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C binding protei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Streptomyces virginiae가 생산하는 Virginiae Butanolide C(VB-C) 결합단백질의 결합활성에 미치는 일반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Binding Activity of Virginiae Butanolide C Binding Protein in Streptomyces virginiae)

  • 김현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7-262
    • /
    • 1992
  • Streptomyces virginiae가 생산하는 virginimycin 생산 유도인자(virginiae butanolide C,VB-C) 결합 단백질의 ligand(VB-C)와의 결합활성에 미치는 일반적인 성질을 검토한 결과, 본 VB-C 결합단백질은 막성분을 제외한 세포질에 90% 이상 존재하며, 최적 pH는 7.0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KCL 존재하 약 15%의 결합활성이 증대되었으며,$Mo^{6+}$ 이온 존재시 60%의 결합활성 저하를 보였다.

  • PDF

Virginiae Butanolide C 결합단백질의 신호 전달기구에 대한 연구 (Some Properties on the Signal Transduction in Virginiae Butanolide C Binding Protein)

  • 김현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1-186
    • /
    • 1992
  • Virgiamycin 생산 우도 인자인 virginiae butanolide C(VB-C)의 전달기구 해명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receptor성 VB-C 결합단백질의 recycle 가능성 및 인산화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3}$H] $VB-C_{7}$ 와의 결합활성은 virginiamycin 생산중지와 함께 증대되어 VB-C 결합단백질의 recycle 이 추정되었으며, S. virginiae 의 genome DNA 공존시 40-50% 의 결합 활성 저하로부터 DNA 와 결합에 의한 signal 전달가능성과 $\lambda-^{32}P$ ATP 에 의해 분자량 36, 000 의 VB-C결합단백질이 인산화된 결과로부터 인산화를 통한 signal 전달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Virginiamycin 생합성 유도인자 Virginiae butanolide C에 의한 2차 대사산물 생산의 유도 (In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y Virginiamycin Inducing Factor, Virginiae Butanolide C)

  • 김현수;강선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59-466
    • /
    • 1994
  • Virginiae butanolide C(VB-C) is one of the butyrolactone autoregulators, which triggers the production of virginiamycin in Streptomyces virginiae. Streptomyces longwoodensis was selected as a test strain to investigate new VB-C functions. When 100 ng/ml of the synthetic VB-C was added into the culture at 5 hour and 0 hour, the initial production time of antibiotics and a dark blue pigment were shortened by 4~6 hours and 2~4 hours, respectively. HPLC analysis revealed the production of several new antibiotics by VB-C addition. In the SDS-PAGE analysis of the total protein from mycelium several new protein bands showed up and the amounts of certain protein bands increased in the presense of VB-C. The existence of specific VB-C binding protein was confirmed from S. longwoodensis in relation to VB-C signal trans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B-C might have an ability to induce the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Streptomy- ces longwoodensis.

  • PDF

Virginiamycin 생합성 유도인자 Virginiae Butanolide C에 이한 Erythromycin 생산 유도 (Induction of Erythromycin by Virginiamycin Inducing Factor, Virginiae Butanolide C)

  • 김현수;성림식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682-687
    • /
    • 1999
  • Streptomyces virginiae 유래의 virginiamycin 생합성 유도인자인 VB-C를 이용하여 다른 방선균에의 항생물질 생산 유도 기능을 검토하였다. Erythromycin 생산균인 Streptomyces erythraeus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으며, VB-C 결합 receptor 유전자가 포함된 plasmid(pARS 701, 9 kb)를 공시균주에 도입하여 transformant로 사용하였다. Parent와 transformant 모두 유도인자인 VB류를 생산하였으며, VB-C의 signal 전달에 관여하는 결합 단백질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Parent는 본배양 0, 20, 44시간째에 합성 VB-C 300 ng/ml를 첨가시 초기 항생물질 생산시기가 약 8시간 이상 단축되었다. Transformant는 본배양 44시간에 첨가시 6시간 이상 항생물질 생산시기가 단축되었고 항생물질 생산량도 증가되었으며, parent에 비해 B. subtilis에도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균 spectrum은 parent보다는 transformant가 생산한 항생물질의 항균호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VB-C를 첨가한 경우 미첨가 경우보다 넓은 항균 spectrum을 보였다. 이들 결과에서 공시균인 S. erythraeus에서 VB signal 전달에 따른 항생물질 생산유도가 입증되었으며, VB-C receptor gene의 도입에 따른 발현과 함께 VBs의 유도, 항생물질의 생산시기의 단축 및 생산량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다양한 Streptomyces sp.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물질의 대량생산을 비롯한 새로운 2차 대사산물 생산에의 응용이 예상되었다.

  • PDF

Saccharopolyspora erythraea IFO 13426으로부터 Autoregulator Receptor Protein Gene의 Cloning (Cloning of Autoregulator Receptor Gene form Saccharopolyspora erythraea IFO 13426)

  • 김현수;이경화;조재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23
    • /
    • 2003
  • 공시균인 Saccha. erythraea IFO 13426으로부터 VB-C에 의한 erythromycin 생산 유도능이 시사된 바 있으므로, 공시균으로부터 VB-C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autoregulators 및 receptor gene을 탐색하여, EM의 생산 조절 기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탐색의 일환으로 기존의 Streptomyce속 receptor gene의 공통배열을 primer로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고, 예상 크기인 120bp의 단편을 pUC19 vector에 ligation하여 E. coli DH5$\alpha$에 형질전환한 후, plasmid를 분리하여 BamHI을 처리하여 2%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한 결과, pUC19 (2.7kbp)외에 receptor gene PCR 산물이 120bp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된 plasmid로 PCR을 수행하여 염기배열을 결정한 후 해석한 결과 Streptomyces sp. 유래의 receptor gene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accha. erythraea IFO 13426에는 항생물질인 erythromycin의 생산에 관여한다고 추정되는 autoregulator receptor protein을 코드하는 유전자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120 bp의 PCR product를 probe로 이용하여 Southern 및 colony hybridization을 통하여 3.2 kbp의 SacI 단편을 가지는 plasmid(pESG)를 제작하였고, 이를 sequencing한 결과, autoregulator receptor protein 유전자가 KpnI과 SalI을 포함하는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EsgR이라 명명하였다. 유전자 해석 결과, EsgR은 20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존의 autoregulator receptor proteins과 비교시 30%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autoregulator receptor prorein들이 하부의 항생물질 생합성 유전자들의 제어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helix-turn-helix DNA binding motif를 EsgR이 보유하고 있는 점에서, EsgR은 Saccha. erythraea가 보유하는 autoregulator receptor protein을 code하는 유전자로 추정되었다.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Encoding $\gamma-Butyrolactone$ Autoregulator Receptor from Saccharopolyspora erythraea

  • LEE YONG-JIK;YEO SOO-HWAN;LEE IN SEON;LEE SAM-PIN;KITANI SHIGERU;NIHIRA TAKUYA;KIM HYUN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77-83
    • /
    • 2006
  • A gene encoding a $\gamma-butyrolactone$ autoregulator receptor was cloned from Saccharopolyspora erythraea, and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autoregulator specificity, were determined with the purified recombinant protein. Using primers designed for the conserved amino acid sequence of Streptomyces $\gamma-butyrolactone$ autoregulator receptors, a 120 bp S. erythraea DNA fragment was obtained by PCR. Southern and colony hybridization with the 120 bp fragment as a probe allowed to select a genomic clone of S. erythraea, pESG, harboring a 3.2 kb SacI fragment. Nucleotide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a 615 bp open reading frame (ORF), showing moderate homology (identity, $31-34\%$; similarity, $45-47\%$) with the $\gamma-butyrolactone$ autoregulator receptors from Streptomyces sp., and this ORF was named seaR (Saccharopolyspora erythraea autoregulator receptor). The seaR/pET-3d plasmid was constructed to overexpress the recombinant SeaR protein (rSeaR) in Escherichia coli, and the rSeaR protein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DEAE-Sephacel column chromatography, followed by DEAE-ion-exchange HPLC.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rSeaR protein was 52 kDa by HPLC gel-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27 kDa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dicating that the rSeaR protein is present as a dimer. A binding assay with tritium-labeled autoregulators revealed that rSeaR has clear binding activity with a VB-C-type autoregulator as the most effective ligand, demonstrating for the first time that the erythromycin producer S. erythraea possesses a gene for the $\gamma-butyrolactone$autoregulator recep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