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tor insect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Finding Wolbachia in Filarial larvae and Culicidae Mosquitoes in Upper Egypt Governorate

  • Dyab, Ahmed K.;Galal, Lamia A.;Mahmoud, Abeer E.;Mokhtar, Yasser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3호
    • /
    • pp.265-272
    • /
    • 2016
  • Wolbachia is an obligatory intracellular endosymbiotic bacterium, present in over 20% of all insects altering insect reproductive capabilities and in a wide range of filarial worms which is essential for worm survival and reproduction. In Egypt, no available data were found about Wolbachia searching for it in either mosquitoes or filarial worms. Thus, we aimed to identify the possible concurrent presence of Wolbachia within different mosquitoes and filarial parasites, in Assiut Governorate, Egypt using multiplex PCR. Initially, 6 pools were detected positive for Wolbachia by single PC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Wolbachia and filarial parasites (Wuchereria bancrofti, Dirofilaria immitis, and Dirofilaria repens) by multiplex PCR was spotted in 5 out of 6 pools, with an overall estimated rate of infection (ERI) of 0.24%. Unexpectedly, the highest ERI (0.53%) was for Anopheles pharoensis with related Wolbachia and W. bancrofti, followed by Aedes (0.42%) and Culex (0.26%). We also observed that Wolbachia altered Culex spp. as a primary vector for W. bancrofti to be replaced by Anopheles sp. Wolbachia within filaria-infected mosquitoes in our locality gives a hope to use bacteria as a new control trend simultaneously targeting the vector and filarial parasites.

Tinjute [Labiatae; (Otostegia integrifolia)]: A versatile Ethiopian ethnomedicinal plant - a systematic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s

  • Karunamoorthi, Kaliyaperumal
    • 셀메드
    • /
    • 제4권2호
    • /
    • pp.8.1-8.6
    • /
    • 2014
  • Despite the remarkable advancements of the modern medicine, the traditional system of medicine (TSM) still serves as a potential primary health care modality in th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e recent reports suggest that there is a renewed interest has been observed towards TSM in the developed countries too, because of the adverse side-effect of modern medicines. Medicinal plants have been widely serving as a rich source of therapeutic agent. Ethiopia is one of the most reserves rich countries in the world. It is renowned for well-diversified and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its unique flora and fauna. Ethiopian deep-rooted tradition and culture largely depends on the usage of plants for their religious ceremonies, impressive festivals, traditional medicinal uses and other basic necessities. The present scrutin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omnipotent nature of an Ethiopian Ethnomedicinal plant called Tinjute [vernacular name (local native language, Amharic); Otostegia integrifolia]. There are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injute can be used as a natural medicine or health-promoting agents for various disorders and ailments. Nevertheless, in Ethiopia, it is renowned as an insect repellent to drive-away insect vector of diseases, particularly mosquitoes in the early evening. However, there are many more issues and challenges which must be urgently addressed to scientifically formulate various potent, efficacious, safe and highly selective phytotherapeutic agents and insects' repellent from the Tinjute plant in the near future.

RNA Interference in Infectious Tropical Diseases

  • Kang, Seok-Young;Hong, Young-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1-15
    • /
    • 2008
  • Introduction of double-stranded RNA (dsRNA) into some cells or organisms results in degradation of its homologous mRNA, a process called RNA interference (RNAi). The dsRNAs are processed into short interfering RNAs (siRNAs) that subsequently bind to the RNA-induced silencing complex (RISC), causing degradation of target mRNAs. Because of this sequence-specific ability to silence target genes, RNAi has been extensively used to study gene functions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ol disease pathogens or vectors. With this promise of RNAi to control pathogens and vectors,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RNAi in protozoans, animal parasitic helminths and disease-transmitting vectors, such as insects. Many pathogens and vectors cause severe parasitic diseases in tropical region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once the host has been invaded. Intracellularly, RNAi can be highly effective in impeding parasitic development and proliferation within the host. To fully realize its potential as a means to control tropical diseases, appropriate delivery methods for RNAi should be developed, and possible off-target effects should be minimized for specific gene suppression. RNAi can also be utilized to reduce vector competence to interfere with disease transmission, as genes critical for pathogenesis of tropical diseases are knockdowned via RNAi.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 (Mosquito Control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 최광식;정희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7-87
    • /
    • 2015
  • 곤충이 곰팡이병에 감염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고, 대부분은 이들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살충제 저항성이 문제가 되면서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모기 방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주목을 받고 있고, Beauveria bassiana, Metarhizium anisopliae, Lagenidium giganteum와 같은 병원성 곰팡이를 모기 방제에 사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 총설에서는 말라리아, 뎅기열, 사상충, 황열병 등을 옮기는 모기들의 방제에 사용되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정리하고 이들의 활용방안을 논하였다.

Screening of Antifungal Microorganisms with Strong Biological Activity against Oak Wilt Fungus,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Hong, A Reum;Yun, Ji Ho;Yi, Su Hee;Lee, Jin Heung;Seo, Sang Tae;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5호
    • /
    • pp.395-404
    • /
    • 2018
  • Since the mass mortality of Quercus mongolica has been first reported in Gyeonggi province at 2004, the disease spread rapidly over Korean peninsula annually.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as known as the insect vector of oak wilt fungus,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control methods of the disease had mainly been focused on eradication of insect vector. However,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disease, combined control methods for both of the pathogenic fungus and insect vector are strongly required. As one of the efforts to suppress the pathogenic fungus, antifungal activities of Streptomyces isolated from oak forest soil were assayed in this study.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the selected isolates was also studied, As a result, Streptomyces blastmyceticus cultured in PDB (Potato Dextrose Broth) at $25^{\circ}C$ for 1 week showed the stronges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oak wilt fungus.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es (MGIRs) of Streptomyces isolates were compared on culture media supplemented with heated and unheated culture filtrates of S. blastmyceticus. MGIRs on culture media with unheated culture filtrate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n culture media with heated culture filtrates. Antagonistic mechanism to get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hyphal growth and spore formation of the pathogen is due to the antifungal metabolites produced by Streptomyce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developing biocontrol agents for the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of oak wilt disease.

A Genetically Engineered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 Possesses Du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Insects

  • Lu, Wenwei;Zhang, Weiqiong;Bai, Yan;Fu, Yingying;Chen, Jun;Geng, Xiaolu;Wang, Yujing;Xiao, M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281-286
    • /
    • 2010
  • A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 was isolated and found to show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to possess a gene responsible for production of antibiotic 2,4-diacetylphloroglucinol. For the extension of biocontrol range, a gene for an Androetonus australis Hector insect toxin 1 (AaHIT1), one of the most known toxic insect-selective peptides, was designed and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codon usage of Pseudomonas fluorescens, cloned, and transformed into the strain by pSUP106 vector, a broad-host-range plasmid. Bioassays indicated that the engineered strain was able to produce AaHIT1 with insecticidal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retain the activity against plant pathogen. The experiments for nonplanted soil and rhizosphere colonization showed that, similar to the population of the wild-type strain, that of the engineered strain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in the first 10 days, and the subsequent 50 days, suggesting that AaHIT1 expression in the bacterial cell does not substantially impair its long-term colonization. It is first reported that a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 expressing an active scorpion neurotoxin has du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insects, making at attractive for agronomic applications.

벡터매개 질병(vector-borne diseases) 공간역학을 중심으로 한 보건지리학의 최근 연구 (Reviews in Medical Geography: Spatial Epidemiology of Vector-Borne Diseases)

  • 박선엽;한대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77-699
    • /
    • 2012
  • 기후변화가 가져올 벡터매개 질병(vector-borne diseases or VBDs)의 증가는 인구 집단의 건강에 대한 중요한 위협 요인이며, 앞으로 국제사회가 심각하게 대처해야 할 공중보건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기후변화로 한반도 기후 특성이 아열대화 되어가는 가운데, 토지이용, 인구분포, 생태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각종 질병의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유례없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기, 진드기와 같은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벡터매개 질병은 최근 20년 동안 이들 매개 곤충의 서식범위가 확대되어 질병 발생 빈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보건지리학은 국지적인 환경과 보건 자료뿐 아니라 보다 광역적인 자료들을 통합하여 처리, 분석하고, 공간 및 비공간 자료간의 연관성 또는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질병의 시공간적 변화를 탐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발전되어 왔다. 인문 및 자연환경 요인들을 GIS를 통해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개인의 건강관련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공간역학(spatial epidemiology)은 보건지리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공간과학, 환경과학, 그리고 역학을 세 가지 주요 축으로 하여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향후 보건지리학이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연구영역 중 하나로는, 보건 연구에서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건 감시체계에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론, 조기발생 감식 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관련 요인들의 공간변이를 예측하는 연구 등은 벡터매개 질병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주요 연구 과제들이 될 것이다.

  • PDF

지상 연막 방제가 잣나무림 내 표적 및 비표적 곤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und-fogging on Target and Non-target Insects in Korean Pine Forests)

  • 장태웅;정종국;김만년;김종국;정찬식;고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509-517
    • /
    • 2017
  •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저지를 위해서 티아클로프리드 약제를 지상연막방제로 살포하였을 때 잣나무림 내 비표적 곤충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티아클로프리드의 살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표적 곤충인 북방수염하늘소와 대표적인 방화 곤충인 꿀벌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6년 강원대학교 학술림 내 잣나무림에서 처리구간(대조구와 약량별 처리구) 곤충류의 개체수, 종수, 종 구성의 유사도 그리고 곤충 2종의 치사율을 비교하였다. 각 조사구에는 곤충류 조사를 위해 6개의 함정트랩과 2개의 다중깔때기트랩을 설치하였고, 연무연막 살포 후 치사된 곤충류 조사를 위해 3장의 방수포를 배치하였다. 또한 북방수염하늘소와 꿀벌을 망실에 넣어 조사구 중심부에 위치한 잣나무의 7 m와 15 m 높이에 걸어 두었다. 조사 결과, 티아클로프리드를 1회 살포한 본 연구의 경우에는 곤충 군집이나 비표적 곤충인 꿀벌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표적 곤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경우에는 티아클로프리드에 의한 치사 효과가 확인되었다. 망실 내 북방수염하늘소의 치사율은 망실의 높이와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달랐는데, 이는 티아클로프리드의 연무연막이 임내의 미기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무연막기를 이용하여 잣나무림 내 북방수염하늘소의 밀도와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막기술을 개선함으로써 살충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바이러스 나병주로부터 얻은 팥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Azukibean Seed from Virus-infected Plant)

  • 허남기;김기식;변학수;하건수;최장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69-573
    • /
    • 1995
  • 충주팥의 전년산 바이러스 나병주로부터 얻은 종자가 차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관행재배와 바이러스 매개충인 진딧물을 서단한 강실재배와 비교하고 감염된 바이러스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개충을 서단했던 강실재배에서는 전년도 나병주로부터 얻은 종자도 바이러스 감염증상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관행재배에서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건전개체나 나병개체로부터 얻은 종자 공히 바이러스가 심하게 나타났다. 2. 관행재배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생육이 부진하였으나 강실재배에서 는 심하게 나병된 개체에서 얻은 종자도 건전개체에서 얻은 종자와 같이 나병 주를 발견할 수 없었고 다소 도장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생육 및 수량성이 양호하였다. 3. 바이러스 감염이 없었던 강실재배는 관행재배에 비하여 협수, 분기수가 많았고 백립중도 무거웠으며 수량도 10a당 202kg으로서 210% 증수되었다. 4. 바이러스에 나염된 모자이크 증상의 엽조직을 50,000배의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사상 모양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영남지방에서 벼 이앙시기가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무늬오갈병의 발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lanting Dates o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and Black-Streaked Dwarf Virus Diseases in Yeongnam District)

  • 김동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9-114
    • /
    • 1985
  • 밀양 지역의 애멸구 2회 성충의 바이러스 보독충율은 검은줄무늬오갈병이 $13.6\%$, 줄무늬잎마름병이 $6.7\%$이었다. 본 논에서 애멸구 2회 성충은 5월 29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월 13일에 최성기였는데, 이때의 주당애멸구 서식수는 추청벼, 낙동벼가 19.6, 19.3마리로 높았으나 삼강벼, 청청벼는 4.9 및 7.4마리로 비교적 낮았고, 이앙 바로 뒤의 벌레수는 극히 적었으며 이앙이 빠를수록 벌레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바이러스의 못자리감염은 5월 30일까지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그 후부터 감염이 인정되었는데 6월 20일 이앙구는 검은줄무늬오갈병의 못자리감염율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바이러스 본논감염율은 이앙이 빠를수록 높은 경향이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5월 20일 이앙이 가장 높았고 7월 10일 이앙이 가장 낮았다. 검은줄무늬오갈병은 5월 10일 이앙이 5월 20일과 5월 30일 이앙에 비하여 발병증가가 완만하였으나, 줄무늬잎마름병은 5월 10일 이앙이 발병증가가 빠른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