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cuum extraction deliver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312초

진공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에서 발생한 Achromobacter xylosoxidans에 의한 두피 농양 1례 (A case of scalp abscess caused by Achromobacter xylosoxidans after vacuum delivery)

  • 박은영;권문경;민선정;황형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51-454
    • /
    • 2006
  • Achromobacter xylosoxidans는 호기성 그람음성균으로 면역 저하자와 신생아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신생아에서 두피 농양은 주로 태아 감시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고 대개 여러 균감염이 된다. 저자들은 진공분만으로 출생 후 두피 농양이 발생하였고 Achromobacter xylosoxidans가 배양된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A Floppy Baby with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Complicated with Huge Subgaleal Hematoma Occurring in Non-instrumental Vaginal Delivery

  • Yim, Shin-Young;Cho, Kye-Hee;Kim, Jae-Young;Hong, Ji-Yeon;Lee, Il-Yung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6권2호
    • /
    • pp.166-169
    • /
    • 2009
  • 모상건막하 혈종은 주로 진공흡인기 혹은 겸자 등을 사용하는 보조 질식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 비보조 질식분만과정에 발생하는 예는 드물다. 또한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과 모상건막하 혈종의 동시 발생은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비보조 질식분만 과정에서 모상건막하 혈종이 발생하였고, 이후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진단된 증례를 경험한바, 이는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에서 발생한 비보조 질식분만 과정과 관련된 모상건막하 혈종의 첫 증례인 것으로 판단되어 보고하고자 한다. 본 아동은 임신 기간 중 양수과다증과 태동의 저하를 보였으며, 출생직후 촬영한 뇌컴퓨터단층촬영 상좌측 두정부 및 후두부에 모상건막하 혈종이 발견되었으며 생후 2개월에 모계에서 유전된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으로 진단되었다.

  • PD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subgaleal hemorrhage in newborn

  • Lee, Sun Jin;Kim, Jin Kyu;Kim, Sun 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12호
    • /
    • pp.387-391
    • /
    • 2018
  • Purpose: Subgaleal hemorrhage (SGH) is a rare but potentially fatal condition in newborns;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is condition. We aimed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SGH.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neonates diagnosed with SGH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17. Enrolled neonates were clinically diagnosed when they had tender fluctuant scalp swelling that crossed the suture lines. Results: Among 20 neonates with SGH, 12 were boys and 7 were girls; median hospitalization duration was $9.7{\pm}6.9days$. Fourteen neonates (70%) were born via vacuum-assisted vaginal delivery, and 4 via vacuum-assisted cesarean section. Of the neonates enrolled, half of them initially showed unstable vital signs, including apnea, desaturation, and cyanosis. Ten neonates had acidosis and 3 had asphyxia (pH<7.0). Intracranial lesions associated with SGH were observed in 15 neonates (75%), including subdural hemorrhage (50%), subarachnoid hemorrhage (15%), intraventricular hemorrhage (5%), cerebral infarct (15%), skull fracture (30%), and cephalohematoma (20%). Twelve neonates (60%) required transfusion, 5 (25%) had seizures, and 3 (15%) died. Eight neonates (40%) had hyperbilirubinemia (mean total bilirubin, $13.1{\pm}7.4$).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8.4{\pm}7.5months$. At follow-up, 10 neonates (58.8%) were healthy with normal development, whereas 7 (41.2%) had neurological deficits. Conclusion: The morbidity rate was 41.2% due to severe metabolic acidosis. Anemia, hyperbilirubinemia, low Apgar scores, and subdural hemorrhage did not affect the prognosis. The long-term outcomes of neonates with SGH are generally good. Only arterial blood p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ath.

쌍태임신에 관한 임상 간호학적 관찰

  • 이귀향;이성학;박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3-110
    • /
    • 1970
  •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percental mortality rate of the multiple pregnancy is almost twice of the single pregnancy due mainly to their prematurity and the mothers of twins will also be suffered from the plural births to nurse and take care of them. We therefore studied the incidence, the sex ratio, the types of deliveries, the complications and the percental mortality rate of the twin deliverie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our field of maternal and child nursing. We selected our materials from the 112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and delivered twins in the department of OB. & Gyn. of the S.N.U. Hospital from Jan. 1962 to Dec. 1969. The abstruct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wins among 7, 731 births was 1:69 2. The occurrence of twins from elder multigravida was 4 to 6 times higher than younger primigravida mothers under 35 years of age. 3. The generational length of 45.5% of all twins was under 38 weeks and the mean birth weight of 1st and 2nd twins were 2, 354.7gm and 2, 215.8gm respectively. 4. The sex ratio of twins was 99 males and 124 females. 5. Presentation of twins: 59 cases (52.69%) were in both vertex. 37 cases (33.03%) in vertex plus breech. 15 cases (13.39%) in both breech and one case (0.89%) in transverse presentation. 6. For the types of deliveries Spontaneous deliveries were in 90 babies (40.6%) Breech extraction in 60 babies (26.3%) Vacuum used in 33 babies (15.0%) Cesarean section in 33 babies (9.8%) Forceps in 9 babies (4.2%) and others such as version and destructive measures in 9 babies (4.1%) 7. Intervals between the 1st and 2nd delivery were analyzed and 93% of 2nd twins were delivered within minutes after 1st delivery. 8. The main complications of twin deliveries were totemic (45.5%), second was postmarital hemorrhage (19.6%) and third was hydrations (7.1%) 9. The mean percental mortality of 1st and 2nd twins was 12.52% and 16.96% respectively of which main cause of death were their prematurity.

  • PDF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ork Activit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김기전;송브라이언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70-2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 "C" 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플라즈마 블라스팅, 공압파쇄, 진공추출이 활용된 지중 토양정화공법의 정화제 주입에 따른 투수성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mproving Permeability by Injecting a Soil Remediation Agent in the In-situ Remediation Method Using Plasma Blasting, Pneumatic Fracturing, and Vacuum Suction Method)

  • 이근춘;송재용;강차원;장현식;장보안;박유철
    • 지질공학
    • /
    • 제33권3호
    • /
    • pp.371-388
    • /
    • 2023
  • 지층구성이 복잡하고 저투수성의 토양이 분포하는 경우 정화효율은 급격히 저하되고 실질적인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화기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효율적인 정화를 위해서는 투수성이 개선되어 오염된 구간으로 정화제 주입하여 오염물질과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균열형성과 효과적인 정화제 유도를 위해 플라즈마 블라스팅, 공압파쇄, 진공추출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PPV 공법의 유체 전달특성을 분석하고 기존공법과의 비교를 통해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는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s)로 오염된 실제 오염부지에 대한 정화제 전달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정화제의 전달특성과 영향범위 등을 산정하기 위해 주입량과 주입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정성적인 지중환경 변화요인을 확인하고자 전기비저항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투수시험을 수행하여 각 공법에 대한 투수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정화제의 주입량 모니터링 결과, 주입량은 대조군 대비 실험군의 주입량이 약 4.74~7.48배 증가하였고, 단위 시간 당 주입 유량(L/min)은 약 5.00~7.54배 실험군의 전달률이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실험군의 비저항변화비는 대조군과는 달리 지표까지 영향을 주어 비저항값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실험군은 지표 상부에 분포하는 토사층까지 과산화수소 등의 유체 확산이 이루어져 저비저항 변화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주입정과 추출정 사이의 수평적 변화비는 약 1.12~2.38배 비저항값이 감소되었다. 투수성의 경우,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유사한 초기 투수성을 보였으나 과산화수소의 정화기작 영향으로 투수성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리전도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면, 대조군은 시험 종료 후 초기 수리전도도 대비 21.1%의 수리전도도를 나타내어 투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실험군은 실험종료 후 초기치 대비 81.3%로 초기 수리전도도와 근접한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장조사로 확인된 수리전도도와 정화재 주입실험을 통한 정화제 주입용량(m3/hr), 토양특성분석(함수비, 밀도)을 통한 공극률(%)의 분석을 통해 영향반경(ROI)을 산정산 결과, PPV 공법의 영향반경(ROI)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 220%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성과는 PPV 공법 적용으로 인하여 기존공법 대비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효율적인 정화제 전달이 가능하고 정화기작에서 나타나는 투수성 저해요인을 상당부분 극복할 수 있으며, 약 2배 이상의 영향반경 증대를 통해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지시하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플라즈마 블라스팅, 공압파쇄, 진공추출이 활용된 지중 토양정화공법의 정화 개선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 Situ Soil Remediation Using Plasma Blasting, Pneumatic Fracturing and Vacuum Suction)

  • 송재용;이근춘;강차원;김은섭;장현식;장보안;박유철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85-103
    • /
    • 2023
  • 점토와 같은 세립질 또는 유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거나 다져진 지층을 대상으로 지중(in-situ) 정화를 진행하는 경우, 정화효율이 떨어져 정화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토양조건이 양호하더라도 균일하지 않은 토질특성과 낮은 투수특성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정화를 수행하여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지중정화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압파쇄, 진공추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접목한 기술(PPV공법)의 정화효과 확인과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기술을 실험군으로 하고 기존 공법인 화학적산화공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TPH로 오염된 토양에서80일에 걸쳐 각각 지중정화를 수행하였으며, 총 4차에 걸쳐 모니터링 시료를 채취하여 정화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대조군은 정화제 전달효과가 불량하여 오염도의 감소 경향성을 보이지 않는 반면 실험군(PPV공법) 적용에서는 정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오염도 저감효과가 나타난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최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경향성이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62.6%, 1.1~2.0 m에서 90.1%, 2.1~3.0 m에서 92.1%의 정화효과를 보인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평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실질적인 정화효과가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53.6%, 1.1~2.0 m에서 82.4%, 2.1~3.0 m에서 68.7%의 정화효과가 확인되었다. TPH 최대 및 평균 오염농도의 변화를 토대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은 대조군 대비 149.0~184.8%의 정화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균 정화효과 상승률은 약167%이다. 시간경과에 대한 TPH 농도를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초 농도 대비 80% 저감기간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화학적산화공법 적용시보다 184.4%의 정화시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단일 부지에 대한 평가 결과이기 때문에 모든 지층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과를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