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Weight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22초

무게-가변형 드론을 위한 동역학 기반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or for Weight-Variable Type Drone Base on Kinetics)

  • 백금봉;김정환;김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9-157
    • /
    • 2020
  • Regarding previously-developed drone simulators, it was easy to check their flight stability or controlling functions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ir weight was fixed from the design. However, the drone i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types that is the one with the fixed weight whose purpose is recording video with camera and racing and another is whole weight-variable during flight with loading the articles for delivery and spraying pesticide though the weight of airframe is fix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drone and its flight principle, suggest dynamics-model-based simulator that is capable of simulating weight-variable drone and develop the simulator that can be used for designing main control board, motor and transmission along the application of weight-variable drone. Weight-variable simulator was developed by using various calculation to apply flying method of drone to the simulator. First, ground coordinate system and airframe-fixing coordinate system were established and switching matrix of those two coordinates were made. Then, dynamics model of drone was established using the law of Newton and moment balance principle. Dynamics model was established in Simulink platform and simul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changing the weight of dron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developed weight-variable simulator, it was compared to the results of clean flight public simulator against existing weight-fixed drone. Lastly, simulation test was performed with the developed weight-variable simulation by changing the weight of drone. It was found out that dynamics model controlled various flying positions of drone well from simu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securing the optimum condition of weight-variable drone that has flying stability and easiness of controlling.

Large deflections of variable-arc-length beams under uniform self weight: Analytical and experimental

  • Pulngern, Tawich;Halling, Marvin W.;Chucheepsakul, Somcha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9권4호
    • /
    • pp.413-42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e solution of large static deflection due to uniformly distributed self weight and the critical or maximum applied uniform loading that a simply supported beam with variable-arc-length can resist. Two analytical approaches are presented and validated experimentally. The first approach is a finite-element discretization of the span length based on the variational formulation, which gives the solution of large static sag deflections for the stable equilibrium case. The second approach is the shooting method based on an elastica theory formulation. This method gives the results of the stable and unstable equilibrium configurations, and the critical uniform loading.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mplement the analytical results for the stable equilibrium case. The measured large static configurations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wo analytical approaches, and the critical uniform self weight obtained experimentally also shows good correlation with the shooting method.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으로의 다양한 중심이동에 따른 하지 근육 활성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 Weight Shift on the Affected Side in Hemiplegic Patients)

  • 김경환;박성훈;박노욱;이혜진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1호
    • /
    • pp.93-10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to the variable weight shift on the affected sid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Eightee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types of weight shift (sideways, forward, and backward) in limits of stability on the affected side. Muscle activation in a paralyzed leg was measured with electromyography on the gluteus medius, tensor fasciae lat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furthermore, the attached area was recommended by SENIAM projects. Each weight shift was performed three times, and then the mean value of the three measurements was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symmetrically standing position with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and was standardized with the percentage of RVC method.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occurred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variable weight shift.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did occur with each weight shift position. In addition, activation increased at the rectus femoris and decreased at the gluteus medius and tensor fasciae latae. Conclusion: Hip abductor muscle strength training and variable weight shifts on the affected side must increase to improve patients'balance and limits of stability.

가변모수를 갖는 EWMA 관리도 (EWMA Control Charts with Variable Parameter)

  • 이재헌;한정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7-122
    • /
    • 2005
  • Variable sampling rate(VSR) scheme varies the sampling rate for the current sample depending on the previous value of the control statistic. In this paper, we propose EWMA control charts with variable parameter(VP) scheme, which allows both the sample rate(the sample size or the sampling interval) and the weight to vary. We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VP scheme relative to the fixed parameter(FP) scheme and the VSR scheme in EWMA control charts. It is shown that using the VP scheme gives some improvements to the ability in detecting small and moderate shifts in the process normal mean.

개선된 미세분할 방법과 가변적인 가중치를 사용한 벡터 부호책 설계 방법 (The design method for a vector codebook using a variable weight and employing an improved splitting method)

  • 조제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4호
    • /
    • pp.462-469
    • /
    • 2002
  • 벡터 부호책 설계에 사용되는 기존 K-means 알고리즘은 모든 학습반복에서 고정된 가중치를 적용하는데 반해 제안된 방법은 학습반복마다 가변되는 가중치를 적용한다. 초기 학습반복에서는 새로운 부호벡터를 얻기 위해 수렴영역을 벗어나는 2 이상의 가중치를 사용하고, 이 값이 클수록 가변 가중치를 적용하는 학습반복을 줄임으로써 우수한 부호책을 설계할 수 있다. 초기 부호책 설계에 사용되는 미세분할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소속 학습벡터와 대표벡터간의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자승오차가 최대인 대표벡터를 제외시키고 최소인 대표벡터를 미세분할함으로써 초기 부호벡터로 대체될 보다 적절한 대표벡터를 얻을 수 있다.

셀 손실 QoS 향상을 위한 셀 스케줄링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ell Scheduling for the Cell Loss QoS Improvement)

  • 이영교;이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85-9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속 ATM 스위치에 적합한 셀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셀 스케줄링 방식은 기존의 FRR(Fixed weight Round Robin: 고정 가중치 라운드 로빈) 방식과 QLT(Queue Length Threshold) 변형방을 결합한 가변 가중치 라운드 로빈(VRR: Variable weight Round Robin) 셀 스케줄링 방식이다. FRR 방식은 각 버퍼별로 고정 가중치를 부여하여 고정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해 셀 스케줄링을 수행하므로 고속 스위치의 구현 관점에서는 매우 큰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ATM 서비스 클래스들이 요구하는 QoS를 만족시키거나 네트워크 상황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는 없으므로 VRR 방식은 FRR 방식을 기반으로 고정 가중치를 수행하고 버퍼 상황에 따라 가변 가중치로 확장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셀 손실 QoS를 향상시키면서 셀 지연률 QoS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식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응답률이 관심변수의 지수함수를 따를 경우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한 모수추정 (Estimation using informative sampling technique when response rate follows exponential function of variable of interest)

  • 정희영;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6호
    • /
    • pp.993-1004
    • /
    • 2017
  • 표본조사에서는 추정의 정확성 및 정밀성 향상을 위해 흔히 층화추출법을 사용하며 층 내에서는 동일한 표본 가중치를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한다. 그러나 실제 응답률은 관심변수 값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동일한 가중치는 응답률을 반영하여 보정되어야 한다. 또한 관심변수가 연속형 보조변수와 선형 관계가 있고 보조변수를 기준으로 층이 나누어진 경우에는 층 내에서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 보다 층을 세분화한 후 얻어진 가중치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률이 관심변수 자료 값의 지수함수이고, 관심변수가 보조변수와 선형 관계가 있을 때 정보적 표본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소나무(강원지방·중부지방) 중량추정식 및 중량표 개발 (Development of Weight Estimation Equation and Weight Table in Pinus densiflora Stand (Kangwon and Centr al Distr icts))

  • 강진택;임종수;고치웅;성상민;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630-643
    • /
    • 2022
  • 본 연구는 소나무의 생중량 및 건중량 추정식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량표를 작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중량 및 건중량을 산정하기 위해 이용한 식은 흉고직경만을 이용하는 1변수식,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2변수식을 적용하였다. 생중량 및 건중량을 산정하기 위해 각 식은 적합도 지수, 표준오차, 잔차도 등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최적식은 통계적 검증을 거쳤으며, 도출된 계수로서 중량을 계산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1변수식에서는 W = bD+cD2이 선정되었으며, 2변수식에서는 때 W = aDbHc가 선정이 되었다. 1변수 최적추정식의 적합도지수는 0.87~0.92 범위였으며, 2변수 중량추정식 적합도지수는 0.94~0.98 범위로, 두 가지 식 모두 적합도가 높았다. 최적 추정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중량표를 작성하고 이전 중량표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강원지방소나무는 이전 중량표의 값이 더 높은 반면, 중부지방소나무는 새롭게 작성된 중량표의 값이 더 높았다.

Robust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Using Weight-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ion with Variable Block Sizes to Reduce LCD Motion Blurs

  • Lee, Jichan;Choi, Jin Hyuk;Lee, Daeh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5호
    • /
    • pp.537-543
    • /
    • 2015
  •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have slow responses, so motion blurs are often perceived in fast moving scenes. To reduce this motion blur, we propose a novel method of robust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 (MCFI) based on bidirectional motion estimation (BME) and weight-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ion (WOBMC) with variable block sizes. In most MCFI methods, a static block size is used, so some block artefacts and motion blurs are observed. However, the proposed method adjusts motion block sizes and search ranges by comparing matching scores, so the precise motion vectors can be estimated in accordance with motions. In the MCFI, overlapping ranges for WOBMC are also determined by adjusted block sizes, so the accurate MCFI can b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strongly reduced motion blurs arisen from large motions, and yielded interpolated images with high visual performance and peak signal-to-noise ratio (PSNR).

중부지역 일본잎갈나무의 수간중량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Tree Stem Weight Equations for Larix kaempferi in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고치웅;손영모;강진택;김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84-192
    • /
    • 2018
  • 본 연구는 중부지역 일본잎갈나무의 수간중량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역별 개체목의 지위와 직경을 고려하여 표준지를 선정한 뒤, 총 55본의 표본목을 선정하였다. 표본목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수피외생중량, 수피외건중량, 수피내 건중량 및 이용중량 등 네종류의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11개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을 변수로 이용하는 경우,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경우, 재적을 이용하는 경우의 3개 변수에 따라 모형을 구분하였다. 최적의 모형은 적합지수와 추정의 표준오차 및 잔차의 분포를 이용하여 모형의 이행능력을 비교하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1변수인 흉고직경을 이용하는 식은 $W=a+bD+c^D^2$이며 설명력은 90~92%를 나타냈고,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2변수식은 $W=aD^bH^C$으로 97~98%의 설명력으로 2변수 모형이 1변수 모형 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전체수간에 대한 재적과 이용재적에 대한 식인 W = aV로 중량추정설명력이 98~99%으로 높게 나타났고 SEE도 7.7~17.5, CV(%)도 8.0~10.0으로 우세한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개체목의 중량정보 제공 및 임분단위의 중량 바이오매스추정식의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