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ue Regarding Child Rear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연변지역 조선족의 가족생활 및 육아방식의 실태조사 (- A Survey of Child-Rearing Practive and Family Life of Korean-Chinese Families in Yanbin Area-)

  • 조복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4
    • /
    • 1993
  • Two hundred and fifty tow Korean-Chinese women were administere the Questionnaire regarding child-rearing practice and husband-wife relations, with an assumption that Korean-Chinese in Yanbian area would preserve the traditional value in family lief because of the cultureal frozen phenomena. The results of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y keep some traditional child-rearing practice such as the prenatal education and the first-year birthday party. However, the value of boy preference was not widely prevalent in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equality in husband-wife relation was not found to be attained even though in Communist society.

  • PDF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가치 및 미래 기대와 양육분담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Regarding Children and Their self-evaluated Shared Parenting)

  • 김수연;김다혜;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01-214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on children and their self-evaluated equivalence to their spouses in child rearing practices. Methods: The data were from 997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3).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SPSS 20 Program. Results: Fathers with emotional values on children or future expectations focused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altruism are more willing to share child raring practices with their partners. In contrast, fathers with expectation focused on future financial success of their children are less willing to share parenting with their partners. Conclusion/Implications: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are meaningful predictors of shared parenting in married couples with young children. However, the directions of associations differ based on which types of values and future exportations fathers have regarding their children.

일부 연세지역 부인들의 자녀를 원하는 이유의 분석에 대한 기초연구 (A Study of the Reasons for Wanting Children Among Women Under Thirty Five Years of Age Residing in the Yonsei Community Health Area)

  • 이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90
    • /
    • 1973
  • Since there is nothing in the literature regarding how Koreans value their children,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attempting to (1) generate ideas as to why women of child- bearing age want children and (2) discover asp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fertility behavior according to socio-economic class and level of education. Fifty women from the Yonhee A Citizen′s Apartment and 50 women from the slum area surrounding the Yonhee Apartment were interviewed by the investigator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10 to October 25, 1972. All of the women interviewed were under 35 years of age and had more than one chil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tatus of current family planning practice, the number of induced abortions and the reasons for wanting children. An open ended question followed by a forced choice question was the method used to determine the reasons for wanti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alf of all the respondents were between 30 and 34 years of age. 2. 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no schooling, 51 percent had graduated from primary school, and 45 percent were educated beyond middle school. 3. The most important reasons tot wanting children given by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 carrying on the family name, (2) old age security, (3) value of life, (4) fun of rearing children, (5) avoidance of loneliness, (6) responsibility of women. 4. The number of consistent answers between the open ended and forced choice questions regarding reasons for wanting childr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30 women among the total respondents gave consistent answers. Carrying on the family name was the category in which there was the highest rate of consistency. 5. The reasons for wanting childr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ge, educational level, and number of living children for all of the respondents. 6. In response to the question "If you want to have only one child, which sex , would you prefer\ulcorner" 96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select a son. 7. Majo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to differentiate. (1) between reasons women want children and reasons women have children and (2) between reasons men want children and reasons women want children.

  • PDF

맞벌이 가정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 (Examination of Generating Mechanism Concerning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 Park, Ji-Sun;Kondo, Rie;Kim, Jung-Suk;Sasai, Tsukasa;Takahashi, Shigesato;Park, Chun-Man;Nakajima, Kazuo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7-70
    • /
    • 2009
  • 목적: 이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을 인과관계모델로 구축하여 이 모델에 대한 데이터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조사대상은 I 현 A,B시, II현 C시의 어린이집 21곳과 유치원 4곳을 이용하는 2,006세대(A시:499세대, B시:1113세대, C시:98세대)의 부친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은 부친의 연령, 학력, 자녀수, 막내자녀나이, 부모역할관, 1일 노동시간, 귀가시간, 육아참가로 구성하였다. 결과: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과정 모델의 데이터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적합도 지표는 CFI=0.912, RMSEA=0.082였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막내자녀나이에서 긍정적 부모역할관으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08, 긍정적 부모역할관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1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저해요인으로서 상정한 귀가시간과 1일 노동시간은 부친의 긍정적/부정적 부모역할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육아참가에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귀 시간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43, 노동시간에서 육아참가로 향하는 경로계수는 -0.13, 귀가시간과 노동시간 간의 상관계수는 0.80이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모델의 타당성을 증명하였고, 부친의 육아참가 발생 매커니즘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 자녀가치, 양육지식, 자녀미래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of Continuou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 Values, Knowledge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

  • 송영주;이미란;천희영
    • 아동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5-3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continuous working and continuous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ognitive variables about child-rearing, using the 3r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the non-working mothers was higher than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working mothers. The increase in stress was only found both groups between the second year and the third year of childbirth.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knowledge, values and expectations regarding their children saw stress increase for the working mothers, but saw it decrease for the non-working mothers. Finally, the emotional value surrounding parenthood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both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the non-working mothers' stress, as experienced in the first year.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n Influencing Factors on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금재;이에리쟈;박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77-38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S시의 일개 종합대학의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총 38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정도는 평균평점 4점 만점에 간호대학생 3.04점, 일반대학생 3.12점으로, 두 군 모두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대학생이 간호대학생보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대학생은 생명존중의식과 지각된 윤리가치관이 높을수록, 일반대학생은 생명존중의식이 높을수록, 성태도가 보수적일수록, 자녀 중심적 의식이 높을수록 생명의료윤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두 군 모두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는 생명존중의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 의료인이 될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해 교과 과정에 윤리교과목의 학점 비중을 높이고 학점과 병행한 다양한 매체 활용 및 특강 등을 통해 윤리교육의 양적, 질적 수준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스웨덴의 시간제근로: 유연성과 성평등의 긴장 속 공존 (Part-time Work in Sweden: The Coexistence in Tension of Flexibility and Gender Equality)

  • 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97-323
    • /
    • 2011
  • 스웨덴 시간제근로가 주로 여성들의 일자리로 자리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화되지 않고 좋은 일자리로 자리잡게 된 데에는 다음 세가지 조건이 가장 중요하였다고 판단된다. 첫째, 스웨덴에서 시간제근로는 고용유연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라기 보다는 생계부양자 모형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포괄적인 일-생활 양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확산되었으며 보육정책, 육아휴직정책과 긴밀하게 연계되어 시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단시간근로 청구권을 바탕으로 한 전환형 시간제가 많아 종사상 지위의 측면에서 볼 때 전일제와 시간제의 지위 상 경계의 구분이 쉽지 않고 부가급여, 사회급여에서 차별적 대우의 근거가 없다는 점이다. 세째 EU근로시간 지침과 노동법, 단체협약에 의해 전일제근로의 노동시간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시간제근로에 대한 수요가 크고 그와 함께 시간제근로의 초과근무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어 시간제근로가 실질적으로 안착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시간제근로가 스웨덴 여성들의 경제활동 및 생애과정에 미친 영향과 관련해서는 시간제근로가 여성 고용률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데는 연구자들 간에 큰 이견이 없다. 1970년대 이후 시간제근로의 확산 과정을 보면 시간제근로는 기존에 경제활동을 하고 있던 전일제 여성근로자들을 시간제로 전환시킨 것보다는 경제적으로 비활동적이었던 여성들을 노동시장으로 끌어들인 효과가 훨씬 컸다. 시간제근로 확산 이후 스웨덴 여성들의 생애과정의 지배적인 패턴은 양육기 이전 전일제-양육기 시간제-양육기 이후 전일제로 양육기의 경력단절이 최소화된 패턴으로 대체된 것으로 평가된다. 성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스웨덴의 시간제근로는 여성화의 문제, 여전히 온존하고 있는 성별직종분리의 문제 등 분리된 일자리라는 한계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노동시장 통합도를 높이고 전일제로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긍정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