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 River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1초

낙동강 하구 사주섬의 식물상 (The Flora of Del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문성기;성정숙;이정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331-1341
    • /
    • 2008
  • For providing basic data on estuary conservation and pattern of vegetation succession of sand bar, the flora of delta was investigated from March 2004 to August 2006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f Korea. The flora in the eight surveyed areas was composed of total 159 taxa that belonged to 46 families, 123 genera, 133 species, 1 subspecies, 20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m, naturalized plants and evergreen broad trees were 31 taxa and 5 taxa, respectively. The communities of main species at delta of estuary were composed of 16 species such as Rosa rugusa community, Scirpus triqueter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Digitaria ciliaris community. Especially, Rosa rugusa community which are important to establish the southern limit line of distribution as the northern factor was distributed through Jinwoodo. The succession of main vegetation community in the new delta (Doyodeung) was in order of Carex scabrifolia, Scirpus triqueter, Phragmites communi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Therefore, the succession order of the surveyed area seems to predict the pattern of the vegetation succession of another deltas in Nakdong River estuary.

한강수계 상위고도 하천의 저온성 및 산악성 부착조류군집 (The Community of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at High Altitude Streams in the Han-river System)

  • 김용진;공동수;이옥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143-160
    • /
    • 2012
  • The community of periphyton was studied at high altitude streams of the Han-river System, including Buk-stream and Hangae-strea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0. The study had special emphasis on the distribution of the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In this research, 117 taxa of periphyton appeared and 80 taxa of diatom were included within these periphytons. Saproxenous taxa, such as Achnanthes convergens and Hannaea arcus var. subarcus were appeared in most sites, 7 sites were dominant by filamentous taxa in green and blue green algae. The DAIpo value was from 48.8 to 92.5 for the water system of this research. Most sites showed a good water quality, receiving a B class or above except the Woljeong-stream and the Daeki-stream.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appeared 9 taxa which composed by diatoms Cymbella affinis, Cymbella tumida, Diatoma mesodon, Diatoma vulgare, Eunotia pectinalis, Hannaea arcus, Hannaea arcus var. subarcus and Synedra inaequalis and green algae Ulothrix zonata. Among these taxa, Hannaea arcus var. subarcus, found in 29 out of 33 site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rance. The relative frequency of Hannaea arcus var. subarc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titude($r^2$=0.539)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r^2$=0.338). As a result, Hannaea arcus var. subarcu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in the research site.

밀양강의 식물플랑크톤상 (Flora of Phytoplankton in Milyang River)

  • 이종남;박연규;최철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07-613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of phytoplankton in Milyang River from July 1996 to April 1997.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206 kinds and composed of 2 var.-for., 5 forms, 35 varieties, 164 species, 70 genera, 31 families, 14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According to the seasonal variation, 131 species were founded in summer, 109 species in spring, 108 species in autumn, and 100 species in winter, respectively. Seasonal and stationary variation of standing crops were between 10 and 5.600 cells/mι. At station 7, Cyclotella meneghiniana was bloomed 5,000 cells/mι(89.7%) in winter,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was bloomed 3,400 cells/mι(74.3%) in spring. The number of species and standing crops were increased with proceeding from upper stream to lower stream. Important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24 species, that are 4 species of Cyanophyta (Aphanocapsa elachista, Merismopedium glaucum, Lyngbya limnetica, Oscillatoria tenuis), 12 species of Crysophyta (Melosira varians, Stephanodiscus hantzschii, Cyclotalla meneghiniana, Fragilaria construens var. venter, Navicula cryptocephala, Cymbella ventricosa, Gomphonema olivaceum), and 8 species of Chlorophyta (Chlamydomonas reinhardi, Eudorina elegans, Pandorina morum, Oocystis borgei, Scenedesmus quadricauda, Microspora crassior). According to the similarity index among the stations, it was generally defind as two water areas such as upper stream(station 1~3) and lower stream(station 4~7).

  • PDF

금호강(대구, 경북)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Syntaxonomy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rbaceous Vegetation on Running Waterside in the Main Stream of Geumho River, Daegu and Gyeongsanbuk-do, Korea)

  • 이호준;정흥락
    • 환경생물
    • /
    • 제19권4호
    • /
    • pp.239-247
    • /
    • 2001
  • 1994년 6월부터 8월까지 금호강 본류의 유수변 초본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수질환경과 관련된 식생의 분포특성을 밝혔다. 금호강 본류의 하변식생은 여뀌-미꾸리낚시군락(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물봉선군락(Impatiens textori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물피군락(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의 6군락으로 분류되어있다. 수질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BOD와 COD는 상류에서 각각 0.9ppm과 1.6ppm을 보였으며,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여 최하류에서는 각각 15.9ppm과 24.8ppm으로 나타났다. 하변식생의 분포유형은 최상류에 물봉선군락, 상류에서 중상류까지 여뀌-미꾸리낚시군락, 상류에서 중류까지 고마리군락, 중류에서 중하류까지 줄군락, 중하류에서 하류까지는 갈대군락 및 물피군락이 주로 우점하였다. 특히, 여뀌-미꾸리낚시군락과 고마리군락은 수환경의 생물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두만강 접경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Tuman River in China)

  • 안영희;김봉찬;강기호;조동광;이철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200
    • /
    • 2003
  •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이루는 두만강 접경지역을 따라 중국 측에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2과 287속 470종 57변종 4품종, 총 531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나타났다. 식물상 조사는 고층습지, 해안사구, 하천, 고산초원,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혼효림, 노방식물군 등 다양한 생태환경의 대상지에서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로 솔나리, 산작약. 깽깽이풀, 가시오갈피, 대청부채, 큰연령초 등 6종이 조사되었으며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돌쩌귀, 창포, 끈끈이주걱, 부채붓꽃. 깽깽이풀,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말나리, 산작약, 낙지다리, 모새달, 층층둥굴레, 붉은인가목, 흑삼릉, 백리향, 큰연령초, 통발, 덩굴용담, 들쭉나무, 월귤, 가시오갈피 등 21종이 나타났다. 조사된 관속식물 가운데 종비나무, 잎갈나무, 만주자작나무, 비술나무, 물황철나무, 백산차, 황산차, 닥장버들, 부전자작나무, 회령사초, 양뿔사초, 산부채, 하늘매발톱, 황기, 달구지풀, 방풍, 꽃고비, 황금, 린네풀, 왕과, 목향. 금혼초, 누른진범, 키다리바꽃. 끈끈이딱지꽃 등은 남한에 자생하지 않는 중국의 동북지역 특산식물로 조사되었다.

제주도 멸종위기종 솔잎란(Psilotum nudum) 자생지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Psilotum nudum Habitat in Jeju Island)

  • 최영은;김창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Psilotum nudum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in Jeju Island. The total of 79 vascular plants taxa including 39 families, 58 genera, 75 species and 4 varieties were investigated in Dosuncheon river, while 59 vascular plants taxa consisting of 34 families, 50 genera, 53 species and 6 varieties were investigated in Anduck valley. When it comes to the life form, the rates of distribution of annual plants (therophytes) at the mouth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However, the rates of distribution of chamaephytes and epiphytes were higher at the mouth of Dosuncheon river and Anduck valley. As for vegetation, epiphytes (such a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and Lemmaphyllum microphyllum) and adiantum plants (including Psilotum nudum, Cytomium fortunei and Rumohra aristata), which are typically easy to be dispersed in rocky zones, dominated these areas since they are vertical or horizontal joints containing wide rocky zones. The main threats to the habitats of Psilotum nudum are environmental pollution, lack of publicity,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recreational facilities, gathering for medical and horticulture purposes, vegetation succession and application of waterfront. The management of the rocky zones as habitats for Psilotum nudu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expansion.

프랑스 Var River 유역을 대상으로 한 수치해석 모델 비교 (The Comparison of Numerical Analysis Models in Var River, France)

  • 최계운;박지은;김세진;박지영;이소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9-439
    • /
    • 2011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세계의 기후, 날씨가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한국, 프랑스,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이상홍수 및 이상가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가 빈번한 현황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홍수피해를 저감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방법 중에서도 특히 설계 또는 계획수립 시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수치해석 및 수리실험 방법을 들 수 있다. 특히, 수치해석은 수리실험에 비해 비교적 짧은 시간과 경제적인 장점이 있으므로 많이 이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통해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니스 지역 Var강의 역사상 가장 큰 실강우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의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수위 관측지점의 수위자료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니스지역의 Var강으로 선정하였다. 이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에 속해 건조하고 따뜻한 날씨였지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잦은 강우와 홍수 등이 발생하고 있다. 가장 심한 피해가 발생했던 1994년 11월에 발생한 폭우로 인하여 최대 유량이 $3,500m^3/s$까지 관측 되었으며 이는 평균 유량인 $50~100m^3/s$의 35~70배에 달하는 유량이다. 이 홍수로 인해 Var강 유역의 많은 지역이 물에 잠기고 2개의 수중구조물이 파괴되는 등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치모형은 미 공병단의 HEC-HMS와 상용 프로그램인 MIKE11과 ISIS이다. MIKE11과 ISIS는 1차원 수리분석모형 프로그램으로써 흐름, 속도, 유량, 수질, 유사이동 등 개수로에서 여러 수리학적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실제 수위자료와 수치모의를 통한 결과값의 비교를 위해 GIS를 통해 얻은 유출계수, 유로경사, 소유역 분할 등을 이용하고 역사상 가장 크게 발생한 1994년의 실강우 이용하여 HEC-HMS을 통해 수문곡선을 작성한 후 동일한 매개변수를 이용하고 검 보정을 통해 MIKE11과 ISIS를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고 실제 수위자료와 프로그램 MIKE11와 ISIS의 결과값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Var강 유역에서 수치모의를 한 결과, 각 프로그램을 사용한 결과값은 실제 수위자료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동일한 매개변수를 이용하였을 때 각 프로그램을 사용한 결과값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검 보정을 실시 한 후 ISIS의 결과값이 실제 수위자료와 더 흡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백두산(白頭山)의 고등균류상(高等菌類相)에 관(關)한 연구(硏究)(I) (The Mycoflora of Higher Fungi in Mt. Paekdu and Adjacent Areas (I))

  • 박성식;조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8
    • /
    • 1992
  • 1991년 7월 28일부터 동년 8월 12일까지 백두산과 송화강의 유역 및 그 부근에서 고등균류 420여점을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2아문, 4강, 2아강, 12목, 51과, 141속, 336종을 확인하였다. 우점종은 깔대기버섯, 배불뚝이깔대기버섯, 참낭피버섯, 무명버섯, 붉은벚꽃버섯, 청머루무당버섯, 냄새무당버섯, 잿빛헛대젖버섯, 큰붉은젖버섯, 말똥진흙버섯이다. 한국에 처음 보고되는 종은 Amanita muscaria var, regaris(광대버섯아재비), Voluariella speciosa var. speciosa(예쁜털버섯아재비), Cortinarius alboviolaceus(흰보라큰적버섯), C. violaceus(보라끈적버섯), Inocybe griseolilacina(회보라땀버섯), I. hirtella var. hirtella(센털땀버섯아재비), Boletinus Paluster(방망이황금그물버섯), Crepidotus badiofloccosus(노랑털귀버섯), Lactarius circellatus var. circellatus(작은테젖버섯아재비), L. controversus(쌈젖버섯), l. cilicioides(염소털젖버섯)이다.

  • PDF

낙동강 중류 지역의 부착규조 군집의 변화와 유기오탁지수(DAlpo)에 의한 수질평가 (Variations of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DAlpo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최재신;김미경;박정원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70-77
    • /
    • 2004
  • 본 연구는 낙동강 중류 지역에 9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2002년 5월부터 2003년 1월까지 2개월마다 각각 1회씩 채집 ${\cdot}$ 조사하였다. 동정된 부착조류는 모두 102분류군으로 33속 139종 23변종으로 구성되었고, Achnanthes minutissima, Navicula subminuscula, Navicula viridula var. rostellata, Nitzschia inconspicua 및 Nitzschia palea등 5분류군이 조사 기간 내내 출현하였다. 본 조사정점의 DAlpo의 월 평균값의 범위는 30.90${\sim}$44.61로 ${\beta}$-중부수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