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H

검색결과 6,604건 처리시간 0.04초

탁주(濁酒) 양조(釀造)에 관(關)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및 효소학적(酵素學的) 연구(硏究)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akju Brewing)

  • 김찬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0권
    • /
    • pp.69-100
    • /
    • 1968
  • 1 : 탁주양조(濁酒釀造)에 가장 큰 미생물원(微生物源)이 되는 누룩중(中)의 미생물군(微生物群)과 효소(酵素)를 조사하기 위(爲)하여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에서 제조(製造)한 누룩(S)와 시판(市販) 누룩(T)을 공시(供試)하여 사상균(絲狀菌), 호기성세균(好氣性細菌), 유산균(乳酸菌) 및 효모(酵母)를 검색(檢索) 계수(計數)하고 특(特)히 효모(酵母)는 TTC-agar 처리(處理)로서 그 정색별(呈色別)에 따라 유별(類別)하였으며 또한 Amylase 및 Protease 역가(力價)를 측정(測定)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S 누룩 1gm. 중(中)에는 Aspergilles eryzae group: $240{\times}10^5$, Black aspergilli: $163{\times}10^5$, Rhizopus: $20{\times}10^5$, Penicillia: $134{\times}10^5$, 호기성(好氣性) 세균(細菌): $9{\times}10^6{\sim}2{\times}10^7$, 유산균(乳酸菌): $3{\times}10^4$개(個)이였으며 T 누룩 1gm.중(中)에는 Aspergilles oryzae group: $836{\times}10^5$, Black aspergilli: $268{\times}10^5$, Rhizopus: $623{\times}10^5$, Penicillia: $264{\times}10^5$, 호기성(好氣性) 세균(細菌): $5{\times}10^6{\sim}9{\times}10^6$, 유산균(乳酸菌): $3{\times}10^4$개(個)이였다. (b) S 누룩중(中) 호기성세균(好氣性細菌)은 $80{\sim}90%$가 Bacillus subtilis 계(系)인것 같았으며 T 누룩의 것은 70%내외(內外)가 구균(球菌)이었고 유산균(乳酸菌)은 양(兩)누룩이 다 약(約) 80%가 구상유산균(球狀乳酸菌)이였다. (c) S 누룩 1gm.중(中)의 효모(酵母)는 약(約) $6{\times}10^4$개(個)로서 이 중(中) TTC Pink 효모(酵母)가 56.5%, Red pink 효모(酵母): 16%, Red 효모(酵母): 8%, White 효모(酵母): 19.5%이었으며 T 누룩 1gm.중(中)의 효모(酵母)는 약(約) 개(個)로서 이 중(中) Pink: 42%, Red Pink: 21%, Red: 28%, White: 9%이였다. (d) S 누룩 1gm.중(中)의 효소력(酵素力)은 액화형(液化型) amylase: $D^{40}^{\circ}_{30}^'=32\;W.V.$, 당화형(糖化型) amylase: 43.32 A.U., Acid protease 181 C.F.U., Alkaline pretease: 240 C.F.U.이였으며 T 누룩 1gm.의 효소력(酵素力)은 액화형(液化型) amylase: $D^{40}^{\circ}_{30}^'=32\;W.V.$, 당화형(糖化型) amylase: 34.92 A.U., Acid protease 138 C.F.U., Alkaline pretease: 31 C.F.U.이였다. 2 : S, T 누룩으로서 탁주(濁酒)를 담금하여 전양조(全釀造) 기간중(期間中) 매(每) 12시간(時間)의 미생물군(微生物群) 및 효소력(酵素力)의 소장(消長)을 측정(測定)하고 주효모(主酵母)라고 인정(認定)한 Pink와 Red 효모(酵母)를 분리배양(分離培養)하여 유산첨가(乳酸添加)로 pH를 4.2로 조절(調節)한 S, T 각구(各區)술덧에 $1{\times}10^6ml$개(個)를 첨가(添加) 양조(釀造)한 각(各)술덧중(中)의 미생물군(微生物群)의 소장(消長)을 측정(測定)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으며 이 실험에서도 효모(酵母)는 TTC 정색별(呈色別)로 유별(類別) 계수(計數)하였다. (a) 각시료구(各試料區)에서 사상균(絲狀菌)은 담금후(後) $2{\sim}3$일경(日頃)부터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호기성(好氣性) 세균(細菌)은 담금 직후(直後) 술덧 매(每) ml 당(當) S 누룩 사용(使用)의 3구(區)에서 $15{\times}10^7{\sim}35{\times}10^7$개(個), T 누룩 사용(使用)의 3 구(區)에서 $8.2{\times}10^7{\sim}12{\times}10^7$개(個)가 검출(檢出)되어 이중(中) 구균(球菌)은 유산(乳酸) 무첨가(無添加)로 담금한 S 및 T구(區)에서는 36시간경(時間頃)까지 많은 증식(增殖)을 하다가 기후(其後)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고 유산(乳酸) 첨가(添加)로 담금한 SP, SR, TP, 및 TR 구(區)에서는 처음부터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고 Bacillus는 각구(各區)에서 다 같이 많은 기복(起伏)이 있는 소장(消長)을 하였으나 말기(末期)에는 초기(初期)의 약(約) $1/5{\sim}1/10$ 수(數)로 감소(減少)되었다. (b) 유산균(乳酸菌)은 담금후(後) 24시간경(時間頃)에 S 구(區)에서는 술덧 매(每) ml 당(當) 약(約) $7.4{\times}10^7$ 개(個)가 검출(檢出)되어 $3{\sim}4$일경(日頃)까지 약(約) $2{\times}10^8$ 개(個)로 증식(增殖)하고 그후(後)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어 말경(末頃)에는 약(約) $4{\times}10^5$ 개(個)가 존재(存在)하였으며 T 구(區)에서는 24시간경(時間頃)에 검출(檢出)되었으며 3일경(日頃)에는 약(約) $3{\times}10^7$ 개(個), 말경(末頃)에는 약(約) $2{\times}10^5$ 개(個)가 존재(存在)하였다. 한편 SP, SR, TP, 및 TR 구(區)에서는 각구(各區)마다 24시간경(時間頃)에 약(約) $4{\times}10^5$ 개(個)로 현저(顯著)히 적은 수(數)가 검출(檢出)되었으며 기후(其後) 별(別) 변동(變動)없는 소장(消長)을 하거나 사멸(死滅)되어 거의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c) 각구(各區)술덧에서 검출(檢出)된 유산균(乳酸菌)은 대부분(大部分) 구상균(球狀菌)이였으며 또한 유산균(乳酸菌)의 소장(消長)은 술덧중(中)에 생성(生成)되는 유산(乳酸) 및 Alcohol 함량(含量)과 부합(符合)되는 경향(傾向)이였다. (d) 효모(酵母)는 24시간경(時間頃)부터 증식(增殖)이 뚜렷하여 술덧 매(每) ml당(當) S 구(區)에서는 약(約) $2{\times}10^8$ 개(個)가 되고 48시간경(時間頃)에는 약(約) $4{\times}10^8$ 개(個)가 되어 계속(繼續)하다가 후기(後期)에 다시 증가(增加)되어 $5{\sim}7{\times}10^8$ 개(個)가 되었으며 T 구(區)에서는 24시간경(時間頃)에 $4{\times}10^8$ 개(個)가 되었고 기후(其後) 기복(起伏)을 보이면서 $2{\sim}5{\times}10^8$ 개(個)로 계속(繼續)하였다. (e) S, T 양구(兩區)술덧중(中)에서 소장(消長)한 효모(酵母)는 TTC Pink 효모(酵母)가 90%이상(以上)을 차지하고 Red pink 및 Red 효모(酵母)는 전양조기간(全釀造期間)을 통(通)하여 $2{\times}10^6{\sim}3{\times}10^7$ 개(個) 사이에서 소장(消長)하였다. (f) SP 에서는 효모(酵母)는 24시간경(時間頃)에 S 구(區)보다 2배(倍)가 되는 약(約) $5{\times}10^8$ 개(個)의 Pink 효모(酵母)가 검출(檢出)되었으며 중기말경(中期末頃)까지는 S 구(區)보다 많은 수(數)이였으나 후기(後期)에는 별차(別差)없는 수(數)가 되었다. (g) SR 구(區)에서 소장(消長)하는 총효모수(總酵母數)는 SP 구(區)와 대차(大差)는 없었으나, 첨가(添加)해준 Red 효모(酵母)는 초기(初期)에 다소(多少) 많이 검출(檢出)되고 3일후(日後)부터는 S 구(區)와 별차(別差)없는 수(數)로 소장(消長)하였으며 TR구(區)에서도 Red 효모(酵母)가 초기(初期)에는 T 구(區)에 비(比)해서 많았으나 중기이후(中期以後)부터는 T 구(區)와 별차(別差)없는 경향(傾向)이어서 Red 효모(酵母)를 가(加)한 구(區)에서도 Pink 효모(酵母)가 훨씬 우세(優勢)함을 보여 본실험(本實驗)에서 검출(檢出)된 Red 효모(酵母)는 탁주양조(濁酒釀造)에서 후기(後期)까지 계속(繼續) 생육(生育)은 하나 많은 증식(增殖)은 하지 않았다. (h) TP 구(區)에서 Pink 효모(酵母)는 2일경(日頃)에 약(約) $5{\times}10^8$ 개(個)가 되어 T 구(區)에 비(比)해서 많고 기후(其後)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나 T 구(區)보다는 많으며 후기(後期)에서는 역시(亦是) T 구(區)와 별차(別差)없는 수(數)가 되었다. (i) 술덧중(中)의 효모(酵母) 소장(消長)과 동시(同時)에 Alcohol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Pink 효모(酵母)를 첨가(添加)한 구(區)에서 초기(初期)에 다소(多少) 많은 생성량(生成量)을 보였으나 중기(中期) 이후(以後)는 효모(酵母) 무첨가구(無添加區)와의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고 또 Alcohol생성(生成)은 효모(酵母) 총수(總數)와 비례(比例)하지 않았다. (j) 액화형(液化型) Amylase는 담금 후(後) 12시간경(時間頃)까지 가장 강(强)하고 24시간경(時間頃)에 일단(一旦) 감소(減少)되었다가 시간경(時間頃)에 최고(最高)로 증가(增加)된 후(後) 74시간경(時間頃)까지 서서(徐徐)히 감소(減少)되고 기후(其後)는 급(急)히 감소(減少)를 보였다. (k) 술덧발효중(醱酵中) Alkaline protease는 불규칙적(不規則的)이기는 하나 계속(繼續) 감소(減少)되는 소장(消長)이었고 Acid protease는 24시간경(時間頃)에 최고(最高)로 증가(增加)하였다가 급(急)히 감소(減少)된 후(後) 다시 증가(增加)하는 불규칙적(不規則的)인 소장(消長)을 보였으나 Alkaline protease 보다는 계속(繼續) 강(强)하였었다. 3 : 본실험(本實驗)에서 가장 많이 검출(檢出)된 TTC Pink 효모(酵母)와 계속(繼續) 나타난 2주(株)의 Red Pink 효모(酵母) 및 1주(株)의 를 동정(同定)하고 이들의 생리적성질(生理的性質)을 검사(檢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TTC Pink 효모(酵母)(B-50P)와 2주(株)의 Red Pink 효모(酵母)(B-54RP 및 B-60RP)는 Saccharomyces cerevisiae 형(型)이였고 Red 효모(酵母)(B-53P)는 Hansenula subpelliculosa 형(型)이였다. (b) 분리동정(分離同定)한 발효력(醱酵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2주(株)의 TTC Red Pink 효모(酵母)가 가장 강(强)하고 Pink 효모(酵母)가 다소(多少) 떨어지며 Red효모(酵母)는 현저(顯著)히 약(弱)함을 보였고 특(特)히 Pink 및 2주(株)의 Red Pink 효모(酵母)는 초발효력(初醱酵力)이 강(强)하여 탁주양조(濁酒釀造)에 적합(適合)함을 알았으며 Red효모(酵母)는 발효력(醱酵力)은 약(弱)하나 Ester생성력(生成力)이 강(强)하여 탁주양조(濁酒釀造)에 중요(重要)한 역할(役割)를 하는것을 알았다. 따라 탁주양조(濁酒釀造)에는 TTC Red Pink 및 Pink로 정색(呈色)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형(型)이 우량(優良)함을 추정(推定) 할 수 있었다. (c) 분리동정(分離同定)한 4주(株)효모(酵母) 아초산내성(亞硝酸耐性)은 강(强)하였으며 유산내성(乳酸耐性)은 국즙(麴汁) 배지(培地)에서 3%정도(程度)이었으나 Red효모(酵母)는 더 강(强)하였고 Alcohol 내성(耐性)은 Hayduck배지(培地)에서 Pink 및 Red Pink 효모(酵母)는 3%정도(程度)이고 맥아즙(麥芽汁) 배지(培地)에서는 13%정도(程度)이었으나 Red 효모(酵母)는 이들보다 훨씬 약(弱)하였으며 Gelatin 액화(液化)는 2주(株)가 다 40일(日)까지 (-)이였다. 4 : 탁주양조중(濁酒釀造中)의 발효도(醱酵度)는 2일경(日頃)에 총발효율(總醱酵率)의 $70{\sim}80%$가 이루어지고 $3{\sim}4$일경(日頃)까지 90%내외(內外)가 진행(進行)되어 주발효(主醱酵)는 이 시기(時期)에 종료(終了)됨을 보였으며 또한 탁주양조(濁酒釀造)에 있어서 담금한 총전분량(總澱粉量)에 대(對)한 주정(酒精) 발효율(醱酵率)은 65%내외(內外)가 됨을 알 수 있었다. 5 : 제등(齊藤)가 탁주(濁酒)술덧에서 분리(分離)한 Saccharomyces coreanus가 본실험(本實驗)에서 전연(全然) 검출(檢出)되지 않은 이유(理由)는 1930년경(年頃)부터 누룩제조(製造)에 국균(麴菌)을 종균(種菌)으로 접종(接種)하였으며 또한 탁주양조(濁酒釀造)에 일본국(日本麴)도 혼합사용(混合使用)하여서 탁주양조(濁酒釀造)에 있어서 미생물상(微生物相)이 완전(完全)히 달라진 탓이 아닌가 생각되며 이것을 뒷받침 하는 것으로 과거의 약탁주(藥濁酒) 고유미(固有味)가 달라진 것을 들 수 있다.

  • PDF

국소뇌허혈에서 NMDA 수용체 길항제가 국소 뇌포도당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MDA Receptor Antagonist on Local Cerebral Glucose Metabolic Rate in Focal Cerebral Ischemia)

  • 김상은;홍승봉;윤병우;배상균;최창운;이동수;정준기;노재규;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4-306
    • /
    • 1995
  • 국소뇌허혈에서 MK-801의 신경세포방어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흰쥐의 중뇌동맥을 폐색시켜 뇌허혈 및 경색을 유발하기 전과 후에 MK-801을 투여한 후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의 변화를 2-deoxy-D-(14C)glu-cose 자가방사기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중대뇌동맥폐색 시술 전과 후에 평균동맥압, 직장체온, 동맥혈 PH, $pCO_2,\;pO_2$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4}C$]DG 실험 중 대조군, MK-801 전처처군과 MK-801 후처치군 사이에서 평균동맥압, 직장 체온, 동맥혈장 당농도, 동맥혈 pH, $pCO_2,\;pO_2$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에서 중대뇌동맥폐색 24시간 후에 폐색된 대뇌반구의 전두엽피질, 두정엽피질, 담창구, 편도, 해마 CA-2 지역, CA-3 지역, 내비회, 후두엽피질, 측두엽피질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은 반대쪽정상 대뇌반구 상동부위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MK-801 전처치군에서 전두엽피질, 두정엽피질, 편도, 해마 CA-2 지역, 내비회, 후두엽피질, 측두엽피질의 병변/정상 국소뇌포도당이용률 비는 대조군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MK-801 후처치군에서는 전두엽피질, 두정엽피질, 해마 CA-2 지역, 후두엽피질, 측두엽피질의 병변/정상 국소뇌포도 당이용률 비가 대조관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MK-801 전처치군 정상 대뇌반구의 미상핵-피각, 전두엽피질, 두정엽피질, 대상회전, 담창구, 시상, 뇌량, 해마 CA-1, CA-2, CA-3 지역, 후두엽피질, 측두엽피질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은 대조군 정상 대뇌반구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MK-801 후처치군 정상 대뇌반구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은 대조군 정상대뇌반구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뿐만 아니라 폐색된 대뇌반구에서도 정상 대뇌반구와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즉, MK-801 전처치군에서는 미상핵-피각, 전두엽피질, 두정엽피질, 대상회전, 담창구, 시상, 뇌량, 해마 CA-1, CA-2, CA-3 지역, 내비회, 후두엽피질, 측두엽피질의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 MK-801 후처치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 국소뇌포도당이용률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소뇌허혈에서 MK-801은 신경세포방어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MK-801은 뇌포도당이용률을 국소적으로 증가시키며, 이는 NMDA 수용체 길항제 투여와 뇌기능 변화의 유관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요추(腰椎) 추간판(椎間板)의 탈출형태(脫出形態)와 한방치료(韓方治療)의 상관성(相關性)에 관한 임상보고(臨床報告) (Clinical Reports on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t Herniated Type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 장석근;황규정;이현;이병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68-81
    • /
    • 2001
  • Hernia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H.I.V.D) is the most common reason causing low back pain and leg radiating pain.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conservative treatment in the different herniated type. Methods : We investigated 30 patients suffering from low back pain with sciatica which were admitted to Taejon Cheonan O. M. hospital from Nov 1, 2000 to Apr 30, 2001. 30 patients had a diagnosis of herniated lumbar interver tebral disc by Lumbar-C.T and Lumbar-M.R.I. we treated 30 patients by oriental medical conservative treatment (Ex: acupuncture, herb-med, physical theraphy, bed-rest, etc.) Results : 1. The mean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as 21.1 days. that in the bulging type was l4days, protruded type 21days, mixed type 27days, extruded type 30days. that shows the less herniation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the mean hospitalization was more short. 2. In the distribution of the clinical symptoms admitted at that time, low back pain, leg radiating pain were showed in the all types(29patients, 96.6%). and sensory disorder, muscle powerlessness were showed least in the bulg ing type(0%, 37.5%), but that were showed most in the extruded type(50%,75%). 3. In the result of treatment due to clinical syptoms, bulging type was more execellent than any other other types. 4. The less herniation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angle of straight leg raising test was higher. In the result of treatment due to angle of straight leg raising test, bulging type was more execellent than any other other types. 5. In the distribution of physical. test, positive case in the Peyton sign, Ankle Dorsiflexion were showed least in the bulging type(25%, 12.5%), but that were showed most in the extruded type(100%, 75%). 6. In the result of treatment due to physical.test, bulging type was more exec ellent than any other other types. 7. The efficacy of total treatment was 90%(when we set a standard things more than fair), that in the bulging type was 100%, protruded 92%, mixedtype 80%, extruded type 75%. Bulging type had a more remakable effectsthan any other types. Conclusions : The less herniation of lumbar intervertebral disc, clinical syptoms were slighter, physical. test were better, and efficacy of oriental medical conservative treatme nt was remakable high.

  • PDF

Effect of Chromium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Immune Response and Som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of Transport-stressed Lambs

  • Al-Mufarrej, S.I.;Al-Haidary, I.A.;Al-Kraidees, M.S.;Hussein, M.F.;Metwally, H.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671-676
    • /
    • 2008
  • Forty-eight Naemi lambs (avg. BW 31.7 kg) were transported by truck for a distance of 1,450 km from Al-Jouf to Riyadh, Saudi Arabia. On arrival day, the lambs were randomly allocated to four groups receiving diets supplemented with 0.0, 0.3, 0.6 and 0.9 ppm organic chromium (Cr). Each group consisted of four separately housed replicates of three lambs each. The animals were fed ad libitum on a grower diet for 84 day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shortly before transportation, upon arrival and at weekly intervals thereafter from all lambs for analysis of plasma and serum. Plasma glucose and serum cortisol, total protein, albumin, urea-N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 cursory clinical examination of the lambs, along with rectal temperature, was undertaken at different intervals during the experiment. The lambs were inoculated each with 2 ml i.v. chicken red blood cells (CRBC) on days 0, 21, and 42. Serum total, IgG and IgM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at weekly intervals post-immunization. An in vivo intradermal hypersensitivity test was carried out on 6 lambs from each group on days 10 and 70. Transportation of the lambs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01) elevation of serum cortisol,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as well as increased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ith corresponding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 while blood urea-N remained largely unchanged. These constituents returned to normal levels during subsequent week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oncentrations being observed between the Cr-supplemented groups and controls. Rise in rectal temperature after transportation was reduced to a greater extent (p<0.05) in Cr-supplemented versus control lambs. Total, IgG and IgM antibody titers against CRBC rose significantly (p<0.05) during immunizations in all groups, with significantly and linearly higher (p<0.05) total and IgG titers in Cr-supplemented versus control lambs. By contrast, no significant effect due to Cr supplementation was recorded in IgG titers, which increased equally in Cr-fed and control groups. Skin thickness in response to intradermal inoculation of phytohaemagglutinin (PHA) was also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as a result of Cr supplem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Cr supplementation might be useful during stress especially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s in transport-stressed lambs.

시멘트계 합성물질을 이용한 비소 오염 토양의 고형화/안정화 (Solidification/Stabiliz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Soil Using Cement-Based Synthesized Materials)

  • 김란;홍성혁;정방미;채희훈;박주양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9-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소 오염 토양의 비소 처리를 위해 고형화/안정화 공법을 적용하였으며, 4가지 종류의 바인더(시멘트, 영가철(Zero Valent iron, ZVI), monosulfate와 ettringite(시멘트계 합성물질))를 이용하였다. 1 N HCl 용출법을 통해 비교한 결과 바인더 함유량 20%에서, 시멘트(71.41%) > monosulfate(47.45%) > ettringite(46.36%) > 영가철(33.08%)의 비소가 용출되었다. 또한, 시멘트에 첨가제(monosulfate, ettringite, calcium sulfoaluminate, CSA)를 혼합하여 바인더를 제작하여 비소 저감 능력을 평가하였다. 1N HCl 용출법을 통해 비교한 결과 3가지 혼합바인더 모두 혼합비 4:1에서 최대의 비소농도 저감효과를 나타냈으며, CSA(86.27%) > monosulfate(84.78%) > ettringite(84.71%) > 시멘트(71.41%)의 비소를 안정화하여 기존의 시멘트만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더 높은 비소(As(V)) 저감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The Effect of Energy Supplementation on Intake and Utilisation Efficiency of Urea-treated Low-quality Roughage in Sheep I. Rumen Digestion and Feed Intake

  • Migwi, P.K.;Godwin, I.;Nolan, J.V.;Kahn, L.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5호
    • /
    • pp.623-635
    • /
    • 2011
  • Inefficient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is a major factor limiting intake of low quality roughage in ruminan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nergy supplementation on rumen microbial fermentation, absorption of balanced digestion products and voluntary feed intake in sheep was investigated. A basal diet of a urea-treated mixture of wheaten chaff and barley straw (3:1 DM) containing 22.2 g N/kg DM was used. Four Merino-cross wethers weighing $45{\pm}4.38\;kg$ and fitted with permanent rumen and abomasal cannulae were allocated to four treatments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E_0$), or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sucrose (112.5 g/d) administered to the animals intra-ruminally ($E_R$), abomasally ($E_A$), or through both routes (50:50) ($E_{RA}$). Feed intake (basal and dietary) was increased (p<0.05) by sucrose supplementation through the rumen ($E_R$) or abomasum ($E_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intake between animals on the control diet and those supplemented with sucrose through both intraruminal and abomasal routes ($E_{RA}$). The digestibility of DM and OM was highest in $E_R$ and $E_A$ supplemented animals. Although the rumen pH was reduced (p<0.001) in animals supplemented with sucrose entirely intra-ruminally ($E_R$), the in sacco degradation of barley straw in the rumen was not adversely affected (p>0.05). Intra-ruminal sucrose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higher concentration of total VFA, acetate and butyrate, while the pattern of fermentation showed a higher propionate: acetate ratio. Intra-ruminal supplementation also increased (p<0.05) the glucogenic potential (G/E) of the absorbed VF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microbial protein production betwee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Protozoa numbers were increased (p<0.05) by intra-ruminal supplementation of sucrose.

한국산 사초속 왕비늘사초절의 분류학적 연구 (A taxanomic study on section Acut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현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3-222
    • /
    • 2001
  • 한국산 사초속(Carex L.) 왕비늘사초절(section Acutae Fries) 11종을 대상으로 외부 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비교분석하였다.그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과 수과의 길이와 너비)과 정성적 형질(이삭, 비늘조각, 과낭과 수과의 모양, 엽설의 유무, 줄기단면과 비늘조각 윗부분의 모양) 및 과낭, 수과와 잎의 표피형(기본표피 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수와 모양,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부세포의 모양)이종을 동정,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또한 왕비늘사초절 11종은 과낭의 가장자리와 부리모양, 과낭의 기본표피세포의 모양에 따라 산뚝사초(C. forficula Fr. & Sav.)는 제1그룹, 애기천일사초(C. subspathacea Worm.), 회색사초(C. cinerascens K$\ddot{u}$k.), 산비늘사초(C. heterolepis Bunge)는 제2그룹, 갈미사초(C. bigelowii Torr.), 구슬사초(c. tegulata H. L$\acute{e}$v. & Van't.), 산꼬리사초(C. shimidzensis Fr.), 뚝사초(c. thunbergii Steud.)는 제3그룹, 쥐방울사초(C. phacota Spreng.), 왕비늘사초(C. maximowiczii Miq.), 이삭사초(C. dimorpholepis Steud.)는 제 4그룹, 모두 4개의 그룹으로 나눌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yeast with bacteriocin and Lactobacillus culture on growth performance, cecal fermentation, microbiota composi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broiler chickens

  • Chen, C.Y.;Chen, S.W.;Wang, H.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211-220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east with bacteriocin and Lactobacillus cultures (mixture of Lactobacillus agilis BCRC 10436 and Lactobacillus reuteri BCRC 17476) supplements, alone or in combination, on broiler chicken performance. Methods: A total of 300, 1-d-old healthy broiler chick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i) basal diet (control), ii) basal diet+0.25%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YC), iii) basal diet+0.25% yeast with bacteriocin (BA), iv) basal diet+Lactobacillus cultures (LAB), and v) basal diet +0.25% yeast with bacteriocin+Lactobacillus cultures (BA+LAB). Growth performance, cecal microbiota, cecal fermentation products, and blood biochemistry parameters were determined when chickens were 21 and 35 d old. Results: The supplementation of YC, BA, and BA+LAB resulted in a significantly better feed conversion rate (FC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during 1 to 21 d (p<0.05). The LAB supplem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nce of Lactobacillus in the ceca at 35 d. None of the supplements had an effect on relative numbers of L. agilis and L. reuter at 21 d, but the BA supplementation resulted in the decrease of both Lactobacillus strains at 35 d. The BA+LAB supplementation resulted in higher short chain fatty acid (SCFA) in the ceca, but LAB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CFA at 35 d (p<0.05). All treatments tended to decrease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ceca at 21 d, especially in the LAB treatment group. The BA supplementation alone decreased the triacylglycerol (TG) concentration significantly at 21 d (p<0.05), but the synergistic effect of BA and LAB supplementation was required to reduce the TG concentration at 35 d. The YC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the plasma cholesterol at 21 d and 35 d. However, the BA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at 35 d. In conclusion, the BA+LAB supplementation was beneficial to body weight gain and FCR of broiler chickens. Conclusion: The effect of BA and LAB supplementation may be a result of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enhancement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and it suggests that the BA and LAB supplementation level or Lactobacillus strain selection should be integrated in future supplementation designs.

Fluoxetine Simultaneously Induces Both Apoptosis and Autophagy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 Po, Wah Wah;Thein, Wynn;Khin, Phyu Phyu;Khing, Tin Myo;Han, Khin Wah Wah;Park, Chan Hee;Sohn, Uy D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8권2호
    • /
    • pp.202-210
    • /
    • 2020
  • Fluoxetine is used widely as an antidepressa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related depression, but has been reported to also have anti-cancer a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ytotoxicity of fluoxetine to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as shown by the MTT assay, fluoxetine induced cell death. Subsequently, cells were treated with 10 or 20 µM fluoxetine for 24 h and analyzed. Apoptosis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early apoptotic cells, shown by Annexin V- propidium iodide staining. Nuclear condensation was visualized by DAPI stain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cleaved PARP was observed by western blotting. The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was used to detect the extent of caspase-dependent cell death. The induction of autophagy was determined by the formation of acidic vesicular organelles (AVOs), which was visualized by acridine orange staining, an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autophagy markers, such as LC3B, Beclin 1, and p62/SQSTM 1, observed by western blotting. The expression of upstream proteins, such as p-Akt and p-mTOR, were decreased. Autophagic degradation was evaluated by using bafilomycin, an inhibitor of late-stage autophagy. Bafilomycin did not significantly enhance LC3B expression induced by fluoxetine, which suggested autophagic degradation was impaired. In addition, the co-administration of the autophagy inhibitor 3-methyladenine and fluoxetine significantly increased fluoxetine-induced apoptosis, with decreased p-Akt and markedly increased death receptor 4 and 5 expres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fluoxetine simultaneously induced both protective autophagy and apoptosis and that the inhibition of autophagy enhanced fluoxetine-induced apoptosis through increased death receptor expression.

원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막 분리 공정의 전처리 공정 적용성 평가 (Effect of Pretreatment Process on Hybrid Membrane Filtration Performance)

  • 정철우;손희종;배상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3-619
    • /
    • 2006
  • [ $MIEX^{(R)}$ ]와 응집에 의한 분자량 크기별 제거특성에서는 10 kDa 미만의 유기물질에 대해서는 $MIEX^{(R)}$ 처리가 우수한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나, 10 kDa 이상의 유기물질은 응집 공정에서 높은 제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의 공극 크기에 대한 투과 flux 실험결과 UF 공정에 비하여 MF 공정에서의 투과 flux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MF 공정에 적용된 전처리 공정중 $MIEX^{(R)}+MF$ 공정의 경우 응집+MF 공정에 비하여 투과 flux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MIEX^{(R)}+UF$ 공정의 경우 입자상 물질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flux 감소율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응집+UF 공정의 경우에는 용존성 유기물질만이 존재하는 시수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투과 flux 감소율은 작게 나타났다. 응집 공정의 적용 후 다양한 입도분포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pH 7에서 $MIEX^{(R)}$ 입자의 제타전위 측정결과 $MIEX^{(R)}$ 입자의 전하는 평균 -2.3 mV로 나타나 전기화학적으로 입자상 물질의 흡착이 가능하며 $MIEX^{(R)}$가 침전됨에 따라 입자상 물질이 sweep되어 입도분포 변화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