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 절차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건축 VE 실적사례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Actual cases Database of Value Engineering of Building Construction)

  • 서용칠;우유미;이승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3
    • /
    • 2010
  • VE분석 결과물은 다양한 분야의 실무자들이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생산한 실현가능성 높은 제안들이다. 따라서 과거 유사한 사업에서 수행되었던 VE분석 결과물은 조정 혹은 재가공 등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프로젝트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 수행되었던 VE분석에 의해 생산된 중간결과물인 기능과 아이디어, 최종결과물인 제안내용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축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E 과거 실적사례 수집을 위한 데이터 구성 체계를 수립하고, 데이터 추출 및 조정 과정을 제시하였다. VE 절차에 따라 데이터를 '대상', '기능', '아이디어', '제안'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 카테고리의 특성 및 수행방식에 따라 데이터 구성원칙을 수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VE 제안서 샘플사례를 바탕으로 각각의 카테고리의 데이터 추출 및 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VE 데이터 구축 방안에 따라 VE 실적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VE분석 각 단계에서 과거 VE사례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VE분석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부문 일괄입찰사업의 설계VE 파트너링 활용방안 (Application of Partnering to Design VE to Public Design-Build Projects)

  • 김해곤;엄익준;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10-118
    • /
    • 2006
  • 현행 일괄입찰방식은 분담이행방식의 공동도급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참여업체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설계기술과 시공기술의 접목이라는 일괄입찰방식 본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또한 입찰을 통해 확정된 총액금액으로 설계가 진행되므로 실시설계단계에서 VE활동을 통한 원가절감 노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설계시공일괄방식의 특성을 파악하고 설계VE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설계VE 적용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 일괄입찰사업 수행절차에서 설계VE 적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파트너링의 활용방법 및 그 적용시기를 제안한다.

VE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설계VE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obile-Based Design Value Engineering(VE) Supporting System for VE Process Improvement)

  • 송창영;양병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33-443
    • /
    • 2021
  • 설계VE는 정확한 기능분석 및 대안창출을 통해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적 노력으로써, 설계VE 수행절차에 따라 해당분야 전문가집단이 모여 VE워크샵을 반드시 특정 장소에서 일정기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설계 VE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평가, 성능평가, 아이디어평가 등을 정량적인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다. VE팀원들은 약 3일~5일간 실시되는 워크샵 기간을 정하고 특정 장소를 지정하여 VE검토대상에 대한 가치창출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V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모든 과정을 특정한 일정 이내에 한정된 장소에서 해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VE 워크샵의 경우 설계VE 필요성을 간과하여 워크샵을 단기간 내에 진행하고 있어서, VE팀원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설계VE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설계VE 지원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팀원의 효율적인 설계VE 업무를 지원하도록 모바일 환경기반의 설계VE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설계VE 지원 체계는 VE 워크샵 이전부터 설계도서 및 VE관련 자료를 선검토 하고, 설계VE 워크샵 일정에서 결정한 기능평가 또는 아이디어 평가결과를 워크샵 이후에도 편리하게 재수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설계 VE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VE Idea-DataBank System 구축에 관한 연구 -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건축공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VE Process using VE Idea-DataBank System)

  • 박희택;박찬식;정우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8-38
    • /
    • 2014
  • 건설 VE는 표준화된 작업계획에 의한 정규 워크샵이 아닌 단기간 설계검토 형식으로 업무가 수행되고 있으며, 활용되는 기법 또한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VE 결과에 따라 기법의 내용을 역으로 맞추는 형태로 과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VE의 핵심기법인 기능분석은 생략되거나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VE 수행시간 및 예산부족, VE 절차 및 기법의 이해부족 등으로 인해 VE 결과에 대한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VE 수행과정상 창출되는 수많은 아이디어 정보를 축적 및 활용하는 방법이 체계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타 기관에 비해 비교적 체계적인 VE 수행으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한국도로공사에서도 상기 언급한 문제들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 VE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 건설 VE 실무의 한계와 고속도로 시설 VE가 갖는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 VE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다양한 VE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VE기법을 적용한 안동문화예술회관 민간투자사업의 성능개선 사례연구 (Considering Performance Measurement and Life-Cycle Costs for Andong Culture & Art Center BTL Project)

  • 김성일;이광모;최석원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05-1010
    • /
    • 2007
  • 2005년도 건실기술관리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100억원 이상 정부발주공사는 건설 VE(Value Engineering) 검토를 의무화하도록 하였다. 이에 정부는 2007년 VE검토에 대한 검토기준을 마련하여 2008년부터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내용으로 무자격 VE컨설팅전문회사 또는 무자격 VE 컨설턴트에 대한 제재를 가하기 위해 사전적격성심사(PQ)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이 큰 이슈라 하겠다. 이는 국내 VE의 올바른 정착과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국VE협회가 2006년에 출범한 이유도 이러한 이유 중에 하나라고 생각된다. 다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동문화예술회관의 기능개설사례연구를 통하여 건설사업의 여러 분야 중 BTL 사업에서의 실질적인 건설 VE 적용기법 과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BTL 사업에서의 VE를 성공적으로 국내에 정착시키고자 하였다.

  • PDF

GFI를 활용한 건설공사 시공VE 대안평가 방법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 of GFI-based Construction Value Engineering)

  • 김수용;이영록;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10
    • /
    • 2015
  • 건설 프로젝트의 VE는 크게 설계단계 VE와 시공단계 VE로 분류된다. 설계단계 VE는 정부의 법률에 의해 100억 원 이상의 공공 건설공사에 적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설계VE는 건설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시공 VE는 제한된 특정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시공 VE 프로세스가 실무적 요구 품질을 반영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공 VE는 시공 가능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무를 반영한 시공 VE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은 직관지수(G.F.I.)를 활용한 전문가 기반의 대안평가 방법이며, 제안 방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무사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대안평가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적용 절차, 적용 방법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중심의 건설VE 대상 선정 프로세스 개발 및 검증 (Proces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for Construction VE Object Selection of Performance-Oriented)

  • 김수용;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5-32
    • /
    • 2012
  • 현행 VE 활동은 Job-Plan에서의 VE 대상 선정을 단순히 형식적인 절차로만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준비단계 중 VE 대상 선정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문헌연구와 전문가면담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해 본 결과 고비용 분야를 중심으로 대상을 선정하는 기존의 대상 선정 방법이 준비단계와 분석단계의 연계성 부족, 시간적 비용적 제약, VE 팀원들의 인식부족 등의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E 대상 선정 단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VE 대상 선정 방법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VE 대상 선정 방법 개선안은 기존의 고비용분야 대상 선정기법에 의해 선정되어진 1차 VE대상을 기준으로 Fish-Bone 다이어그램과 Worth를 적용함으로서 2차 VE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선방법의 실효성 검증을 위해 실제 도로건설 VE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선방법이 기존 VE대상 선정방법과 비교해 상당히 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따라서 개선방법은 VE 성과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 프로젝트의 잠재적 가치개선 대상 선정 방법론(PVTCM) (Potential Value Improvement Target Choice Methodology (PVTCM) in Construction Projects)

  • 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1-19
    • /
    • 2014
  • 건설공사 VE 활동은 프로젝트 예산절감 및 성능향상 측면에서 핵심도구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VE 적용대상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건설VE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프로세스 및 운용기법에 대한 지속적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그 중 VE 대상 선정 방법은 건설VE 업무에서 핵심적 부분이다. 하지만 이것은 실무적 측면에서 활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VE 작업의 VE 대상 선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PVTSM)을 개발했다. 첫째, VE 실무자료 분석을 통하여 VE 대상 선정의 실질적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우수한 VE사례를 분석하여 비용 모델 및 아이디어들 유사성을 기준으로 잠재력이 높은 VE 대상을 추출한다. 셋째, 각 공종별 아이템들에 대하여 친화도 기법을 활용하여 VE 대상항목으로 표준화한다. 본 연구는 위의 절차에 따라 적용된 결과에 대하여 대표적인 객체 선택 방법의 하나인 비용 모델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제안방법이 기존방법에 비하여 실무적 측면에서 활용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IM 기반 VE 워크샵 단계의 업무 향상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Prototype for Improving VE Workshop Phase based on BIM)

  • 김호준;박희택;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13-122
    • /
    • 2015
  • 국내 VE 워크샵은 과거의 정보를 배제하고 단순히 전문가의 지식에 의존하여 수행하거나 업무자체의 일부를 생략 혹은 획일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국내에 VE가 도입된 이래로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 한정된 예산, VE 대상의 이해부족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과거 VE 정보를 수집 및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주를 이루고 있어 VE를 통해 프로젝트의 가치 및 이익 창출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VE 업무의 비생산적인 업무 형태를 개선하기 위해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Mobile Computing(MC), Network Service System(NSS), 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 등 ICTs 기술을 융합한 VE 워크샵을 향상시키기 위한 초기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최종 프로토타입은 시각적인 이해도 향상, 효율적인 정보 공유, 시간 및 공간의 절감 등 많은 이점을 바탕으로 VE 워크샵 업무의 생산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VE 참여주체는 규정된 절차에 따른 업무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오직 전문가의 경험에만 의존하던 기존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가시설 공사 설계VE 대안검토시 모순충돌 해결을 통한 아이디어 창출 (Value Engineering Idea Generation for Temporary Construction Designs through Conflict Resolution)

  • 홍순헌;백한기;문성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30-37
    • /
    • 2013
  • 설계VE 과정에서 아이디어 창출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아이디어 창출은 일반적으로 설계VE 팀원의 지식이나 경험을 통하여 진행되게 된다. 설계VE 워크샵에서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설계VE 팀원의 지식이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 워크샵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TRIZ의 모순충돌 개념을 활용한 체계적인 아이디어 창출방법을 제시한다. 연구과정에서는 TRIZ의 모순충돌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가 가지는 문제영역을 정의하고, 기술적 요인을 활용하여 모순충돌을 나타냈다. 아이디어 창출과정에서 기술적 요인은 설계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 방법론으로 활용됐다. 가시설 공사에 대한 시범사례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아이디어 창출절차를 적용할 경우 설계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범적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