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se Sourc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 of Different Sources of Urease Enzyme on the Nutritive Value of Wheat Straw Treated with Urea as a Source of Ammonia

  • Khan, M.J.;Scaife, J.R.;Hovell, F.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63-1069
    • /
    • 1999
  • Wheat straw samples (3-4 cm) were sprayed with solutions of urea (U) alone or with a dry addition of garden soil (GS), midden soil (MS), soya bean meal (SM) or jack bean meal (JM) as crude urease sources and with a pure urease (UR) enzyme. Each of the urease sources was included at two levels: 30 and 60 g/kg except pure urease, which was added at a level of 2.5 & 5.0 g/kg treated straw dry matter. Untreated straw without urease source was used as a control. After treatment, samples were sealed in polythene bags and stored for 2, 7, 14, 21 and 35 days at $19{^{\circ}C}$. The urease sources, their levels and treatment time produced significant effects on ammonia production (p<0.01). The addition of urease offered more flexibility in hydrolyzing urea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Incorporation of soya bean and jack bean meal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modified acid detergent fiber (MADF) content of straw and the same time increasing organic matter (OM) digestibility. Overall effect, addition of soya bean to urea at a ratio of 1:1 appeared to be the most satisfactory urease source for the treatment of urea and wheat straw.

Staphylococcus epidermidis urease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taphylococcus epidermidis Urease)

  • 민선희;이만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81-58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피부상재균이며 기회병원균이기도 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12228로부터 urease효소를 4단계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을 사용하여 1,127배 정제하고 그 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였다. 정제된 urease 효소는 SDS-PACE 전기영동분석 및 gel-filtration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천연분자량 분석결과, 67, 16.1 및 12.7 kDa의 3개 subunit가 3량체로 회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atalytic unit 당 2.2개의 니켈 원소를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정제된 효소의 비활성은 993.8 U/mg, $K_m$값은 8.5mM로 각각 산출되었다.

복잡한 지형에서 발생하는 지하수의 질산태 질소 오염원 평가 (Contamination Source Assessment of Groundwater Nitrate in a Complex Terrain)

  • 한광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4-20
    • /
    • 2009
  • 토지이용에서 보았을 때 제주도는 해안을 따라 넓게 분포하는 밭과 과수원의 화학비료와, 중산간 지대 방목지의 가축분뇨 및 산발적으로 존재하는 주거지역의 생활하수에 의한 질산태 질소 오염이 추정되었다. 질소동위원소 분석이 이들 오염원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주요 오염원인 요소, 유안, 축분정화조, 축분유기질 비료에 대해 측정된 $\delta^{15}N$ 값을 토대로 화학비료에 의한 오염은 5‰ 이하, 생활하수 혹은 가축분뇨에 의한 오염은 10‰ 이상으로 기준을 정하였다. 제주도 전역에 걸친 33개 관정의 질산태 질소 동위원소 분석결과는 대부분의 관정이 화학비료에 의해 오염되었으며, 일부 관정이 가축분뇨와 생활하수에 의해 영향받았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질소동위원소분석이 토지이용분류로는 판별하기 어려운 오염원 추정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좁은 지역에서 토지이용이 다양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경우에 중요한 오염원 추정 수단이 될 수 있음을 경기, 강원 지역의 지하수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오염원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고 그 기여도가 시기별로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acillus thringiensis var. kurstaki 감온성 돌연변이주의 일부특성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 Temperature-sensitive Mutants)

  • 김영권;유관희;이형환;이호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3-208
    • /
    • 1985
  • Bacillu! thuringiensis var. krustaki 3ab k-3의 감온성치사돌연변이체에 대한 생물학적 성상의 변이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화학적 성상검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조사, 용혈성 검사, 돌연변이체균주의 특수배지에서의 성장비교, Mouse에 대한 치사효과를 $28^{\circ}C$의 허용온도에서 조사하였다. Urease를 생산하지 못하는 돌연변이체는 ts-U154, ts-U601, ts-U602, ts-U603, ts-U604, t-U788 이었다. ts-U603만이 운동성이 상실되었고, ts-U154는 Salicin과 cellobiose을 분해하지 못했고, ribose를 분해하지 않는 균주는 ts-U603였다. 항생제에 대한 반응은 ampicillin, cephalothin, penicillin에는 모두 저항성을 나타냈으나, ts-U154 균주만이 감수성을 나타냈다. Fructus gardenia배지에서 색소를 생산하지 않은 것은 ts-U21, ts-U74, ts-U131과 ts-U154였다 가장 적은 용혈성을 나타내는 균주는 정상형고 ts-U602였고 가장 많은 용혈성을 나타내는 것은 ts-U603 (1:512 x) 이었다. Mouse 에 대한 치사효과는 전혀 없었다.

  • PDF

내시경용 광섬유 pH 측정 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ber-Optic pH Sensor for Endoscope)

  • 이봉수;홍주영;황영묵;조승현
    • 센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7
    • /
    • 2004
  • The general method to find a H. pylori in the stomach is the rapid urease test but it is only used to decide the infection with H. pylori. In this study, it is tried to develope fiber-optic pH sensor which can be used with gastroscop to quantify H. pylori. To measure the degree of infection with H. pylori, the color change of phenol r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H is measured by optical fibers with different light sources and the optimum distance from a sample to the end of sensor tip is decided by measuring the maximum reflectivity from a sample. Also the sensitivity study is carried out to decide the optimum light source which has sensitive change of reflectivity to the change of pH. It is expected that the fiber-optic pH sensor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infection with H. pylori exactly can be developed.

부탄올 내성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변이주의 개발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Mutant Development of Butanol Tolerance Bacterium)

  • 정혜숙;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2
    • /
    • 2013
  • 부탄올 용매에서 생존하는 부탄올 내성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들의 세포성장은 부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 BRS02가 12.5 g/L에서 가장 높은 내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UV를 이용하여 BRS02균의 변이를 유도하여 고농도 부탄올 내성균 BRS251을 개발하였다. 부탄올 생산 모델균주로 대장균과 함께 부탄올, 프로판올 및 펜탄올에 대한 내성도를 비교한 결과, 대장균은 7.5 g/L 부탄올과 20 g/L 프로판올, 2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한 반편, BRS251은 더 고농도인 17.5 g/L 부탄올과 32.5 g/L 프로판올, 6 g/L 펜탄올 농도까지 생육이 가능하였다. 분리된 세균을 동정하기 위해서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그람양성의 구균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6.5% NaCl에서 생육이 가능하였다.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dihydrolase, ${\alpha}$-glucosidase, urease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호기적인 조건에서 D-galactose, Dmaltose, D-mannitol, D-mannose, methyl-${\beta}$-D-glucopyranoside, D-ribose, sucrose, D-trehalose를 탄소원으로 자화하여 산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bacitracin, vibriostatic agent O/129 및 optochin에 대한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었다.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결정하고 계통발생도 분석을 통해 BRS02는 최종적으로 Staphylococcus sp.임을 동정하였다.

식물추출액을 이용한 지반 고결제 개발 (Development of Soil Binder Using Plant Extracts)

  • 박성식;최선규;남인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67-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식물추출액을 이용하여 모래 입자 사이에 친환경적으로 탄산칼슘을 석출시켜 모래 고결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식물추출액에는 고결유발 미생물(예: $Sporosarcina$ $pasteurii$)과 같이 요소를 탄산이온과 암모늄이온으로 분해하는 우레아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분해된 탄산이온과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칼슘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모래의 고결을 유도하였다. 깨끗한 낙동강모래에 식물추출액과 요소 그리고 칼슘원(염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혼합한 용액을 섞어서 비빈 다음 다짐방법으로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요소의 농도를 세 종류로 달리하였으며, 제작된 공시체를 실내($18^{\circ}C$)에서 3일 동안 양생시킨 다음 일축압축시험과 SEM 및 XRD분석을 실시하여 사질토의 고결 정도를 연구하였다. 칼슘원에 관계없이 요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산칼슘이 더 많이 침전되어 일축압축강도는 식물추출액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10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화칼슘을 사용한 공시체가 수산화칼슘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답토양(畓土壤)의 유기물(有機物) 시용효과(施用效果) (The Effect of Agricultural Wastes on Rice Plant Growth)

  • 이상규;박준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56-67
    • /
    • 1984
  • As in many other country, the use of organic matter in Korea has long history. Farmers understand the value of organic matter as the source of plant nutrient and soil improving agent in general. Since 50 years ago,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 in paddy soils were compost, rice and barly straw, green manure, animal waste, fish and beancake, etc.. Application of green manures such as vetch and chinese milk vetch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yield of brown rice in paddy soi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compost and rice straw showed more significant on the yield of brown rice in paddy soil. Application of rice straw in rice cultivation is commonly made at different times between harvest, early spring and several weeks before transplanting. Considering the suitable paddy soil for application of rice straw under well to moderately well drained soil, the yield was pronounced more than poorly drained soil. Based o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ants, application of rice straw promoted the decrease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in well to moderately well drained soil. This results to be enhanced the release of some mineral nutrients,. such as potassium, calcium, silicon, and increase of availability of soil phosphorus. In the field experiments, results obtained from nitrogen fraction on the immobilization-mineralization of the tracer nitrogen applied in paddy soil,the amount and index of organic nitrogen incoporated in soil was more pronounced in rice straw application than control.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incoporated in the soil, provided the inflow of energy necessary to maintain heterotrophic microbes activities.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especially soluble carbohydrate, enhanced the population of free-living heterotrophic $N_2$ - fixing microbes. Moreover, rice straw and its transformation products in paddy soil, enhanced the activities of soil enzymes such as dehydrogenase and urease.

  • PDF

논에서 분리한 메탄산화세균 Methylomonas sp. SM4의 특성과 메탄올 생합성 (Characterization and Methanol Biosynthesis of a Methane-Oxidizing Bacterium, Methylomonas sp. SM4, Isolated from Rice Paddy Field Soil)

  • 박성민;;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24-132
    • /
    • 2017
  • A methane-oxidiz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rice paddy field soil around Jeollanam-do province, Korea, and characterized. The isolate was gram-negative, orange pigmented and short rod ($1.1-1.2{\times}1.6-1.9{\mu}m$). It was catalase and urease-negative but oxidase-positive. The strain utilized methane and methanol as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s. It had an ability to grow with an optimum pH 7.0 and an optimum growth temperature $30^{\circ}C$. The strain was resistant to antibiotic polymyxin B but sensitive to streptomycin, kanamycin, ampicillin, chloramphenicol and rifampicin. The isolate required copper for their growth with concentration range of $2-25{\mu}M$, with an optimum of $10{\mu}M$.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 specific cell growth rate and generation time were found to be $0.046hr^{-1}$ and 15.13 hr, respectivel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DNA sequences indicated that the strain formed a tight phylogenetic lineage with Methylomonas koyamae with a value of 99.4% gene sequence homology. So, we named the isolate as Methylomonas sp. SM4. 8.6 mM methanol was accumulated in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70 mM sodium formate and 40 mM $MgCl_2$ (MDH inhibitor) under atmosphere of methane:air (40:60) mixture for 24 hr at $30^{\circ}C$.

Glucoamylase 생성효모의 분리와 효소학적 특성 (Isolation of Glucoamylase Producing Yeasts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 박소영;최순영;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86-393
    • /
    • 1999
  • 대체에너지 생산을 위한 우수발효효모를 선별하기 위하여 전국 지역에서 전분, 전분박 및 전분 공장의 주변 토양과 폐수 등 시료를 채취하여 glucoamylase를 분비하는 효모균 64분리주를 얻었으며 이중 비교적 높은 activity를 보여주는 분리주를 선별하였다. 분리주를 동정한 결과 A1-5, D1, E3, G1과 J20은 Saccharomyces diastaticus로 동정되었으며 Saccharomycopsis fibuligera와 Schwanniomyces occidentalis는 각각 두 분리주, Ambrosiozyma monospora와 Lypomyces kononenkoae로 각각 한 분리주색 동정되었다. 그 중 높은 효소활성을 보여주는 S. diastaticus A1-5, J20과 E3을 선택하여 분비되는 glucoamylase의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양액내의 효소의 생성을 측정한 결과 glucose나 saccharose, 그리고 4탄당과 3탄당보다 수용성녹말에 의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lucoamylase활성의 반응 최적 온도는 $50^{\circ}C{\sim}60^{\circ}C$였고, 최적 pH는 $5{\sim}6$이었으며, 열에 대해서는 $60^{\circ}C$ 이상에서는 불안정한 활성을 보며주었다. 금속이온에 따른 효소의 활성은 $Na^+,\;Mg^{2+}$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H^{2+},\;Ag^{2+}$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수용성녹말이 쌀 전분, 옥수수전분과 밀 전분에 비하여 현저하게 좋은 기질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