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DT작업

Search Result 9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Lighting Environment Improvement of the VDT Workspaces in Computer Room (컴퓨터실에 있어서 VDT작업공간의 조명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Jin-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4 no.3
    • /
    • pp.31-3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lighting environment of the VDT workspaces in computer laborato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ield measurements on the computer laboratory and a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the VDT workspac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unbalanced among the illumination, luminance, and color distributions in the the VDT workspaces. (2) The difference of brightness between the CRT screen and its surroundings have presented on the whole unbalanced. (3) It was proved that the artificial light source of the ceiling lighting should use the parabolic louver luminaire limiting the radiant luminance.

  • PDF

linical Performance Analysis of Lens for Improving VDT Syndrome (VDT 증후군 개선을 위한 렌즈의 임상성능 분석)

  • Ryu, Geun-Chang;Park, Ji-Hoon;Jun, Jin;Jin Moon-Seog;Chae, Soo-Chul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4 no.4
    • /
    • pp.45-51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rvey results of clinical performance and visual problem, and the survey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of VDT working for 4 hours by wearing functional lens designed for improving VDT syndrome and single-vision lens. Methods: We tested near & far visual acuity, change of spherical equivalent, near point of accommodation, near point of convergence, AC/A ratio, accommodative facility and survey of subjective symptoms to visual problem of before and after VDT working for 4 hours after wearing single-vision lens and functional lens subjected on 30 males and females in the age of 20 to 45. Results: When wearing functional lens comparing to single-vision lens, near visual acuity, near point of accommodation,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accommodative facility are significantly improved. It is investigated that average scores of 10 items to visual problem after VDT working for 4 hours are 3.63${\pm}$0.75 at single-vision lens and 4.69 ${\pm}$ 0.83 at functional lens, and therefore functional lens is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functional lens is an excellent lens which helps to improve accommodative function and visual problem after VDT working for 4 hours than single-vision lens.

  • PDF

VDT작업대 설계의 인간공학적 연구

  • 권영국;이성렬;민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581-591
    • /
    • 1992
  • 최근 급속한 사무자동화와 함께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등 VDT에 매달려 일하는 사무직 근로자들이 시력장해, 두통, 어깨결림, 요통, 스트레스성 장애등 새로운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것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또는 "VDT병"이란 신종 직업병이다. 컴퓨터 수상기 화면을 계속해서 들여다보면 화면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강한 빛으로 눈에 무리가 와 충혈되고 침침해지며 두통 증세가 나타난다. 이런 초기증상이 6개월이상 계속되면 시력이 떨어지고 만성피로를 느끼는가 하면, 때때로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탈모현상까지 경험하게 된다. 요즘 시행되고 있는 초등 고교 컴퓨터교육의 의무화와 2천년대의 1가구 1단말기 설치를 목표로한 컴퓨터 영상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앞으로는 사무실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까지 컴퓨터 이용이 일상화될 전망이고 보면 VDT작업에 따른 건강장해 문제는 더이상 가볍게 볼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선진국에서는 작업시간 규제, 회사가 종업원의 정기적인 시력검진 및 시력교정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도록 하는가하면 실작업환경 개선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VDT작업 여성들의 유산 및 기형아 출산등 임신이상에 관한 실태보고서까지 나오고 있어 여성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VDT병 증상을 호소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예방 및 대책에 큰 어려움을 겪고있다. 그러므로, VDT작업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작업환경 및 작업자세등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예방대책을 살펴보고, 작업장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하고 평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Action Code를 계산처리부로 넘겨준다. 입력처리부에서는 Mouse와 Keyboard 어느것으로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출력처리부에서는 Action Code에 따라 계산처리부에서 계산된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각종 2D/3D Graphic Routine들이 포함되어있어 계산처리부에서 불러쓰도록 되어있다.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상고나성이 있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질병의 위험요인으로서 뿐 아니라 대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된 비타민 영양상태의 biomarker로서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다른 다양한 연령집단에서 건강한 일반인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과 비타민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PDF

An Ergonomic Survey and Analysis of Body Discomfort for VDT Workers (VDT 작업자들의 신체 불편도 조사 및 분석)

  • 이동춘;김길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1 no.48
    • /
    • pp.253-26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evention methods for the health of VDT workers by an ergonomic survey and analysis of body discomfort. Totally 150 VDT workers(male; 78, female; 72) were investigated with questionnaire. From the results of survey, average of the subjects age was 28.5 years(male; 29.7, female; 27.2), average working period was 5.4 years(male; 5.2, female; 5.6), average VDT working hours was 6.3 hours(male; 6.2, female; 6.4) and workers who answered that they use VDT for more than 5 hours a day were over 79%. Among the questionnaires 10.7% and 7.3% of VDT workers complained the discomfort of their neck and lower back, respectively. VDT workers responded that the height of chair, keyboard and computer monitor were the main reasons for feeling discomfor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VDT syndrome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safety and health of the VDT workers.

  • PDF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e and occupational factors in VDT operators (VDT작업자의 작업조건과 다발하는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Kim Kap-Sung;Lee Seung-Deo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18 no.6
    • /
    • pp.70-83
    • /
    • 2001
  • Objective : In order to investigate symptoms prevalence related to visual display terminal(VDT) syndrome, and to evalu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VDT syndrome.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27(81 men and 46 women) VDT operators who had been studied in Soongsil University graduated school in Seoul. Result : As a result of analysis with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l.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general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ype of typewriting, location of keyboard, illumination, VDT working duration, the time of VDT operation without rest. 2.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eye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ype of typewriting, VDT working duration, illumination, method of eye-resting. 3.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ex,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the time of VDT operation without rest, illumination. Conculsions : In order to protect workers from VDT syndrome,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lement standard management recommendations including restriction of VDT working hours and allowance of more sufficient resting time for VDT workers.

  • PDF

Evaluation of Arousal by subjective score and physiological signals on VDT workers with Illuminance (조도조건에 따른 VDT작업자의 주관감 및 생리신호를 이용한 각성도 평가)

  • 양희경;고한우;윤용현;김묘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05-30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조도조건에 따른 VDT작업자의 각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0 lx와 1500 lx 2종류의 조도 조건으로 하여 모니터 상에서 1자리 숫자 3개를 더하는 단조연산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55 lx보다 비교적 졸음이 쉽게 유발되며 주의집중정도가 낮은 조도 10 lx에서의 정답률이 더 낮게 나왔다. 또한, 두 조도조건 하에서 호흡간격은 작업수행시 큰 차이가 안 나타난 반면 RR간격은 10 lx에서는 작업수행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지만 1500 lx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