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cinum oldhami frui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RAW 264.7을 이용한 정금나무 열매(Vaccinum oldhami fruit)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erification of Vaccinum oldhami Fruit Ethanol Extracts on RAW 264.7)

  • 이진영;주다혜;유단희;채정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7-422
    • /
    • 2017
  • 본 연구는 천연물 소재인 정금나무 열매(Vaccinum oldhami fruit)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로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500{\mu}g/ml$ 농도에서 118%를 나타내었다.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변화하는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최고농도 $1,000{\mu}g/ml$에서 47.3%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금나무 열매 에탄올 추출물을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처리한 세포군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여 최고 농도인 $500{\mu}g/ml$에서 각각 36.13%, 29.61%의 발현 억제를 보여주었다. Reverse-transcription PCR을 통하여 mRNA 발현양을 측정한 결과 iNOS와 COX-2의 mRNA 발현양이 감소하여 $500{\mu}g/ml$ 농도에서 62.25%, 90.07%로 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정금나무 열매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에 관한 그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염증 화장품 소재개발 이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의 분리 정제물(클로로겐산, 퀘르세틴 및 퀘르시트린)에 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검증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Quercitrin from the Fruit of Vaccinum oldhami)

  • 채정우;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8
    • /
    • 2023
  •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를 분리 정제하여 클로로겐산(CA), 퀘르세틴(QT) 및 퀘르시트린(QR)을 얻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91.9%, 89.9%, 77.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QT 및 QR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9.5%, 91.4%를 나타내었으며, CA는 1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이 농도에서 29.5%, 34.7%, 23.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해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CA, QT, QR 모두 1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에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QT에서는 TRP-1, TRP-2 및 tyrosinase에서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A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QT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QR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의 결과에 따라 CA, QT, QR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