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Motive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나르시시즘 성향, 패션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정보확산 행동 간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and Information Diffusion of Social Media)

  • 김내은;송광석;김미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호
    • /
    • pp.99-11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usage behaviors, satisfaction with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Based on the relia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used for the pilot tes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8 fashion social media users and 216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se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ve factors of the usage motivation of fashion social media were extracted: information-seeking, relationship-seeking, practicality-seeking, enjoyment-seeking and self-express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narcissism tendency on all of the usage motives of fashion social media, three of the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es influencing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on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Narcissism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s on self-expression motive followed by information-seeking, enjoyment-seeking, relationship-seeking and practicality-seeking motives in order. Factors affecting fashi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are practicality-seeking motive, self-expression motive, and relationship-seeking motive. The greater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using fashion social media. The consumers with higher satisfaction intended to use fashion social media and share information more frequently.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in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The main motives for narcissistic people to spread information is for the practical purpose at the most, and then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tyle, and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atisfaction through activ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seems to play a key role to lead high continuance intention of fashion social media. These implies that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narcissism and motives to use social media, and to stimulate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can be used to meet their needs for higher satisfaction with fashion social media.

모바일 마케팅의 유형화와 패션 어플리케이션 이용 동기 (Typology of mobile marketing and fashion application usage motives)

  • 신현주;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4권4호
    • /
    • pp.483-497
    • /
    • 2016
  • The importance of marketing on mobile platforms as well as mobile commerce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mobile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and to examine application usage motivations that influence brand attitude, purchase decisions, and post-purchase evaluati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particular focus-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ypology of mobile marketing and fashion application usage motivations. Then, a modified survey was used to quantitatively examine what content consumers expect from fashion applications.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indicated that consumers perceive sensory (visual, tactile, auditory),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motives. Survey result from 229 consumers revealed four fashion application usage motives: sensory,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practical. Based on these motives consumers were segment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ence/relationship-conscious, the product information-conscious, and the lifestyle information-conscious. The product information-conscious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monthly income and clothing expenses but lower level of mobile device usages. Lifestyle information-conscious group and experience/relationship-conscious group had higher level of attitude, and post-purchase evaluation. It was experience-relationship conscious consumers who spent more time in mobile use. This study shows a better understanding of mobile marketing environment of fashion applications.

리빙 라이프 스타일 숍 브랜드의 매장 체험요소 사례분석과 소비자들의 매장이용행태, 제품구매동기, 매장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A Case Study on Living Lifestyle Shop Brands focusing on Store Experiential Factors and an Empirical Study on Store Usage Behavior, Product Purchase Motives, Store Attitudes of Living Lifestyle Shop Consumers)

  • 서고우미;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8-467
    • /
    • 2017
  • Attention to living lifestyle shops covering with the wide product range including household items, interior decoration, and bedding have recently increased since consumers have been improving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income levels and they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up-to-date trends of global living life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market situation of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case study method and second, to investigate consumer's store usage behavior, product purchase motives, and attitudes to the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empirical study method. For an empirical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s to 50s female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living lifestyle shops and a total of 22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visit store was MUJI and most of respondents tended to visit the store once a month and their interest and purchase items were household items. Only impulsive purchase motives among other motives of living lifestyle shops, such as others-oriented, situational, and reasonable motive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store attitudes toward living lifestyle shops. There were differences in purchasing items at living lifestyle shops depending on marriage status and occupation. Purchase motives of living lifestyle products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marriage status and income level, however store attitudes were not.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iving lifestyle shops are discussed limitations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동기 연구 -이용량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KakaoStory Usage Motives and Usage Patterns -Focusing on the Decisive Factor for Using Kakaostory)

  • 이지영;신재권;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79-387
    • /
    • 2015
  • 지난 몇 해 동안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모바일 환경이 구축되고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오프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사회적 관계가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SNS 이용자에게 선호도가 높은 카카오스토리의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은 자신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려는 동기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들은 유행성-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스토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행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카카오스토리를 이용하는 현상-때문에 카카오스토리를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의 집단주의적 성격이 소셜미디어 이용에도 반영되어 카카오스토리 이용을 증가시켰다는 해석도 가능하게 한다.

TikTok 이용동기가 사용자 밀착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ikTok Motivation on Users Stickiness)

  • 왕자선;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17-22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만족 이론을 바탕으로, TikTok 이용 동기(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의 강도와 각 동기가 사용자의 밀착도(이용 빈도, 이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국인 TikTok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01건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kTok 이용 동기의 강도는 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 중 오락추구와 도피의 동기는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둘째, 사용자 밀착도 중 이용 빈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오락추구, 상호작용,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이용 시간에 대해서는 오락추구,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락추구, 상호작용, 그리고 현실을 도피하고 싶을 때에 TikTok을 자주 이용하게 되고, 오락추구나 현실을 도피를 하고 싶을 때 TikTok 이용 시간도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Tube Usage Motives and Affinity on User Activity)

  • 이은선;김중인;김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6
    • /
    • 202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모바일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하여 유튜브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이용자 활동을 시청 전과 동안 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청 전 활동인 구독채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기는 유용한 즐거움과 사회적 상호작용인 것에 비해, 시청 동안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기는 유용한 즐거움, 사회적 상호작용, 인간관계 연결, 유용한 정보탐색, 공동시청과 같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에 대한 친밀감도 시청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결과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 최예슬;김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4호
    • /
    • pp.149-16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s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220 reliab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Duncan test, paired t-test, chi-square analysis,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use of time'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e factors driving consumer's smart phone usage. Secondly, the motives underpinning smart phone user's intention to accept a fashion brand application were 'social relationships',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irdly, the frequently used factors during the usage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could be classified in order of frequency as follows: 'product information provision', 'store information provision', 'coordinated information provision', 'fashion information provision', 'entertainment provision', 'hobbies and life information provision', virtual wearing provision', 'SNS provision', and, 'events and coupons provision'. Fourthly, a factor analysis of these nin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basic information type', and 'additional information type'. The influences of basic information typ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yp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showed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 The basic information type had a greater influenc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

SNS의 이용동기가 SNS의 사회적 자본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s of Motives for Using SNS on Relational Capital of SNS and Continuous Usage of SNS)

  • 오은해;이정화;이정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38-149
    • /
    • 2019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이용 충족이론에 근거하여 SNS의 주요한 이용 동기를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관계 자본 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SNS의 이용동기가 SNS에서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 그리고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SNS의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 동기 모두 SNS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의 관계 연결과 관계 결속 역시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SNS의 사회형, 정보형, 유희형 동기 모두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고, 흥미 있는 분야가 비슷한 타 이용자들과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거나, 관계를 확대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SNS를 통해 상호간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관계를 형성하고 필요시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가치 있는 관계를 형성해 나가기 위해 그리고, SNS를 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용자들과의 새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자신의 네트워크를 확장시킴으로써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New Korean Wave in China: Chinese Users' Use of Korean Popular Culture via the Internet

  • Ahn, Jung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3호
    • /
    • pp.47-54
    • /
    • 2014
  • Although the Korean Wave originated in China, its presence in this country had been faltering for some time. Recently, however, Korean Wave star centered K-drama via online video websites, Korean Wave TV programs with high ratings, and idol group centered K-pop with glocalization strategies are all popular in China once ag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hinese teens and twenty year olds as the main consumers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how preferred genres, motives, and behaviors of Korean pop culture use and Korean image affect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edia use via online video service was most common, and among the preferred genres, K-drama has the highest usage rates.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motive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Korean pop cultur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a positive Korean image.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The Affective/Cognitive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age Motivations of Social Network Service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2호
    • /
    • pp.21-39
    • /
    • 2012
  • 본 연구는 이용-충족이론의 관점에서 SNS 이용동기에 관해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이용동기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이용과정을 통해 형성된 관여도가 만족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남성과 여성간의 이용동기, 감정적/인지적 관여, 만족의 형성구조를 비교하여 성별 차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방적식모형을 설정하고 SNS 이용경험이 있는 306명의 데이터를 Lisrel로 분석하였다.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가 감정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에 추가적으로 성별에 따라 비교해 보기위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는 정보추구동기, 오락적동기, 자아표현동기가 높은 경우에 감정적 관여가 높아지며, 오락적동기가 높은 경우만 인지적 관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적동기와 오락적동기가 감정적 관여와 인지적 관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만족으로 이어졌고, 정보추구동기와 자아표현동기는 감정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