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3초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lac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Living Index)

  • 이주오;이형걸;김아연;허승연;박우진;안용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3-31
    • /
    • 2020
  • 정보 통신과 스마트폰 등의 발달로 인한 편리한 접근성과 다양한 아이템의 종류로 인해 개인 맞춤형 추천의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날씨 및 기상환경은 사용자의 장소 및 활동의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날씨 정보를 이용하면 추천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생활지수를 활용하여 성향이 유사한 사용자를 구하고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예측하여 장소를 추천함으로써 생활지수를 이용한 협업 필터링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날씨를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한 날씨 모듈과 장소 추천을 위한 협업 필터링을 사용하는 추천 모듈, 그리고 사용자의 선호도 및 후기 관리를 위한 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과 생활지수의 융합 및 개인의 성향을 반영하는 측면에서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이브베이즈 분류모델과 협업필터링 기반 지능형 학술논문 추천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tellige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Naive Bayes Text Classification and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상기;이병섭;박병용;황혜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27-249
    • /
    • 2010
  •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학술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보 과잉으로 인해 연구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거나 필터링하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예측하여 관심 가질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추천하는 시스템을 전문가시스템, 데이터마이닝, 정보검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하여 왔다. 최근에는 콘텐츠기반추천시스템과 협업필터링을 결합하거나 다른 분야 모델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추천시스템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 정보센터나 도서관에서 학술논문을 효율적이고 지능적으로 추천하기 위해 협업필터링과 나이브베이즈모델을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추천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즉, 협업필터링 방식으로 과도한 특성화(Over-specialization) 문제를 해결하고, 나이브베이즈모델을 통해 평가정보나 이용정보가 부족한 신규콘텐츠 추천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NDSL에서 제공하는 식품과 전기 분야 학술논문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현재 NDSL 이용자 4명에게 피드백을 받은 결과 추천논문에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신뢰가 강화된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추천시스템 (Recommender System using Implicit Trust-enhanced Collaborative Filtering)

  • 김경재;김영태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0
    • /
    • 2013
  • 개인화는 개인적인 기호를 바탕으로 각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화의 핵심적인 부분은 각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컨텐츠나 상품을 추천할 수 있는 추천기술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추천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새로운 추천기술을 제안하여 왔다. 여러 추천기술들 중에서 협업필터링은 실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협업필터링은 종종 희박성 또는 확장성 문제를 겪게 된다. 선행연구들 역시 이 두 가지 문제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여러 가지 해결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여러 선행연구들은 기존의 사용자-상품 매트릭스 외에 다른 원천들로부터 생성된 추가적인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문제점들을 해결하려 함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시간과 비용을 요하는 다른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희박성 문제를 완화하고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협업필터링을 위한 새로운 내재적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자-상품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신뢰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내재적 평가법에 기반한 사용자-상품 매트릭스의 보완을 통해 희박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방안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탐색적 실험 결과를 제공한다.

협업필터링에서 고객의 평가치를 이용한 선호도 예측의 사전평가에 관한 연구 (Pre-Evaluation for Prediction Accuracy by Using the Customer's Ratings in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석준;김선옥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4호
    • /
    • pp.187-206
    • /
    • 2007
  •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combined with the information superhighway internet infrastructure, so information widely spreads not only in special fields but also in the daily lives of people. Information ubiquity influences the traditional way of transaction, and leads a new E-commerce which distinguishes from the existing E-commerce. Not only goods as physical but also service as non-physical come into E-commerce. As the scale of E-Commerce is being enlarged as well. It keeps people from finding information they want. Recommender systems are now becoming the main tools for E-Commerce to mitigate the information overload. Recommender systems can be defined as systems for suggesting some Items(goods or service) considering customers' interests or tastes. They are being used by E-commerce web sites to suggest products to their customers who want to find something for them and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to help them decide which to purchase.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of recommending goods to customer in recommender system but in this study, the main subject is focu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This study presents a possibility of pre-evaluation for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customer's preference in collaborative filtering before the process of customer's preference prediction. Pre-evaluation for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each customer having low performance is classified by using the statistical features of ratings rated by each customer is conducted before the prediction process. In this study, MovieLens 100K dataset is used to analyz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set by using the training sets divided 80% from the 100K dataset.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the custom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classified group and non classified group. To compar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classified group and non classified group, the prediction process runs the 20% test set through the Neighborhood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and Correspondence Mean Algorithm. The prediction errors from those prediction algorithm are allocated to each customer and compared with each user's error. Research hypothesis : Two research hypotheses are formulated in this study to test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as follows. Hypothesis 1: The estimation accuracy of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user's ratings has significant difference. To test the Hypothesis 1, the standard deviation is calculated for each user in training set which is divided 80% from MovieLens 100K dataset. Four group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artile of the each user's standard deviations. It is compared to test the estimation errors of each group which results from test se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Hypothesis 2: The estimation accuracy of groups that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each user's rating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est the Hypothesis 2, the distributions of each user's ratings a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ratings of all customers in training set which is divided 80% from MovieLens 100K dataset. It assumes that the customers whose ratings' distribution are different from that of all customers would have low performance, so six types of different distributions are set to be compared. The test groups are classified into fit group or non-fit group according to the each type of different distribution assumed. The degrees in accordance with each type of distribution and each customer's distributions are tested by the test of ${\chi}^2$ goodness-of-fit and classified two groups for testing the difference of the mean of errors. Also, the degree of goodness-of-fit with the distribution of each user's ratings and the average distribution of the ratings in the training set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ediction errors from those prediction algorithms. Through this study, the customers who have lower performance of prediction than the rest in the system are classified by those two criteria, which are set by statistical features of customers ratings in the training set, before the prediction process.

사용자 간 신뢰·불신 관계 네트워크 분석 기반 추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rust/Distrust Relationship Network Analysis)

  • 노희룡;안현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1호
    • /
    • pp.169-185
    • /
    • 2017
  • This study proposes a novel recommendation algorithm that reflects the results from trust/distrust network analysis as a solution to enhance prediction accuracy of recommender systems.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of our study is based on memory-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CF), which is the most popular recommendation algorithm. But, unlike conventional CF, our proposed algorithm considers not only the correlation of the rating patterns between users, but also the results from trust/distrust relationship network analysis (e.g. who are the most trusted/distrusted users?, whom are the target user trust or distrust?) when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users.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applied it to a real-world dataset that contained the trust/distrust relationships among users as well as their numeric ratings on mov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ed the conventional CF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we found that distrust relationship was more important than trust relationship in measuring similarities between users. This implies that we need to be more careful about negative relationship rather than positive one when tracking and managing social relationships among users.

Tensor-based tag emotion aware recommendation with probabilistic ranking

  • Lim, Hyewon;Kim, Hyoung-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2호
    • /
    • pp.5826-5841
    • /
    • 2019
  • In our previous research, we proposed a tag emotion-based item recommendation scheme. The ternary associations among users, items, and tags are described as a three-order tensor in order to capture the emotions in tags. The candidates for recommendation are created based on the latent semantics derived by a high-order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echnique (HOSVD). However, the tensor is very sparse because the number of tagged items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all items. The previous research do not consider the previous behaviors of users and items. To mitigate the problems, in this paper, the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scheme is used to build an extended data. We also apply the probabilistic rank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user and item profiles to improve the recommenda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based on Movielens dataset, and the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improves the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methods.

BERT 기반 감성분석을 이용한 추천시스템 (Recommender system using BERT sentiment analysis)

  • 박호연;김경재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2호
    • /
    • pp.1-15
    • /
    • 2021
  • 추천시스템은 사용자의 기호를 파악하여 물품 구매 결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전략의 관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많은 기업과 기관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추천시스템 연구 중에서도 NLP와 딥러닝 등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NLP를 이용한 감성분석은 사용자 리뷰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2000년대 중반부터 활용되기 시작하였지만, 기계학습 기반 텍스트 분류를 통해서는 텍스트의 특성을 완전히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리뷰의 정보를 식별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BERT 기반 감성분석을 활용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교 모형은 Naive-CF(collaborative filtering),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CF, MF(matrix factorization)-CF, BPR-MF(Bayesian personalized ranking matrix factorization)-CF, LSTM, CNN-LSTM, GRU(Gated Recurrent Units)를 기반으로 하는 추천 모형이며, 실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BERT를 기반으로 하는 추천시스템의 성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ollaborative Movie Recommender Considering User Profiles Explicitly

  • Qing Li;Kim, Byeong-Man;Shin, Yoon-Sik;Lim, En-Ki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386-388
    • /
    • 2003
  • We are developing a web-based movie recommender system that catches and reasons with user profiles and ratings to recommend movies. In the paper, we outline the current status of our implementation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mechanisms used to provide effective recommendations. Social recommender systems collect ratings of items from many individuals and use nearest-neighbor techniques to make recommendations to a user. However, these methods only depend on the ratings and ignore other useful information. Our primary concern is to provide an approach that can recommend the movies based on not only the user ratings but also the significant amount of other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about the nature of each items - such as cast list or movie genre. We experimentally evaluate our approach and compare them to conventional social filtering, which suggests merits to our approach.

  • PDF

유사도를 활용한 맞춤형 보험 추천 시스템 (Personalized insurance product based on similarity)

  • 김준성;조아라;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599-1607
    • /
    • 2022
  • 저출산과 노령화로 보험 수요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나아가 언택트 소비가 주류가 되면서 기존의 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보험상품 마케팅은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보험업계는 비대면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마케팅이 절실한 시점이다. 확보된 내 외부 및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보험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전략을 통해 기존 고객의 로열티를 강화하고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보험 상품 추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험회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고객을 대상으로 공공 데이터(시군구별 총인구수, 건강생활 실천율, 고령 인구 비율, 출생률, 노인여가복지 수, 연령대별 경제활동참가율 등), 고객 개인정보 및 기 계약 정보를 사용하여 인구통계학 기반과 모델 기반 추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인구통계학 기반 추천시스템은 군집화된 고객 내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하여 유사도가 높은 고객들이 많이 가입한 보험상품을 추천하였다. K-means를 이용한 군집화 방식과 고객의 지역, 성별 및 연령대 기준의 Segmentation 방식으로 각각 수행하였다. 모델 기반 추천시스템은 Decision Tree, Random Forest Classifier를 사용하여 각각 추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군집 된 고객 간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인구통계학 기반 추천시스템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는 개인의 특성(성별, 나이 등) 및 환경적인(경제력, 직업 거주지역 등) 요소에 따라 보험 상품을 선택하기 때문에 고객 간 유사도가 보험 추천시스템의 성능에 주요 요소인 것을 보여준다.

건강관리를 위한 혼합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식이영양 콘텐츠 추천 (Personalized Dietary Nutrition Contents Recommendation using Hybrid Filtering for Managing Health)

  • 정경용;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
    • /
    • 2011
  • 차세대 IT융합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화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구축되면서, 사용자의 선호도 기반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만성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는 특정 질병의 치료 및 관리에서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식이영양 관리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관리를 위한 혼합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식이영양 콘텐츠 추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유사한 콘텐츠만을 제공하는 추천 특수화 경향을 개선하기 위해 협력적 필터링과 이미지 기반 필터링을 결합한 혼합 필터링을 사용한다. 이를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축하여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한다. 따라서 식이영양 콘텐츠를 추천하여 건강관리에 대한 만족도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시장성 증대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