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Graft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초

흉부 대동맥 질환에서 스텐트-그라프트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Stent-graft in Thoracic Aortic Diseases)

  • 김경환;이철;장지민;정진욱;안혁;박재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9호
    • /
    • pp.698-703
    • /
    • 2001
  • 배경: 하행 흉부대동맥류를 포함한 대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히생한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의 치료효과와 추적성적 및,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통해 치료방법으로서의 적응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이후 모두 8명의 환자에서 진단방사선과와 협진으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시술 전 진단으로는 외상성 대동맥 파열이 3례, 동맥경화증성 대동맥류 3례, 흉부가성대동맥류 파열 1례, 매독성 대동맥염에 의한 흉복무대동맥류가 1례였다. 시술은 혈관조영실에서 혈관조영을 하면서 시행하였고, 전신마취가 3례, 국소마취가 3례였고, 2례에서 경막외 마취하에 시술하였으며, 사용한 스텐트-그라프트는 0.35mm 굵기의 스테인레스 강철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만든 스텐트를 서로 연결하고 인조혈과(Dacton)을 입힌 후 봉합한 것으로 제조회사에 의뢰하여 자체제작 하였다. 결과: 시술받은 환자의 전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시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으며, 스텐트-그라프트 삽입후 4일에서 7일 사이에 시행했던 추적검사(4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주위부 누출이나 당초 목표했던 위이에서의 이탈은 없었다. 1례의 외사성 대동맥 파열이 었었던 환자가 시술 후 13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및 다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고, 매독성 대동맥염이 있었던 흉복부 대동맥류 환자가 시술 후 6일째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에 대한 수술을 시행받고 술후 22일째 문합부위 파열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흉복부 대동맥 질환의 치료는 수술에 따른 이환률 및 사망률을 고려할 때 특히 다장기부전으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 또는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이 강력히 우려되는 경우에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의 한 방편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사료된다.행성 이하선염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170-180nm 이었다.TEX>$\pm$0.10(100분), 0.46$\pm$0.11(120분), 0.52$\pm$0.15(심폐기 재가동 30분), 0.62$\pm$0.15(60분), 0.76$\pm$0.17(심폐기이탈 30분), 0.81$\pm$0.20(60분), 0.84$\pm$0.23(90분) and 0.94$\pm$0.33(120분)를 보였고 이는 역행성 뇌관류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었다(p<0.05). 뇌신피질, 기저핵, 해마에서 전자현미경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마이토콘드리아의 부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행성 뇌관류 120분 후에 S100 베타 단백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손상과의 관련성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모델을 통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심폐바이패스 시행 등의 교란 인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를 electroporation시 낮은 전압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좋았으며, 배양 시기를 달리하여 전이시켰을 때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가 형질전환 효율이 좋았다. 12.

  • PDF

소구경 동맥이식편으로 사용한 자가심란의 조직학적 분식 (Histological Analysis of Autologous Pericardial Tissue Used as a Small-Diameter Arterial Graft)

  • 양지혁;성상현;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261-268
    • /
    • 2006
  • 배경: 현재까지 개발된 인조혈관들은 소구경 혈관에서는 좋은 성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심혈관외과 분야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심낭은 우수한 혈액 적합성 및 실제 동맥과 유사한 물리적 성상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소구경 혈관이식편으로 사용하기에는 동물실험에서 개통성을 얻기 어렵고 결과가 일정치 않아 제한이 따른다. 이에 저자들은 글루타르알데하이드(glutaraldehyde)로 처치한 자가심낭과,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은 자가심낭으로 소구경 혈관이식편을 만들어 이를 실험동물에 이식하고, 시간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0.6%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처리한 자가심낭과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신선 자가심낭으로 직경 5 mm의 혈관이식편을 만들어 동일한 잡견의 양측 경동맥에 각각 삽입하였다. 술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동맥이식편의 개통 여부를 확인하였고, 예정된 기간(3일, 2주, 1개월, 3개월, 6개월)이 경과한 후 이를 적출하여 육안소견, 광학 및 전자현미경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같은 과정을 거친 7마리 중 술 후 사망한 1예와 한쪽 이식편이 막힌 경우 1예를 제외한 5예에서 이식편의 개통성이 유지되었다. 육안소견 상, 3일과 2주째 적출한 이식편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혈전이 관찰되었으나, 1개월 이후의 이식편에서는 위내막성의 매끈한 막이 혈액접촉면에 형성되었다. 광학현미경 상, 모든 이식편에서 중피세포층은 사라졌으며, 3개월과 6개월째 이식편들에서는 혈액접촉면에 내피세포층이 발견되었다. 콜라젠층은 신선 자가심낭을 이용한 군에서는 1개월째,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처치한 군에서는 3개월째부터 분해가 관찰되어, 6개월째에는 어느 군에서도 콜라젠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전자현미경 상, 1개월째에는 신선 심낭을 이용한 이식편에서 더 거친 섬유소의 침착이 관찰되었고, 3개월 이후에는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처치한 이식편의 내피세포층이 더 조밀하게 잘 배열되어 있었다. 결론: 글루타르알데하이드로 처리한 자가심낭을 이용한 소구경 동맥이식편이 신선한 자가심낭으로 만든 이식편보다 혈액접촉면에 내피세포 형성이 잘 되고, 콜라젠층이 더 늦게 분절됨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개통성에 영향을 줄 정도로 유의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외상에 의한 상행 대동맥 박리증의 치험 1례 (Ascending Aortic Dissection due to Trauma - A Case report -)

  • 서필원;채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174-177
    • /
    • 1990
  • Aortic dissection is a challenging disease and the causes of that are well-known. Blunt chest trauma is one of the causes of aortic dissection. In such cases, nearly all cases involves the isthmic portion of descending aorta, but ascending aorta is involved in about 10.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had ascending aortic dissection due to automobile accident and who showed spontaneous rupture of the aorta during operation. In this case, after installation of aortic line via left femoral artery, ascending aorta ruptured and a large amount of blood gushed out, which was suckered by cardiotomy sucker. A little delay of cardiopulmonary bypass may cause the fatal outcome in such a case because the bleeding from aorta is too much to be controlled. Fortunately, we controlled the bleeding with cardiopulmonary bypass and got the good outcome of this patient by interpositioning the vascular graft. One should suspect the possibility of aortic dissection in blunt chest trauma, and prepare all the facilities against bleeding due to rupture.

  • PDF

심장 및 대혈관손상 1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he Cardiac and Great Vessel Injury [17 cases])

  • 장동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1호
    • /
    • pp.101-105
    • /
    • 1987
  • A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on 17 cases of the cardiac and great vessel injuries above the subclavian vessel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80 to September, 198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x distribution were 13 cases in male and 4 cases in female. In age range, second and third decades occupied in about 65% of total cases. 2. Modes of injury were penetrating wound is 14 cases and nonpenetrating wound in 3 cases. The stab wounds by knife were most frequent. 3. Time interval from injury to operation was mean 103 minutes. 4. Surgical approaches were performed with thoracotomy in 9 cases, median sternotomy in 3 cases and direct incision above the wound. 5. Sites of injury were heart in 10 cases and great vessel in 7 cases. The right ventricular injury was most common as 7 cases. 6. Opera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simple closure, vascular graft anastomosis and ligation. There was no postoperative death.

  • PDF

Lumbar Corpectomy by Using Anterior Midline Route

  • Maeng, Dae-Hyeon;Choi, Seok-Min;Lee, Sang-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5호
    • /
    • pp.399-402
    • /
    • 2005
  • Direct anterior approach for lesions located anterior to the thecal sac is definitely superior to lateral or posterior approach in many respects. However, various anatomical obstacles and technical difficulties often hinder direct anterior approach. Thanks to ripe experience of retroperitoneal approach to the lumbar spine for an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and total disc replacement, the authors could perform lumbar corpectomy and reconstruction by using midline retroperitoneal approach recently. During this approach, we repaired 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also to reduce the risk of graft extrusion and to prevent erosion of vascular wall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metallic hardware, which was used for reconstruction of vertebral body, and major vessels.

완전대혈관전위증 [S.D.D., Kidd type IV] 에 대한 Rastelli 수술 치험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S.D.D.] with VSD and PS: report of an autopsy case)

  • 이명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3호
    • /
    • pp.331-337
    • /
    • 1982
  • Complete TGA is a common congenital cardiovacular anomaly, and without palliative or corrective surgery, the infant born with TGA rarely survives the first year of life. Hemodynamically, recirculated blood flow in the systemic and pulmonary circuit has a key role in systemic arterial oxygen saturation and the status of the pulmonary vascular bed. Recently a d-TGA with VSD and PS, in a 12 year old male patient had been tried for inversion of the ventricular flow with Rastelli operation. An intracardiac tunnel was constructed between the VSD and the aortic orifice to connect the ventricle to the aorta. The right ventricle was connected with the pulmonary circulation by anastomosis of an valved conduit between the right ventricle and the distal end of the pulmonary artery. During the postop, period, the irreversible renal failure, accompanied by metabolic acidosis and pulmonary edema, occured under relative stabilized cardiac performance state. The autopsy was done, which revealed diffuse infarcted area in both kidney and preserved intra & extracardiac graft constructed.

  • PDF

총창으로 인한 우측 총경동맥의 가성 동맥류 치험 1 (False aneurysm of right common carotid artery due to gun shot wound: report of a case)

  • 남구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3호
    • /
    • pp.488-491
    • /
    • 1984
  • Vascular injuries from gun shot wound is rare in these days, in Korea. A Case of false aneurysm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due to penetrating injury to the neck by carbine. The confirmatory diagnosis was made by right carotid angiogram which revealed bean-sized aneurysmal sac at the mid-portion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Despite of no symptoms, emergency false aneurysmectomy and reconstruction with on-lay vein patch graft using left greater saphenous vein for threat of rupture and embolization from mural thrombi. During repair of common carotid artery, cerebral circulation was maintained with internal shunt.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except limit of motion of right upper extremity due to initial injury.

  • PDF

심실중격결손증을 동반한 폐동맥 폐쇄증 [Pulmonary Atresia] 의 외과적 치료-2예 보고-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Atresia with VSD - A Report of 2 Cases -)

  • 강면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780-785
    • /
    • 1987
  • Pulmonary atresia with VSD is uncommon congenital anomaly with high mortality in neonatal period. Recently we experienced surgical correction of 2 cases of pulmonary atresia with VSD. The first case was 7-year old female patient and diagnosed as pulmonary atresia with VSD combined PDA. So, total correction was undertaken which consisted of PDA ligation, patch repair of VSD, transannular enlargement of RVOT with woven Dacron vascular graft, and closure of PFO. Postoperative systemic Rt. ventricular and radial artery pressure ratio was 0.44 and her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The second case was 6-year old male patient diagnosed as pulmonary atresia with VSD and large systemic-pulmonary collateral arteries. There were two large systemic-pulmonary collaterals, one was simply controlled by ligation, but the other was considered to supply Rt. upper lung. So end to side anastomosis was performed to the RVOT patch. Postoperative systolic Rt. ventricular and radial artery pressure ratio was 0.54. During the follow up period he showed clinical picture of Rt. heart failure, which is relatively well controlled with anticongestive therapy.

  • PDF

의인성 쇄골하 동맥류 수술 치험 1례 (Iatrogenic Subclavian Artery Aneurysm: Report of a Case)

  • 오중환;박승일;원준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53-756
    • /
    • 1999
  • 쇄골하 동맥류는 희귀한 질환이며 파열의 위험성 때문에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43세 남자 환자가 쇄골 하 정맥 도관삽관술을 시행받고 우측 상지의 지각 저하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관 조영술 시행 결 과 쇄골하 정맥 도관삽관술후에 생긴 의인성 쇄골하 동맥류 진단하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6$\times$7 cm 정도의 동맥류 제거 후 6 mm Gore Tex 인조혈관으로 문합을 시행하였다. 술 후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 였으며 술 후 3개월 현재 외래를 통해 추적 관찰 중이다.

  • PDF

우측 쇄골하 동맥 기시 이상에 의한 기형성 연하곤란 (Surgical Managemnet of Symptomatic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through Midsternotomy - A case report -)

  • 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85-790
    • /
    • 1990
  • A 30-year-old male with a symptomatic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on January 17, 1990. An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but it is the most common one of the aortic arch anomalies. This anomalous vessel usually does not produce symptoms, but occasionally symptomatic patients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Although ligation and division of the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through left thoracotomy has been advocated by many surgeons, the ischemic symptoms of the upper extremity or the brain can occur. In the procedure described here, ligation and division of the aberrant artery and its anastomosis to the ascending aorta with Gore \ulcornerTex vascular graft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midsternotomy. With this procedure, we relieved the esophageal obstruction and established normal blood flow to the right arm. Hoarseness developed postoperatively. We consider that above symptom has been attributed to the injury of the left recurrent laryngeal nerve during diss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