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r River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8초

섬진강 수계 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Epilithic Algal and Change of Agricultural Irrigation Water Quality in the Seomjin River)

  • 이경보;김백호;이덕배;김재덕;최민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6-283
    • /
    • 2000
  • 본 연구는 1996년과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섬진강 수계 총 16지점을 선정하여 수질의 오염성분 및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조류의 분포,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섬진강 수계 농업용수 시기별 수질변화에서 7, 8월에 오염성분 함량이 낮았으며, $NO^-\;_3-N$는 영농시기인 6월에 그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수계별 수질변화에서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례 서시천, 남원 요천이 EC 함량이 높았고, $NO_3-N$ 함량은 남원 요천에서 높았다. 섬진강 수계 주요 음이온의 당량합은 $Cl^->SO_4\;^{2-}>NO_3\;^->PO_4\;^{3-}$순 이었으며 양이온의 당량합은 $Ca^{2-}>Na^->Mg^{2-}>K^+>NH_4\;^-$순 이었다. 섬진강 부착 조류중 동정 분류된 부착조류는 총 6강 15목 9아목 33과 13아과 90속 290종 42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였으며, 녹조 171종류, 규조 106종류, 남조 46종류, 유글레나 10종류, 쌍편모조 4종류, 황색편모조 2종류 순이었다. 계절별 조사에서 여름조사에는 219종류로 출현중의 64.6%를 차지하였으나, 겨울은 147종류로 43.4%로 가장 낮은 출현을 보였고, 조사기간동안 산정된 부착조류 현존량은 총 $12,240{\times}10^4\;cells{\cdot}L^{-1}$(총 현존량의 20.6%)로 최저치를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봄에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Cosmarium furcatospermum, Melsira granulata 등, 여름에는 Cyclotella meneghinana, Synedra ulna, Scenedesmus ecornis 등, 가을에는 Melsira granulata, Achnanthes minutissma, 겨울에는 Gomphonema parvulum, Cocconeis placentula var, euglypta, Melsira varians 등이 높은 출현을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전체적으로 0.10 - 0.43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점 2, 4, 8, 9 등에 비교적 낮은 우점도지수를 보였고, 지점 5, 6, 15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낙동강 중,하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화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Mid and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 김용재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29-337
    • /
    • 2004
  • Monthly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nducted to the investigation at five stations in mid and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from December 1995 to November 1996.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identified a total 456taxa which were composed of 136 genera, 427 species, 27 varieties and 2 forma.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ranged from 2.7 to 52.8 (${\times}$10³)cells·ml$^{-1}$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Bacillariophyceae was the dominant classes at all stations. The dominant species were 7taxa and the standing crops of these ranged from 18.3 to 95.1% of the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mid parts (st. 1, 2) of this river system were benthic species such as Navicula gregaria, N. viridula var. rostellata and Nitzschia palea, however it was planktonic species (Stephan discus hantzschii, Golenkinia radiata) and meroplanktonic species (Aulacoseira ambigua, A. granulata) in the lower parts (st. 3, 4, 5).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lower parts were appeared to the planktonic species (S. hantzschii) from winter to spring, and were the meroplanktonic species (A. ambigua and A. granulata) in from summer to fall. The lower parts of the Nakdong river were entropic states because the dominant species were composed A. ambigua, A. granulate and S. hantzschii which were indicators of entropic water qualit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otal standing crops and environmental factors(water temperature, pH, NH$_4$, NO$_2$, NO$_3$ and PO$_4$) were low positive or negative coefficients. S. hantzschii had low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 with water temperature, NH$_4$, NO$_2$, NO$_3$ and PO$_4$. As the result, the variations of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not caused by a single factor but controlled by the complex factors.

충주시 남한강의 관속식물상 분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Namhan River, Chungju-si)

  • 유주한;안영섭;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9-224
    • /
    • 2012
  • 본 연구는 충주시에 위치한 남한강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조사기간은 2010년 6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한강 주변의 능암, 목계, 장천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52과 164속 200종 23변종 2품종 등 총 22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로 나타났으며, 특산식물은 키버들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왕버들, 쥐방울덩굴, 뚜껑덩굴, 물쑥, 큰엉겅퀴, 질경이택사, 새방울사초 등 7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흰명아주, 끈끈이대나물, 갓, 흰전동싸리, 붉은토끼풀, 큰달맞이꽃, 둥근잎미국나팔꽃, 미국가막사리, 꽃족제비쑥, 큰도꼬마리, 미국개기장 등 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생활형은 교목(M) 13분류군, 관목(N) 13분류군, 지표식물(Ch) 14분류군, 반지중식물(H) 40분류군, 지중식물(G) 20분류군, 일년생식물(Th) 103분류군, 수생식물(HH) 2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전체 지역의 귀화율, 도시화지수, 교란율은 20.9%, 14.6%, 18.2%였다.

낙동강 상류 수계인 내성천의 부착돌말 군집과 부착돌말지수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of Naeseongcheon Located at the Upper Region of Nakdong River)

  • 최재신;이재학;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4호
    • /
    • pp.470-477
    • /
    • 2017
  • 본 연구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내성천과 지류들을 대상으로 총 15개의 지점에서 2016년 5월, 8월 및 10월의 총 3회에 걸쳐 이화학적 환경요인들과 부착돌말 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고, 생물학적 방법인 DAIpo와 TDI를 이용하여 수질을 평가하였다. 내성천 수계에서 출현한 부착돌말류는 2목 3아목 9과 35속 145종 16변종 2품종으로 구성된 총 163종이 출현하였다.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는 모든 지점에서 출현하였으며, Achnanthes lanceolata, Nitzschia fonticola, Nitzschia inconspicua와 Reimeria sinuate는 내성천의 보편적인 분류군들로 조사되었다. Nitzschia inconspicua와 Achnanthes minutissima가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CCA 분석 결과, 부착돌말 종조성은 전기전도도와 총질소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DAIpo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내성천의 DAIpo는 평균 62.38로 B등급이나, TDI로 평가한 결과, 내성천의 TDI는 평균 66.12로 C등급으로 나타났다.

Eco-Stone을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연구 -식재식물종의 처리구간 생장상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lope Greening Technique Using Eco-Stone -Focused on growth conditions of plant species among treatment blocks-)

  • 안태석;조현길;안태원;김지호;정경진;김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7-95
    • /
    • 2004
  • For the slope stability and revegetation of retaining wall, Eco-Stone was built beside a newly constructed road in August, 2002. Eco-Stone blocks were constructed in 4 different combinations of irrigation and soil types. Within the Eco-Stone, planted were 6 species such as Forsythia koreana, Rhododendron mucronulatum,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Rhododendron sp. Euonymus japonica, and Aster koraiensis. Shoot growth was greater on common soils than at a better soil treatment for Forsythia koreana(P<0.01) and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P<0.05),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other species. Biomass increment of the planted species als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rrigation types, except Rhododendron sp. and Aster koraiensis of which biomass was higher under irrigation than at no irrigation for common soils. Most of the planted individuals were alive, showing survival ratio of 90~97%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 block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co-Stone can be used economically for slope stability and revegetation instead of concrete blocks, without a specific soil and irrigation requirement.

2011-2012년 낙동강 하구 및 연안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Coastal Area, 2011-2012)

  • 정미희;윤석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214-226
    • /
    • 2013
  • 상류지역의 보 건설과 준설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던 2011년 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낙동강, 하구 및 연안역에 걸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14개 정점에서 총 12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동안 낙동강 유역의 월 누적 강수량은 0~502mm 이었다. 강유역은 표 저층 모두에서 해수의 영향이 없었고, 하구역 정점에서는 0.1~34.8 psu의 범위로 강우의 영향으로 염분 변동폭이 컸으며, 연안역에서는 홍수기인 7-8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정점에서 30 psu이상의 염분 특성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402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강유역에서는 178종, 하구 및 연안역에서는 331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강유역, 하구역, 연안역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2011년에 비해 2012년에 높게 나타났다. 출현빈도와 우점률 측면에서 전체 조사 수역의 상위 20종은 Stephanodiscus spp., Aulacoseira granulata, Aulacoseira var. angustissima, Pseudo-nitzschia spp.의 순었으며, 중요 분류군은 규조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각각의 정점에서 가장 우점비율이 높았던 종은 2011년(13종)에 비해 2012년(10종)에 다소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는 조사 연도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강 및 하구에 비해 연안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에 의한 군집분석을 이용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변화를 살펴보면 2011년은 조사시기에 따라 다양한 군집구조가 나타난 반면 2012년은 군집구조의 변화가 크지 않고 단순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11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단순화된 우점종의 수 및 군집구조 등은 낙동강 유역의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낙동강-하구-연안의 영양염 분포, 담수유출 및 범위의 변화 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생물군집의 통합적 분석이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원도 평창강과 유입천의 부착규조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 김지원;이용;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1-537
    • /
    • 2012
  • The information about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s, the species distribution and community of the epilithic diatom cells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of Gangwon-do were studied for assessment of biological water quality from June 2008 to October 2010. Total 112 diatom taxa were identified with 2 orders, 9 families, 26 genera, 95 species and 17 varieties. Among the total taxa identified, 13 taxa, 52 taxa and 15 taxa represented the family Achnanthaceae, Naviculaceae and Bacillariaceae,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the water was found to be neutral to alkaline due to the limestone grounds of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The 13 taxa including Epithemia adnata, belonged to alkaline-water diatoms, and three species - Cymbella japonica, Eunotia major and Fragilaria capitellata - are known to be acidic-water species. The species, Hannaea arcus, known as a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was identified at IF2, IF3 and IF4 in low water temperature environments at high altitudes, being a dominating species in P1 and IF1. Four saproxenous species -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Cymbella turgidula and Hannaea arcus - were dominant at some sampling sites. For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F2, IF3 and P3 showed low water quality class. The values of DAIpo and TDI were 10.6 ~ 98.0 and 13.8 ~ 94.2, respectively. Therefore, biological water quality in Pyengchang river and inflow streams was relatively desirable.

서열법(ordination)을 이용한 보성강 하천 습지의 식물군락 분포 특성 분석 (A analysis of plant communitie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oseong river wetland using ordination)

  • 이일원;김기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4-366
    • /
    • 2022
  • 하천 습지에서 생육하는 식물 군락의 분포와 생물과 비생물적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보성강내 하천 습지에서 식물 군락과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장소인 보성강 하천 습지는 화평습지, 반구정습지, 석곡습지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6월부터 9월까지 상관식생적 관점에서 식물군락 조사를 수행하였고 출현종의 피도는 Braun-Blanquet scale을 따랐다. 식물 군락 조사를 위한 방형구내에서 식물종과 각 종의 피도를 기록하였고 생물 요인으로 방형구 울폐도, 총 출현 종수, 외래종 수를 측정하였다. 비생물 요인으로는 고도, 방위, 경사도, 토성, litter 층 깊이, 우점종 흉고직경, 지형을 기록하였다. 총 50개의 방형구에서 버드나무와 달뿌리풀 군락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Shannon 종다양도 지수가 가장 큰 군락은 달뿌리풀-물피 군락이었다. DCCA에 의한 서열법 분석 결과, 하천제방, 제방사면, 상부고수부지권, 하부고수부지권, 고수변부, 수변부, 저수변부, 사주, 하중도, 개방수역 등 지형 요인에 의하여 가장 유의하게 군락이 분리되었다. 하천 습지에서 보전되어야 하는 희귀식물로서 자라풀과 낙지다리는 저수변부에서 발견되어 털물참새피 같은 생태계교란식물의 지형적 분포와 일치하여 저수변부의 하천 관리가 필요함이 밝혀졌다.

노근(蘆根)과 모근(茅根)에 대한 문헌고찰(文獻考察) (Literature Investig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蘆根]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茅根])

  • 조남경;김종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8-57
    • /
    • 2009
  • 1.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basis of Constitution assignment of Nogeun(蘆根, Phragmites communis Trin.) used to the medication for Taeyangin. Also, it is to recognize what kind of Constitution of Mogeun(茅根,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s needed to be assigned to. 2. Methods "Dongyi Soose Bowon", 'SinchukBon', 'ChobonKwun', other relat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books, herbal medicine books such as "Boncho Kangmok", and etc. were compared and researched. 3. Results & Conclusions : 1) Nogeun(蘆根) lowers Qi and harmonizes the body. Because of the effect of lowering soar-Qi(氣), it used to treat the symptoms of Taeyangin's vomiting(噎膈反胃, Stomach reflux due to dysphagia-occlusion). Also Yuksoo Nogeun(逆水蘆恨, Reed growing near the river in low scream) is the basis of considering inhale-gathering Qi effect as a major indication of Nogeun. 2) The theory of classifying White Mogeun as a Tae-eumin Medicinal is based on the effect of Radiating while classifying White Mogeun as a Taeyangin Medicinal is based on the effect of treating stomach reflux(反胃). But both basis are not conclusive and thus requires further study. 3) In "Sasang Geumge Bibang", the first text ever to write only about separate medicinals and Classified Foods (食物類) of each constitution, there were examples of Nogeun and Mogeun's usage based on other pre-existing medical texts. 4) Because White Mogeun is classified as Tae-yangin medication in "Dongmu Yugo", but classified as a Taeeumin's medication in "Dongyi Soose Bowon" 'ChobonKwun' and "Sasang Geumge Bibang", there remains a controversy.

  • PDF

호소 비탈면 녹화용 식물 선정을 위한 몇 가지 습생식물의 내침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oding Tolerance of Some Moisture Resistant Plants for Selecting Useful Revegetation Plant in Lake and Marsh Slopes)

  • 박성학;박종민;오현경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93-10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utilizable vegetations for the stabilization of slopes and river banks, landscape creation and water quality cleansing in dams, lakes and streams. In this study, 4 spec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te and partly flooding conditions with various flooding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showed the highest flooding tolerance based on survival rate and growth condition. Equisetum hyemale, Acorus gramineus and Salix gracilistyla followed after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in the order of flooding tolerance. Particularly, A. calamus var. angustatus and E. hyemale showed higher survival rate and grew well even when they we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up to 120 days. As they were partially submerged longer, they grew better. This ascertained that they had strong flooding tolerance. When A. gramineus were completely submerged in the water, their growth was disturbed but they did not die in the complete submergence up to 120 days. A. gramineus had a small growth disturbance and showed the highest vitality of leaves among the species. Though S. gracilistyla showed somewhat low growth rate in the complete water submergence and died in 90 days, it also can grow back to normal with some changes of water lev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