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ous solvent extraction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조릿대 잎 잔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of Sasa quelpaertensis Leaf Residue Extracts)

  • 이주엽;송하나;고희철;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38-744
    • /
    • 2018
  • 제주조릿대는 한라산 일대에서 자생하는 제주특산식물이다. 예로부터 조릿대 잎은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약에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 연구팀은 제주조릿대 잎의 효율적인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한 후 남는 잔사로부터 식물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한 잔사 추출물(PRE)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PRE 및 분획물이 항산화 혹은 항염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PRE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PRE)은 DPPH, ABTS, superoxide 자유기 소거활성이 우수하였고,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활성 산소종(ROS)과 nitric oxide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EPRE는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 2)의 핵내 이동을 증가시킴으로써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HO-1 저해제인 zinc protoporphyrin (ZPP)은 EPRE에 의한 NO 생성 저해 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HO-1이 NO 생성 억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PRE와 EPRE가 항산화 및 항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난용성 약물의 고체분산체 제조 (Preparation of Solid Dispersions of a Poorly Water-soluble Drug Using Supercritical Fluid)

  • 김석윤;이정민;정인일;임교빈;유종훈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33-54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난용성 약물인 5'-NIO의 가용화를 위해 초임계 유체 ASES 공정을 이용하여 PVP K-30과의 고체분산체를 제조하고 첨가제인 P188의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FE-SEM을 이용하여 초임계 유체 공정으로 제조된 고체분산체 미립자의 형상을 분석한 결과 100-200 nm 크기의 나노입자들이 응집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P188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간의 응집이 증가하여 덩어리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D 분석 결과 5'-NIO 결정피크가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5'-NIO가 고분자 매질내에 분자 또는 나노 크기 수준으로 분산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FT-IR 분석 결과 5'-NIO와 PVP K-30간에 수소결합과 같은 상호작용이 존재함을 학인할 수 있었다. 5'-NIO/PVP K-30 2성분계 고체분산체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용출률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P188의 함량이 매우 큰 경우에는 오히려 용출률이 감소한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임계 유체 공정이 기존의 고체분산체 제조 방법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사리의 독성물질 Ptaquiloside 제거방법 연구 (Study on Processing Methods to Remove Toxic Ptaquiloside from Bracken Fern)

  • 이향희;김애경;이민규;최수연;서진종;김은선;서계원;조배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1
    • /
    • 2017
  • Ptaquiloside는 고사리에 들어 있는 발암성 물질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조리법에 따라 고사리에 함유된 ptaquiloside을 측정해 보고자 하였다. 조리법은 가열, 물에 침지, 물교환 횟수 등이었다. 알칼리 가수분해와 용매분획은 ptaquiloside를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인 pterosin B로 전환시켜 주었다. Pterosin B 함량은 이동상용매로 3 mM ammonium과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UPLC-MS/MS로 분석하였다. 조리과정이 없는 생고사리의 $H_2O$추출물에 함유된 pterosin B함량은 81 mg/kg으로 검출되어 독성물질 ptaquiloside는 46.4 mg/kg이었다. 5분의 가열 시간 후 고사리의 pterosin B 함량은 약 60%정도 제거시켜주며, 이 중 2/3는 ptaquiloside에서 전환된 pterosin B가 아닌 고사리 고유의 ptersoin B 함량이었다. 12시간 침지를 추가한 고사리는 처리하지 않은 고사리에 비해 약 88%, 또한 매시간 물교환 작업을 추가시 99.5%까지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독성물질 ptaquiloside의 제거는 가열시간과 더불어 침지와 물 교환 횟수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붉나무 순차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Antioxidative Effect of us javanica Linne Extract by Various Solven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강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7-682
    • /
    • 1993
  • 75% ethanol 추출물에서 뚜렷한 항산화 효과가 확인된 붉나무 껍질로부터 hexane, ethyl acetate, methanol 그리고 99% 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들을 팜유와 돈지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delta}-tocopherol$과 함께 첨가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methanol이 14.53%(w/w)로 가장 높았다. hexane, ethyl actate, methanol 그리고 ethanol(99%) 추출물 600ppm을 ascorbic acid 200ppm과 함께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nt index(AI : 항산화제첨가 유지의 유도 기간/대상 유지의 유도 기간)는 각각 1.83, 2.25, 2.81 그리고 2.8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돈지의 경우는 추출물 600ppm에 ${\delta}-tocopherol$ 200ppm 첨가구가 가장 효과가 높아서 AI는 각각 3.64, 7.83, 7.34 그리고 9.30이었다. ethanol 및 ethyl actate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은 뚜렷한 항산화 증진 효과가 없었고 m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팜유 및 도니지의 $60^{\circ}C$ 저장 시험에서 POV 및 TBA가를 비교한 결과 산화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용매별 추출물의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chins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영자;안명수;오원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0-376
    • /
    • 1998
  • 대표적인 기호성 음료인 차의 발효정도에 따른 분류인 무발효차, 반발효차 및 발효차중 녹차, 우롱차 및 홍차, 그리고 녹차의 채엽 시기별에 따른 분류인 녹차 1번차, 녹차 2번차 및 녹차 3번차 등을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각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수율과 카테킨류 함량 분석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MeOH이 EtOH 및 EtAc 에 비하여 녹차류는 3~5배, 우롱차는 4~5배, 홍차는 5~7배 씩 각각 놓았다.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른 총카테킨류 % 함량은 조카테킨이 EtOH 및 MeOH 추출물에 비해 홍차는 3배 , 녹차 및 우롱차는 2배정도 높은 것으로 EtOH이나 MeOH로 추출하는 것보다는 물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분리정제하여 얻은 조카테킨의 경우가 순도가 매우 높은 EC, EGC, ECG 및 EGCG를 얻을수 있었다. 용매별추출물을 200, 500, 1000ppm씩 기질대두유에첨가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시 EtOH 추출물, MeOH 추출물, EtAc 추출물 모두가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 dl-α-tocopherol보다 좋은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많을 수혹 항산화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EtOH 추출물을 200 및 5000ppm, MeOH 추출물을 200 및 500ppm , EtAc ncnfanf을 200ppmTlr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효과는 녹차I >녹차II>녹차 III> 우롱차>홍차의 순이었으며, 이때 항산화효과는 네가지 카테킨류 성분인 EGC 함량이 많을수록 비례하여 컸다. 그러나 , MeOH 추출물을 1000ppm, EtAc 추출물을 500 및 1,000 ppm씩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 효과는 카테킨류 성분인 EGC 및 EGCG 함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해송이버섯(Hypsizigus marmoreus)의 영양성분과 추출용매에 따른 암세포 생장억제 효과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 정은봉;조진호;조승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395-140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송이버섯의 영양 가치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영양성분을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으로 영양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매를 설정하고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암활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송이 버섯은 30.80%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의 무기질 중 칼륨의 함량이 3383.3 mg/100 g으로 다른 무기원소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해송이버섯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 $\beta$-glucan 9.32 mg/g, 단백질 17.71% 및 총당 39.93%이었으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때보다 더 많은 영양성분들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물의 수율 또한 53.34%로 높았다. 각각의 해송이버섯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생장억제효과를 사람의 위암세포인 AGS와 간암세포 HepG2, 대장암세포 SW480으로 검토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암세포 생장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여주었고,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AGS에 대해서는 물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1 mg/mL의 농도에서 모두 50%이상의 생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경우 HepG2에 대해서는 3 mg/mL 이상의 농도에서, SW480에 대해서는 5 mg/mL의 농도에서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에탄올 추출물은 HepG2와 SW480에 대한 생장억제효과는 5 mg/mL의 농도에서도 50%미만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장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bility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 hybrida)

  • 이혜란;이지민;최남순;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3-378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버려지고 있는 장미(Rosa hybrida L. cv. Mary Devor)를 이용하여 기능성을 조사한 뒤 그 이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미의 일반성분, 식이섬유 및 총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하고 총산화 효과와 추출수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에탄올의 농도(0, 75, 85, 95%)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첨가농도(0.02, 0.05%)와 저장기간에 따라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산화유도기간을 살펴본 결과, 장미 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이나 ${\alpha}$-tocopherol, BHT 첨가군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을 0.05%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가장 긴 유도기간을 나타냈다. 산가 및 TBA가는 장미 추출물 및 BHT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tocopherol 첨가군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즉, 장미 추출물은 BHT와 유사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험균주(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장미 추출물은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은 E. coli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 추출물을 천연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장미를 이용한다는 면에서 경제적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다. 장미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확인되어 그 이용성이 기대됨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인삼제품의 가공현황과 연구 동향 (Current Status of processing and Research Trends in Ginseng Products)

  • 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501-519
    • /
    • 1996
  • There are two kinds of commercially available ginseng root,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processed from fresh ginseng root Those ginsengs are primary product from fresh ginseng root and have the characteristic of keeping their original root shape Processed ginseng products are made from either red ginseng or white ginseng by way of complicated process of pulverization. Extraction. Condensation, fettering, sterilization, etc. Among them there are extracts. extract powder, powder, capsules tablets, Candy, drinks, nectar, jelly, gums. chicken soup. tonic. etc. to meet the demand for consumer's pretheronce . The 200 kinds of processed secondary products are approximately produced in the form of 20 kinds of ginseng products by about 60 domestic companies. In spite of about 213.000 million won of domestic market in 1993. it seems like that the ginseng market of the future has not a good prospects The total market sale of white ginseng in Korea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since 1991 And 963 tons of white ginseng was consumed in domestic market in 1993 The domestic market sales of white ginseng in origina1 root shave. was 90, 000 million won in 1993 and market price of the fine root used as a source of processed products has not been changed in these ten years. The total market sale of red ginseng and its processed products was 58, 000 million won in 1993 9.800 mi11ion won of red ginseng in original root shape and 48.000mi11ion of processed red ginseng product. Ginseng products such as extracts, drinks, teas and tonics etc atre mostly exported to south-east Asia. And the total exports of ginseng pi.oducts (extracts, drinks teas) decreased to 54 million dollars in 1994, compared with 85 million dollars in 1992. Despite of extensive knowledge about ginseng little is still known about the development of new processed ginseng pl.oducts because of "Know-How". Some papars have presented the effects of extracting method(amounts of solvent. time. temperature, equipment. etc.) on the quality and yields of ginseng extr acts. Also. some researchers have carried out a few studies on the poriflcation of the extracts and the amounts of precipitation in the drink at variotas pH during the storage for preventinly drink from precipitation. A fell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ginseng powder. tea. Extract powder by irradiation and ozone treatment have been reported by some researcher for the improvement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roducts There are also some reports about the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or acetic acid bacteria. and alcohol production by yeast for the development of new ginseng products processed by fermentation. To make ginseng more able to contribute to the health of mankind in the future. consistent and considerable efforts should be focussed on improving the taste of ginseng and developing various new product as a health food or a function food.tion food.

  • PDF

Succinic Anhydride로부터 N-Hydroxysuccinimide의 친환경 생산공정 개발 (Eco-Friendly Production Process of N-Hydroxysuccinimide from Succinic Anhydride)

  • 구본석;백정연;박화인;정인찬;김우선
    • 청정기술
    • /
    • 제26권2호
    • /
    • pp.91-95
    • /
    • 2020
  • 제약화학 및 정밀화학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N-히드록시숙신이마이드(N-Hydroxysuccinimide, NHS)의 새로운 친환경적인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합성법은 숙신산에 히드록시아민 반응 후 강산을 촉매로 약 70%의 수율로 NHS를 얻는다. 이 방법은 저가 숙신산을 사용하여 NHS를 얻을 수 있으나 NHS를 정제하는 데에 많은 용제가 필요하고 후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량생산하기에는 고온반응에 따른 안전상의 위험성이 있으며 산성 촉매를 사용함에 따른 많은 폐기물 발생과 다양한 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고비용의 생산비로 인해 경제적이지 않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반응성이 우수한 무수 숙신산을 사용하였으며 용제의 단일화 그리고 결정화 방법을 통해 고순도 및 고수율의 NHS를 제조하는 경제적인 방법을 개발하였다. 특히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무촉매 반응과 저온의 반응조건을 확보함으로써 80% 이상의 높은 수율로 NHS를 제조하는 새로운 친환경적인 공업적인 합성법이다. 향후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케일 업 연구를 통해 상용화 생산기술을 확립하여 국외 기술이전을 추진할 예정이다.

신선초의 식용부위별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

  • 박은령;이해정;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1-647
    • /
    • 1997
  •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에서 제조된 생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n-pentane과 diethylether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하여 연속수증기증류추출(SDE)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들 성분을 GC의 Rl 및 GC/MS에 의해 확인 동정하였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의 생즙에서 각각 52종, 38종, 43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 되었다.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들은 탄화수소류가 25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알코올류가 15종, 알데히드류가 3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줄기에서도 전초에서 분리 동정되었던 성분들과 같은 화합물이 확인되었는데 탄화수소류가 20종, 알코올류가 14종, 에스테르류가 4종, 산류가 1종 확인되어 총 38종이 동정된 반면에 전초와 잎과는 달리 알데히드류와 케톤류는 동정되지 않았다. 신선초의 잎에서는 탄화수소류가 19종, 알코올류가 11종, 알데히드류가 4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이 확인되어 총 44종이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서 ${\gamma}-Terpinene$과 germacrene B이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delta}-3-carene$, cis-3-hexen-1-ol 그리고 ${\gamma}-elemene$도 다량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이 신선초에서 추출한 정유의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신선초의 각 부위에서 분리 동정된 정유성분을 정량한 결과, 잎에 171.42 mg/k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초에 124.85 mg/kg, 줄기에 55.25 mg/kg가 함유되어 있었다. 신선초의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52종의 화합물에는 monoterpene hydrocarbon, sesquiterpene hydrocarbon과 이들의 유도체들인 terpenoid계 화합물이 40종 확인되었는데, 신선초 정유성분 중 terpenoid계 화합물이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 각각 75.76%, 86.42%, 78.21%의 비율로 포함되어 이들이 신선초 생즙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주체로 간주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