로물매 등에서 이용강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다. 훼손유형의 출현빈도는 암석노출, 뿌리노출, 종식, 분기 등의 순으로 이들 훼손지점의 등산로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각 등산로에서의 건전지점들은 훼손지점들에 비해 대체로 표고가 낮은 곳에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등산로 훼손에 미치는 이용영향은 외설악 지구 등산로에 비해 훨씬 적었다. 주연부 상층식생의 우점종은 등산로별로 달랐으며 하층식생은 계곡부에서는 조록싸리, 생각나무, 사면부에서는 철쭉꽃이 우점종이었다. 종다양도 및 주연부 하층식생의 피도는 이용강도가 낮은 오세암등산로에서 가장 높았으며, 등산로간 하층식생의 종구성은 대체로 이질적이었다.

  • PDF

낙동강 하구 사주식생의 천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lant Succession of Sand Bars at the Nagdong River Estuary I.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 Mun, Hyeong-Tae;Kim, Joon-H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1호
    • /
    • pp.79-93
    • /
    • 1985
  • 낙동강 하구에 형성되어 있는 사주의 식생천이와 그에 따른 토양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지도에 의해서 추정한 사주의 형성연령은 옥류등, 백합등, 갈매기등 및 나무싯등이 각각 60년, 25년, 15년 및 10년이었다. 각 사주에 생육하는 식물종수는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그리고 옥류등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우점도-다양성 곡선과 종다양성 지수에 의하여 판정된 식물군집의 안정성은 갈매기등, 나무싯등, 백합등, 옥류등의 순으로 높아졌다. 토양의 산도, 유기물과 전질소 함량은 갈매기 등에서 옥류등으로 이행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생육식물의 종수, 식물군집의 안정성 및 토양성질의 변화 등을 근거로한 각 사주의 천이정도는 그들의 나이와 대체로 일치하였으나 갈매기등과 나무싯등 처럼 아직도 모레가 불안정한 사주에서는 천이정도와 사주의 나이가 일치하지 않았다.

  • PDF

도시공원녹지의 입지환경과 토양특성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ree Vitality of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 김석규;박승범;남정칠;김승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30-44
    • /
    • 2002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of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effect on the condition of urban forest in Urban Park and Green Ope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 1. Soil acidity is indicated pH 3.88 in Sasang park, pH 4.38 in Hwaji park, pH 4.40 in Daeyeon park, pH 4.68 in Sanseong amusement park, pH 5.15 in Molundae amusement park. 2.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indicated Sasang park 0.9932, Hwaji park 1.1975, Daeyeon park 1.2160, Sanseong amusement park 1.3080, Molundae amusement park 1.3233 is due to location and soi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ir pollution effects. 3.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27.5ER in Sasang park, 24.9ER in Hwaji park, 24.5ER in Daeyeon park, 23.6ER in Sanseong amusement park, 21.0ER in Molundae park. This shows that tree vitality are impacted by loc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vegetation devices are suggested : 1) Robinica pseudo-acacia management, 2) removing the hazard plant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Pueraria thungergiana, 3) improving soil hardness and soil acidity.

울릉도 우산고로쇠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와 토양환경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Condition of Acer okamotoanum Communities in Ulleung Island)

  • 권수덕;김종갑;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15-22
    • /
    • 2010
  • 울릉도 자생 우산고로쇠나무군락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생구조와 토양환경을 분석하였다. 층위별 중요치는 상층에서는 우산고로쇠나무가 120.7, 중층과 하층에서는 동백나무의 중요치가 각각 61.8, 15.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산고로쇠나무의 중층과 하층에서의 중요치는 각각 37.5, 2.6이었다. 하층에서는 산림청 지정 취약종인 회솔나무가 출현하였다. 층위별 종다양도는 상층 0.674, 중층 0.947, 하층 1.312, 균재도는 상층 0.706, 중층 0.805, 하층 0.938이었다. 우산고로쇠나무 군락의 토양 pH는 5.79, 유기물함량은 7.2%, 전질소 함량은 0.33%, 유효인산 함량은 51.1ppm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Forested Wetland at Public and Private Forests in Daegu City)

  • 정혜란;김현지;최경;박광우;강동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69-84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 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FGIS를 이용하여 예상 지점을 도출하고, 산림습원의 보호를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산림습원으로 판별된 11개 지점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63과 131속 148종 2아종 14변종 5품종으로 총 169분류군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산림습원의 종다양도는 관목층에서 1.56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균재도는 관목층에서 0.913로 가장 균일한 상태를 나타냈으며,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모두 0.3이하로 나타나 한 종이 우점하지 않고 층위별로 다수의 종이 공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부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비술나무(Ulmus pumila L.) 군락의 재정착과 발달 특성 (Community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Traits of Ulmus pumila L.)

  • 김영철;채현희;홍보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34
    • /
    • 2023
  • Many ecologists try to understand plant communities and societies' changing processes by interacting with environmental factors. Plant communities formed in the sidings of streams, which are more dynamic than forest veget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disturbance regime of streams. U. pumila, which forms communities at the edges of streams, is distributed over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explain the regeneration of U. pumila communities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Namhangang River. Heights from the stream surface to the mid-high points of communities increased when the age class of U. pumila communiti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U. pumila tended to increase and decrease as the age class increased. The richness (S), evenness (J'), diversity (H'), and maximum diversity (H'max)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n decrease as the age clas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stems per individual and density (D) decreased as the age class increased. Seedlings of U. pumila failed to regenerate in the communities at the intermediate or higher stage of the age class. Regeneration of seedlings occurred in the spaces formed by the flooding, which occurred periodically in streams. After regeneration, U. pumila communities grew like a single organism. On the other hand, the plant species consisting of U. pumila communities exhibited a process in which the S and H'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s they developed. In other words, we determined that the changes in the species compositions we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each species' environment and community. A space where seeds can regenerate seedlings should be provided for the regeneration of U. pumila communities. In the mid/upstream region of the Namhangang River, where the present study focused, newly formed communities were rare because the space required to regenerate U. pumila ceased to exist. Accordingly, we suggest securing an appropriate space for the regeneration of seedlings to maintain the U. pumila communities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Namhangang River.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The Change of Seedling Emergence of Abies koreana and Altitudinal Species Composition in the Subalpine Area of Mt. Jiri over Short-Term(2015-2017))

  •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3-322
    • /
    • 2018
  •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 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절별 강수 패턴에 따른 하천 식생 변화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River Vegetation by Seasonal Precipitation Patterns)

  • 정희정;유승연;조은지;지용주;김용석;오현경;이종성;장현도;조동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9
    • /
    • 2023
  • 국내에서는 모래와 자갈로 구성된 하천에서 식생이 과도하게 번성하는 현상이 전국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요인을 봄철 강수량 감소와 연강수량 증가로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주시 소재 남천을 대상으로 강수 패턴 변화가 하천 식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출현 식생의 면적변화, 그리고 생태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남천의 여름철 월강수량은 2007년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사주면적 대비 식생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범람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의 강수가 지속될 때 귀화식물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으나, 귀화식물이 차지하는 면적은 적었다. 또한 일정 수위가 유지될 때, 단일종의 우점으로 인해 종다양성이 낮았으며 우점하는 종은 주로 자생식물이었다. 자생식물의 우점은 귀화식물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식생면적은 더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하천식생의 활착과 번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구분보다 식생확산 자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여름철 집중 호우로 인한 고수위와 범람 지속은 식물군락을 교란시켰고 이후 형성된 식생은 주로 자생식물이었다. 하천생태계에서 이와 같은 범람은 자생식물의 출현과 과도하게 형성된 식생군락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므로 식생 관리 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Stand Structure of Actual Vegetation in the Natural Forests and Plantation Area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 변성엽;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2-1046
    • /
    • 2016
  • 경상북도 봉화군 장군봉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특성을 규명하여 생태적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1개소의 식생조사자료를 토대로 상관우점종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천연림에서 신갈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피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인공조림지에서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자작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천연림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 44.3, 소나무 12.1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27.6, 쇠물푸레 12.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고, 인공조림지의 사면부는 교목층에서 잣나무 22.6, 일본잎갈나무 15.4, 물푸레나무 13.3 등의 순으로, 아교목층에서 굴참나무 17.9, 담쟁이덩굴 14.1, 신갈나무 10.4 등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덩굴성 식물의 중요치가 천연림에 비하여 인공조림지에서 높았다. 종다양성 지수는 계곡부에서는 천연림 2.334, 인공조림지 1.734, 사면부에서는 천연림 1.931, 인공조림지 1.927으로 각각 나타났다. 장군봉 일대 산림식생의 관리를 위해서는 지형과 상관군락단위별 차별화된 관리방법이 필요하고, 특히 인공조림지 내 덩굴식물의 높은 중요치를 줄일 수 있는 관리방안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락 구조 비교 (A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 Structure of the Forest Vegetation between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 in the South Sea, Korea)

  • 김준수;전철현;정성철;김찬수;원현규;조준희;조현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71-782
    • /
    • 2016
  • 우리나라 도서지역 산림식생의 인간 간섭 유무와 정도에 따른 생태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남해안 유인도서(대모도)와 무인도서(구도)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산림식생을 분류하고 그 구조 및 종조성 특성(총피도, 중요치, 종다양성, 지표종, 생활형 조성 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 유형은 대모도에서 총 11개 식생단위(1개 군락군, 2개 군락, 개 아군락, 9개 변군락, 그리고 4개 아변군락), 구도에서 총 8개 식생단위(2개 군락군, 5개 군락, 그리고 6개 아군락)가 구분되었다. 총피도(S)와 종다양도(H')에 있어서 구도는 교목층이, 대모도는 관목층이 다른 층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높게 나타났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대모도 N-R5-D2-e, 구도 MM-R5-D2-e로 나타났다. 과중요치(FIV) 분석결과 대모도에서는 차나무과와 소나무과, 구도는 녹나무과와 참나무과 분류군들이 상위그룹을 이루고 있었으며, 과별 종구성비에 있어서는 대모도는 국화과가 4.5%(19종류), 구도는 백합과가 7.3%(8종류)로 가장 높게 나타나 두 도서간 인위적 교란 정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지표종 분석에서는 대모도는 청미래덩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등 미소지상식물(N)이, 구도는 황칠나무,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 대형지상식물(MM)이 대개 유의한 지표종(p<0.0005)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