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 of Educational Media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5초

실시간 교재 영상 교육 솔루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Real-time textbooks video training solution)

  • 임광혁;이문섭;정현철;이병권;김석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3-965
    • /
    • 2012
  • 다양한 교육 보조도구가 보급되어 교육시장에서는 기존 책 형태로 되어있는 텍스트북을 직접 실물화상기를 통하여 보면서 수업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실물 화상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을 캡처하여 교육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로써 향후 교사는 언제 어디서나 교재 또는 교육 보조 자료를 실사하여 수업을 진행한다.

  • PDF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GUI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EBS 수능강의를 중심으로-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GUI of Design of Educational application -Mainly with Analysis on 'The Cast exams on the EBS lectures'-)

  • 김하경;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95-300
    • /
    • 2017
  • 본 연구는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인 EBS 수능특강을 사용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GUI 디자인에 따른 사용자 경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과 서비스 현황을 고찰하고, 2차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델의 7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자 경험 설문지를 작성하여 설문하였다. 그 결과, EBS 수능특강은 사용성과 더불어 시각적인 부분의 부족으로 GUI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개선 방안을 위한 서비스가 개선될 것을 기대하며, 이후 진행될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교육정책 키워드 기반 소셜미디어 분석 (Social Media Analysis Based on Keyword Related to Educational Policy Using Topic Modeling)

  • 정진명;박영호;김우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3-63
    • /
    • 2018
  • 정보를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의 기능이 ICT 기술의 발전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와 의견을 공유하는 환경으로 급격하게 변해 왔으며, 그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즉, 일반 대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치 사회 경제 변화에 대한 여론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여론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선거활동과 같은 정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서 대중들의 의사를 파악하고, 반영하기 위한 노력은 정치 영역뿐만 아니라 공공 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교육분야 정책과정에서 소셜미디어 기반 여론을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정책 중 소프트웨어교육에 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서의 주요 토픽과 토픽별 출현 확률, 토픽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컴퓨터 교육 시간'토픽이 전체의 43.99%를 차지하였으며, '프라임 사업 선정' 토픽이 36.81%, '인공지능 프로그램'토픽이 7.94%의 출현 확률을 나타내어, 대중의 소프트웨어교육 정책에 대한 주요 관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 토픽 추세 및 연관성 있는 토픽간의 트렌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주제의 정책이라도 교육과정의 시기와 정책의 대상에 따라 유연한 정책수립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모성간호학 실습 전자교과서 개발 - 산부간호편 -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for the Internet: Nursing Care of Women in Labor and Delivery)

  • 장순복;김정은;송주은;이선경;전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22-231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digital textbook for students to use over the internet for maternity nursing practice. The textbook is not only for student nurses, but also for nurse midwives and nurses working in the maternity. The process used was as follows; 1. Existing educational media on maternity nursing were reviewed and examined. 2. Workshops and meetings were held to decide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presentation. 3. The digital content including text, pictures, audios, and videos were developed using Macromedia Dreamweaver, Adobe Photoshop and Adobe Premier. 4.Revisions were made recursively as the content was previewed and implemented over the internet by professionals and the end-users. 5. A database of members and a web survey module were developed and posted. The clinical implication of a digital textbook over the internet is the possibility of using it to educate many student nurs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disseminate the content for whoever needs it in practice settings and facilities. Another implication is that this site stressed interactivity by developing member database and web survey.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is first trial of digital textbook to be a unique educational media for nursing skills practice. Further refinement of this media is strongly recommended.

  • PDF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유저빌러티를 고려한 교육용 웹 디자인 (VRML교육용 웹 페이지 중심으로) (Educational Web Design Taking Usability into Consideration (Focused on VRML Educational Web Page))

  • 김남희;김태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6-22
    • /
    • 2002
  • 우리나라에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에 웹 페이지는 초기에는 텍스트 위주에서 그래픽 위주로, 그리고 현재에는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또한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 가속화와 멀티미디어 기반 기술의 보편화로 수요자 중심과 시공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로 교육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이끄는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로 전환이 되고 있으며 정보의 공동활용과 정보의 디지털화로 교육의 질적 향상은 물론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인터넷상에 수많은 교육용 웹 페이지가 있지만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웹 페이지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웹 디자인을 하려면 디자인에 대한 기본기술과 웹에 대한 이해가 수반된 상태에서 웹 페이지를 디자인하여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런 기본적인 것들을 무시하는데서 기인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사용하는데 고려해야 할 것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을 VRML을 교육하는데 반영한 교육용 웹 페이지를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

공학계열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용용이성의 몰입과 성취도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mmunity College Education)

  • 주영주;정애경;이상회;이유경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7권4호
    • /
    • pp.59-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용이성의 몰입과 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전문대학의 2010년 1학기 D학과 컴퓨터개론 과목을 등록한 114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용용이성을 예측변인으로, 몰입과 성취도를 준거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몰입을 유의하게 예측(${\beta}$=.59, p<.05)하였으며, 유용성 (${\beta}$=.26, p<.05)에 이어 학업적 자기효능감(${\beta}$=.24, p<.05)이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몰입과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용성을 높이려는 구체적인 증진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어머니의 감독, 활동공유, 교육지향행동, 스마트폰 허용여부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Monitoring, Shared Activities, Education-Oriented Behavior, and Allowing Children to Own Smart-Phones on the Smart Media Usag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윤경;박주희;오소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5-87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monitoring, shared activities with children, maternal education-oriented behavior, and allowing children to own smart-phones on smart media usage patterns based on smart-phone usage time and purpos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15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the 9th wave of PSKC.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he three-step estimation approach were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latent profile and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on the profile. Results: Four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High-level usage & Entertaining oriented,' 'Moderate-level usage & Social/entertaining oriented,' 'Moderate-level usage & Learning oriented,' and 'Low-level usage.' Additionally, results showed that each profile can be predicted by maternal monitoring, education-oriented behavior, and permitting children to own smart-phones. Conclusion/Implications: Our outcomes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mart media usag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considering both the amount of time spent with smart media and purposes of uses. Further, it is helpful for mothers to monitor children's daily activities, suppor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and take the role of gatekeeper for smart media as a way of appropriate guidance for their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유아컴퓨터 교육환경 조성에 관한 교사의 욕구 탐색 ; 질적 접근 (Teacher's Viewpoint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 Qualitative Study)

  • 심현애;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7-198
    • /
    • 199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point of teachers on the desirability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subjects were 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ho used computers in the classroom. Nondirective and open-end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steps or stages of viewpoints were found: step1-teachers want to have computers in the classroom but have no particular purpose in mind; Step 2-teachers want the children to play with the computers as if it were a toy; Step 3-teachers want to use any programs that are in the computer; Step 4-teachers want to use the computer more purposefully for educational goals; Step 5-teachers want to unify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the multi-media system.

  • PDF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 : 금연, 절주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Development of a Training Guide on Prevention of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 Bae, Kyunghee;Nam, Jungja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1년도 제4회 국제학술 심포지움
    • /
    • pp.91-111
    • /
    • 2001
  • Background: Alcohol and tobacco use are two major behavioral risk factors implicated in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Since both substances are widely used in Korea, a concerted effort is currently underway to reduce the use of tobacco and alcohol in Korea. Objectives: Efforts directed toward educating health promotion planners and health educators from local health departments to organize and implem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people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 training guide on prevention of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has been developed. Comprehensive multi-media health promo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health behavior theorie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health behavioral interventions. To better control of behavioral risk and promote health enhancement,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to introduce a user-oriented developmental approach by making messages more persuasive and organizing content in a user-friendly manner. Sections of the report explai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rvention, choosing goals and a target population, specific program activities to include in an intervention, development, organization, methods of making program content vivid and persuasive, and evaluation,.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he process followed in developing the health intervention materials is described in detail to assist practitioners who ne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reduce the use of tobacco and excessive alcohol. Health educators from all local health departments in the country were trained in the use of the materials, to enable them to develop community interventions to reduce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