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CLIMATE ZON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Descrip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오해성;이경연;김종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8-131
    • /
    • 2018
  •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서식처의 균질성을 강조하는 Z.-M. 학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52개 식생자료가 획득되었고, 출현식물 총 265분류군의 행동양식은 9계급의 변환통합우점도와 상대기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식생자료의 모둠화 과정을 통해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그 분포와 현존균질도 등이 분석되었다. 4가지 상관우점식생 속에 9개 식물군락이 기재되었다: 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신갈나무-뱀고사리군락, 졸참나무-둥근잎천남성군락, 굴참나무-털조록싸리군락, 떡갈나무-털피나무군락, 서어나무-털대사초군락, 느티나무-등칡군락, 들메나무-개면마군락, 소나무-가는잎그늘사초군락. 삼림식생의 대상분포가 논의되었고, 표고 약 700 m가 냉온대 중부 산지대(신갈나무-생강나무아군단역)와 남부 저산지대(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의 전이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종조성의 낮은 균질성이 특징이었다. 결론적으로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지역생물기후구-대구형> 속에서 더욱 강한 대륙성 생물기후환경과 세립질 풍화토와 암편을 공급하는 유문암질 응회암 우세의 지질 환경에 대응하는 고유성이 큰 지역식생이고, 산불 영향이 더해진 근자연림 또는 이차림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 Chichibu산지 계반림의 입지환경 (Riparian forest and environment variables relationships, Chichibu mountains, central, Japan)

  • Ann, Seo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100
    • /
    • 2003
  • In most mountainous parts of the temperate zone of Japan along the Pacific Ocean, some climatic climax forests, whose main dominant species is Fagus crenate, F. japonica or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are distributed. In the riparian regions of the zone, however, there appear summer green forests composed of the different species from the climatic climax forests. Clim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distribution of vegetation, but some environmental factors, i.e., topography, soil type, soil moisture content, etc. have a great influence on vegetation formation. Riparian forests seem to be controlled by various geomorphologic disturbances, such as landslide, soil erosion and accumulat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vegetation, soils and landform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riparian forests dominated by Fraxinus platypoda and Pterocarya rhoifolia establishment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central Japan. The study area extends an area of 302 ha with a range of elevation between 925 m and 1,681 m at the Chichibu mountains. The landforms were corditied at sampling grids (25 $\times$ 25 m, n = 4,843) using a hierarchical system,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forest soil classification was also given. The mutual relationship analysis indicated that forest soils and landfor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of riparian forest, and shaping the ultimate pattern of vegetation. At the study area, riparian forests were mainly found on the $B_E$ forest soil type and steep slopes ( > 30$^{\circ}$) at convex slopes along the stream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slo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parian forests. A mosaic of patchy distribution of those riparian forests on the slightly wetter $B_E$ forest soil type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tudy area. This particular soil which contained large talus gravels was found on the land formed by erosion and deposition of landslide.

설악산 대청봉일대 산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유형 및 관속 식물상 특성 (Phytosociological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and Flora of Vascular Plants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Daecheongbong Area in Mt. Seorak)

  •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30-149
    • /
    • 2017
  • 기후변화에 취약한 한반도 아고산대는 한대성 북방계식물의 서식처이다. 본 연구는 아고산대 산림의 군집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복원 및 관리방안의 기초자료 제공목적으로 설악산 대청봉 일대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및 식물상을 구명하였다. 2016년 5월부터 10월까지 31개소의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 중요치, CCA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분비나무군락에서 군단위로 눈잣나무군, 만병초군, 바디나물군, 이상 총 3개의 식생유형(VU)으로 분류되었다. 식별종군으로는 눈측백 식별종군, 자주솜대 식별종군을 포함하여 총 7개 종군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균 상대우점치 분석(MIP) 결과, VU 1의 MIP는 잣나무(24.1), 분비나무(23.6), 사스래나무(10.5) 등, VU 2의 MIP는 잣나무(26.2), 분비나무(20.8), 사스래나무(10.5) 등, VU 3의 MIP는 잣나무(22.2), 분비나무(16.4), 사스래나무(13.5) 등의 순이었다. 층위별 주요 경쟁수종인 잣나무와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VU 1의 교목층에서 잣나무가 46.7, 분비나무는 26.1로 잣나무가 우세하나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에서는 분비나무의 중요치가 잣나무에 비해 높았고, VU 2와 VU 3에서도 교목층은 잣나무의 중요치가 높았지만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냈다. CCA ordination 분석 결과, 눈잣나무군은 해발고, 바디나물군은 출현종수와 다소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은 11분류군, 희귀식물은 24분류군으로 북방계 식물의 비율이 62.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분류된 3개의 식생단위와 분비나무 및 잣나무의 층위별 중요치 변화에 대한 식생학적 접근의 장기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희귀특산식물에 대한 개체군 및 군집생태학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삼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한반도 자연 식생의 기후변화 적응성 평가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 정휘철;전성우;이동근;마츠오카 유즈루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5호
    • /
    • pp.383-393
    • /
    • 2003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향후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1^{\circ}C$에서 $3.5^{\circ}C$ 상승할 경우, 각 기후대가 극방향으로 약 150~550km 이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기후변동 연구결과들은 삼림의 이동속도를 100년간 4~200km로 추정하고 있어 식생이 기후대의 이동을 따라가지 못하여 사멸되는 지역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약 960km의 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성을 가진 한반도 역시 이러한 영향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기존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함께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한 영향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IPCC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RES 시나리오의 대기대순환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 결과와 AIM(Asia Integrated Model)/Impact[Korea]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된 Holdridge 생물기후분류의 연구성과를 이용하여, CO2농도 배증시의 한반도지역의 자연식생 영향과 적응 가능성을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삼림의 이동속도를 0.25, 0.5, 1.0, 2.0(km/yr)로 변화시키며 2100년 한반도 자연식생의 기후 변화 영향을 평가한 결과, (1)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년간 1km 이상일 경우 삼림 피해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2) 이동이 느린 0.25km/yr의 경우, 생육위험지역을 포함한 시나리오별 전체 피해규모는 A2(17.47%), A1(9.97%), B1(6.21%), B2(5.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삼림소멸의 경우는 A2, B2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며 A2 시나리오에서 한반도의 약 2.1%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3) 전반적인 생육위험 지역의 분포는 함흥만, 영흥만의 동해안지역에 집중되었으며, A2 시나리오의 극단적 소멸예상지역은 금오산, 가야산, 팔공산을 연결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Above-ground Vegetation in a Sandy Floodplain, South Korea

  • Cho, Hyung-Jin;Jin, Seung-Nam;Lee, Hyohyemi;Marrs, Rob H.;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3호
    • /
    • pp.145-155
    • /
    • 2018
  • In a monsoonal climate, the soil seed bank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regeneration after the severe annual floods that disturb above-ground vegetation within the riparian z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vegetation, we measur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oil seed bank and the extant above-ground vegetation in six major plant communities (Artemisia seleng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nodosa, Phalaris arundinacea, Phragmites japonica, and Rorippa palustris)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A total of 21 species germinated from the floodplain soil seed banks. The most diverse seed bank (21 species) was found in the A. selengensis community, wheres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was found in the R. palustris community (2 species). Most soil seed banks were composed of annuals (90%), exceptions being Rumex crispus and Artemisia princeps, which are perennial ruderals. The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above-ground vegetation was low with Sorensen's similarity indices averaging 29% (range 12 - 42%). Crucially, existing dominant perennials of the extant vegetation including A. selengensis, M. sacchariflorus, P. japonica and P. arundinacea were absent from the soil seed bank. In conclusion, the soil seed banks of the floodplains of the Cheongmicheon Stream were mainly composed of viable seeds of ruderal plants, which could germinate rapidly after severe flood disturbance. The soil seed bank may, therefore, be useful for the restoration of the early succession stages of riparian vegetation after flood disturbances.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gramme in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orea

  • Oh, Jeong-Soo;Shin, Joon-Hwan;Lim, Jo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31-134
    • /
    • 2000
  • Forest vegetation in Kore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warm temperate, cool temperate and frigid forest zone.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of them occupies the large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subdivisions such as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subzone.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established thre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at Kwangnung Experiment Forest in the central subzone of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at the Mt. Kyebangsan Forest in the northern subzone of the cool temperate forest zone. and at the Mt. Keumsan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forest zone. The objectives of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in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orea are to study long-term changes of the forest ecosystems in energy fluxes, water and nutrient cycling, forest stand structure, biological diversity, to quantify nutrient budgets and fluxes among forest ecosystem compartments and to integrate ecological data with a GIS - assisted model. To achieve the objectives, forest stand dynamics. environmental changes in soil properties, stream water quality, nutrient cycling, air pollution and biological diversity have been investigated and plant phonology as an indicator of climate change has been monitored in the LTER sites.

  • PDF

입지 환경 인자를 이용한 DMZ 남측 철책선 주변 훼손지 유형화 (Classification of the Damaged Areas in the DMZ (Demilitarized zone) by Location Environments)

  • 박기쁨;김상준;이아영;김동학;유승봉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84
    • /
    • 2021
  • Restoration of DMZ has come up with the discussion on the peaceful use of the DMZ and the conservation plan of the army.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soil characteristics of 108 sites to figure out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iron fence of DMZ where vegetation has been removed repeatedly. Based on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climate variables, hierarchy clustering was performed to categorize sites. As a result, we categorized 108 sites into 4 types: middle elevation region, lowland, East coast lowland, other areas. Group of 'other area' is only high in nutrient and clay proportion. Others are in igneous rock and metamorphic rocks with a high proportion of sand and lower nutrients than the optimum range of growth in Korean forest soil. The middle elevation region has a high altitude, low temperature. The east coast lowland has a high temperature in January and low precipitation. The lowland has a low altitude and high temperature. This category provid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 around the DMZ fence and can be used to select plants for restoration. The restoration project around the DMZ iron fence should satisfy the security of military plans, which means that functional restoration is prior to ecological restoration such as vegetation management under a power line. Additionally, improvement of soil quality and surface stability through restoration projects is required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ecosystem in DMZ.

Water balance change at a transiting subtropical forest in Jeju Island

  • Kim, JiHyun;Jo, Kyungwoo;Kim, Jeongbin;Hong, Jinkyu;Jo, Sungsoo;Chun, Jung Hwa;Park, Chanwoo;Kim, Yeonjo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22
  • Jeju island has a humid subtropical climate and this climate zone is expected to migrate northward toward the main land, Korea Peninsula, as temperature increases are accelerated. Vegetation type has been inevitably shifted along with the climatic change, having more subtropical species native in southeast Asia or even in Africa. With the forest composition shift, it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analyze the water balance of the forest wihth the ongoing as well as upcoming climate change. Here, we implemented the Ecosystem Demography Biosphere Model (ED2) by initializing the key variables using forest inventory data (diameter at breast height in 2012). Out of 10,000 parameter sets randomly generated from prior distribution distributions of each parameter (i.e., Monte-Carlo Method), we selected four behavioral parameter sets using remote-sensing data (LAI-MOD15A2H, GPP-MOD17A2H, and ET-MOD16A2, 8-days at 500-m during 2001-2005),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s using eddy-covariance carbon flux data (2012 Mar.-Sep. 30-min) and remote sensing data between 2006-2020. We simulated each of the four RCP scenarios (2.6, 4.5, 6.0, and 8.5) from four climate forcings (GFDL-ESM2M, HadGEM2-ES, IPSL-CM5A-LR, and MIROC5 from ISIMIP2b). Based on those 64 simulation sets, we estimate the changes in water balance resulting from the forest composition shift, and also uncertainty in the estimates and the sensitivity of the estimates to the parameters, climate forcings, and RCP scenarios.

  • PDF

부산광역시 태종대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Forest Ecosystem in Taejongdae, Busan City, Korea)

  • 김종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6-4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난온대 기후대에 위치한 부산광역시 태종대 해안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천이계열을 규명하여 태종대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3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조사면적 $1,750,461m^2$ 중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은 $1,413,274m^2$로 80.7%이었고, 참나무류림은 5.0%,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은 0.4%이었다. 조사구($20m{\times}20m$) 18개소를 설정하였으며, DCA 분석결과, 군집 I(곰솔군집), 군집 II(곰솔-졸참나무군집), 군집 III(졸참나무-곰솔군집), 군집 IV(개서어나무-곰솔군집) 등 네 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표본목 수령은 군집 I은 38~59년생, 군집 II는 35~71년생, 군집 III은 37~53년생, 군집 IV는 50~72년생으로 전체적으로 38~72년의 산림이었다. 태종대는 난온대 기후대 천이계열 초기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곰솔에서 졸참나무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에서는 사스레피나무와 마삭줄이 우점하는 식생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단위면적 $400m^2$의 샤논의 종다양도지수 분석결과, 군집 I은 0.8640~1.3986, 군집 II는 0.1731~1.1885, 군집 III은 0.8250~1.0042, 군집 IV는 0.3436~0.6986이었다.

추이대 2차림의 식생구조 분석과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 두륜산을 중심으로 - (Studies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Anticipation of Vegetation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on Secondary Forest in Ecotone)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5-377
    • /
    • 2011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추이대에 속하는 두륜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삼림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수평적 변화를 구성종과 상관식생의 우점종을 통해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삼림식생은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붉가시나무-황칠나무군락, 편백나무식재림 등 3개의 군락단위로 구분되었다. 각 삼림군락의 분포와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모든 삼림군락에서 출현한 동백나무군강의 식별종, 구분종,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의 구성종 요소, 상관식생의 주요종을 통하여 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가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율을 보이는 지역부터 점차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