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ine sediment prepar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7초

현미경검사를 위한 요침사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 연구 (Study on the Difference of Urine Sediment Preparation for Microscopic Examination)

  • 이혁재;박철;서민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66-373
    • /
    • 2017
  • 소변검사는 다른 검사에 비해 쉽고 간편하면서도 환자에게 부담이 없는 검사로 신장 및 요로계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후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요 침전물은 일반적으로 원심분리된 소변을 검사자가 현미경을 통한 검경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과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내용이 다르고 임상병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서적에 제시된 내용도 서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요 침전물 표본제작에 따른 차이가 검사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요시험지봉검사에서 잠혈반응과 백혈구 에스터라아제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검체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현미경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요 침전물 표본제작 차이는 요 농축 배수에 영향을 주어 cell grade나 시야 당 평균 세포 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침전물의 농도를 결정짓는 첫 번째 요소는 원심력이다. 그러나 많은 의료기관에서 원심분리기 반경을 고려하지 않는 채 1,500 rpm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는 400 G라는 정확한 원심력을 얻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요 농축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여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요소는 요 침사물의 양이다. 제거하고 남은 요의 상청액의 양은 요 침사물의 농축 계수에 영향을 주어 다른 결과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피펫을 사용하여 제시된 정확한 용량을 취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경검했을 때도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일관성 있고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위해 반드시 표본제작 과정이 표준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소변 침전물에서 Cobas u 701 Analyzer와 세 가지 수동 현미경검사법의 백혈구와 적혈구의 일치도 비교 (Comparison of WBCs and RBCs Concordance between the Cobas u 701 Analyzer and Three Manual Microscopy Methods in Urine Sediment)

  • 이혁재;이민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82-92
    • /
    • 2023
  • 소변 침전물은 일반적으로 검사자가 원심분리한 소변을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따라서 소변 침전물 표본제작 과정의 차이가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 요시험지 검사와 cobas u 701 analyzer에서 각각 백혈구 및 적혈구가 양성 반응으로 나온 107개의 신선한 검체를 수동 현미경검사를 위해 선택했다. 연구에서는 백혈구와 적혈구에 대해 자동분석기와 세 가지 수동 현미경검사법을 각각의 검사지침에 따라 평가하였다. 백혈구와 적혈구에 대한 cobas u 701 analyzer와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간의 결정계수는 각각 r2=0.977과 r2=0.970이었다. 백혈구와 적혈구에 대한 cobas u 701 analyzer와 대한 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간의 일치도는 각각 74.8%, 77.6%였다.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 방법으로 표본을 제작하여 검사한 결과에서 자동분석기와 가장 좋은 상관성 및 일치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소변 침전물 표본제작 방법의 차이는 침전물 농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HPF당 세포 등급과 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보다 일관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위해 소변 침전물 표본제작 과정을 표준화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에 있어서 전신성홍반성루프스 1예와 전신성혼반성루프스 의증 1예 및 자가면역성혈소판감소성출혈성자반병 1예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Suspexte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and Auto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Hemorrhagica in a Dog)

  • 이창우;나기정;임정식;서정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1-86
    • /
    • 1996
  •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suspecte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and auto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hemmorrhagica in a dog are reported. A fice-year old, female Chihuahua (Case 1) showed initially hemorrhagic diathesis and purpura hemorrhagica. Afterward, it showed polymyositis and polyarthritis. LE-cell was demonstrated on LE-cell preparation trom bloo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was diagnosed. This reponded well to the immunosuppressants, but developed iatrogenic Cushing syndrome and steroid hepatopathy. A two-and-half-year old, male toy poodle (Case 2) had chief complaint of red urine. Occult blood test for the urine sediment. This did not respond at all to antibiotics and carbazochrome, which is one of systemic coagulants. LE-cell was demonstrated on LE-cell preparation from blood. This responded relatively well to immunosupressants such as prenisolone, azathioprine and cyclophosphamid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s suspected. A nine-year-and-three-month old, female Maltese (Case 3), which had history of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ovariohysterectomy showed purpura hemorrhagica in the skin of chest. This had severe thrombocytopenia and leukocytosis. As prednisolone was administered before immunological examination or demonstration of LE-cell, it was impossible to diagnose whether purpura hemorrhagica developed as a member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or independ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This responded well to prednisolone, and so auto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hemorrhagica was diagn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