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 Treatment

검색결과 730건 처리시간 0.029초

요소(尿素)(Urea)를 시용(施用)한 초지(草地)의 토양단면(土壤斷面)에서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含量)의 계절적(季節的) 변화 (Seasonal Change in Inorganic Nitrogen Content in the Soil Profile of Urea-Fertilized Grassland)

  • 윤순강;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1-176
    • /
    • 1991
  • 요소(urea)를 시용한 초지의 토양단면에서 무기태질소의 계절적 함량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질소 시용수준(施用水準)을 0, 14, 28 kg/10a로 하고 목초를 재배하면서 봄(5.26), 여름(7.27), 가을(10.18)철에 토양시료를 토양깊이 100cm 까지 20cm 간격으로 채취하여 분석(分析), 검토(檢討)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봄 철에 질소 무시용구에서는 $NH_4-N$ 함량이 높았으나 14, 28 kg N/10a 처리에서는 $NO_3-N$ 함량이 증가(增加)되었고 $NH_4-N$, $NO_3-N$ 함량은 토양깊이가 깊을수록 모두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여름 철 토양 중 $NO_3-N$ 함량(含量)은 0 N < 14 N <28 N 순으로 증가되었고 28 N 처리에서는 토양중 평균 $NO_3-N$ 함량이 42 ppm였다. 3. 가을 철에는 $NH_4-N$ 함량은 전 처리에서 여름 철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NO_3-N$ 함량은 여름 철에 비하여 크게 감소(減少)되어서 14 N, 28 N 처리에서 각각 7, 14 ppm 이하로 낮아졌다. 4. 토양 중 전질소 함량은 봄 철에 토양깊이 0~20cm에서 0 N에 비하여 28 N 처리에서 0.042% 낮았으며 전체적으로는 0 N과 28 N 처리 사이에 차이가 적었다. 그러나 토양 전질소(全窒素) 함량에 대한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 비율은 0 N과 28 N 처리 간에 차이가 컸는데 여름 철에 28 N 처리의 토양깊이 40~100cm에서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 함량비율은 0 N 처리에 비하여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며 특히 토양깊이 80~100cm에서는 0 N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되었다.

  • PDF

BLOOD BIOCHEMICAL PROFILE AND HISTOPATHOLOGY OF VITAL ORGANS IN RABBITS FED ON PROCESSED NEEM (Azadirachta indica) KERNEL MEAL INCORPORATED DIETS

  • Gowda, S.K.;Katiyar, R.C.;Sharma, A.K.;Sastry, V.R.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471-476
    • /
    • 1996
  • Blood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vital organs of rabbits were studied after 19 wk of feeding composite diets (75 concentrate : 25 roughage) incorporating either urea (2%, wt/wt) ammoniated or alkali (1.5%, wt/wt) treated neem kernel meal (NKM) replacing peanut meal protein of control diet by either 50 or 100%. The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Haemoglobin, Alanine amino transferase, Aspartate amino transferase, Total protein, Blood urea nitrogen &Cholesterol) in rabbits fed on processed NKM diet at either levels, were comparable to the values of thos on control diet except a lowered (p < 0.05)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processed NKM fed rabbits as compared to that in control diet fed ones.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increased goblet cell activity, stunting of jejunal villi, mild tubular degeneration in kidney and hepatic fibro-cellular reaction in rabbits fed on urea ammoniated and alkali treated NKM diets with less marked changes in the latter. Testicular changes with variable degree of disorganization and vacuolation of spermatogonial cells were noticed in rabbits fed higher levels of urea-ammoniated and alkali treated NKM. Thus, alkali treatment and urea-ammoniation were effective in detoxification of meal, but the processing technology is to be further perfected to prevent cumulative effect of residual neem bitters in long term feeding.

건설기계용 Urea-SCR 시스템의 촉매전단에서 암모니아 균질도 해석 및 DeNOx 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Ammonia Uniformity and DeNOx Analysis in the Urea-SCR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 김동환;박준규;강정호;문성준;박성욱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57
    • /
    • 2019
  • In this study, the spray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urea injector used in SCR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was analyzed, and the uniformity index at the front of mixer and NOx conversion efficiency were evalua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Spray visualization and droplet size/velocity measurement were performed and the measured results were used to verify the spray analysis model to calculate the uniformity index in the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For the flow analysis, STAR-CCM, a three-dimensional CFD, was used and the uniformity index of the SCR system at the front of the mixer was calculated using the droplet dissociation model and the wall collision model. Finally, the DeNOx performance for the average condition of the NRTC driving mode was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NOx conversion efficiency reflecting the exhaust gas temperatur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uniformity index at the front of mixer was calculated as 0.862 and DeNOx efficiency was 75.9%.

췌장 효소 상승을 동반한 급성 신손상 환자의 복통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Abdominal Pain with Acute Kidney Injury and Elevated Pancreatic Enzymes)

  • 김도현;공경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017-1024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bdominal pain with acute kidney injury. Methods: A 80-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Blood test results showed increased blood urea nitrogen, serum creatinine, amylase, and lipase.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specifically Hyangsayukgunja-tang-gahwangryeon for 4 days and Gagam-gunbi-tang for 11 days.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and abdominal examination. Results: Gastrointestinal symptoms improved after taking Korean herbal medicine. Additionally, blood urea nitrogen, serum creatinine, amylase, and lipase levels showed improvement compared to values before treatment.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improve clinical symptoms without damaging the kidneys of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ies.

Isotope-Aided Micronutrient Studies in Rice Produc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Zinc Deficiency (II) -Residual Effect of $^{65}Zn$ Labelled Fertilizers-

  • Kim, Tai-Soon;Kim, Jae-Sung;Kim, Jin-S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47-54
    • /
    • 1979
  • 수도(水稻)에 의한 $^{65}$ Zn 표지 및 비표지 아연비료의 잔류(殘留) 효과의 포장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량면에서 본 아연비료의 잔효(殘效)는 약간 있었다. 수량에 미치는 아연시비법(施肥法)의 영향을 보면 아연 건층시비가 포층시비 보다 효과가 컸다. 아연 시비 수준별로 본 수량은 5kg Zn/ha 전층 시비가 10, 20kg Zn/ha 건층시비 보다 좋았다. 아연비료 형태별로 수량을 비교해 보면 $^{65}$ ZnSO$_4$ 가 Urea-$^{65}$ Zn 복합비료 보다 좋았다. 이와 같은 경향은 1차년도 실험 결과와 같았다. 수도체(水稻體)의 아연 전 흡수량은 유기물 첨가토양(처리 2와 8)과 Urea-$^{65}$ Zn 복합비료 시용구에서는 전년도 보다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수도체의 % Zndff값은 전년도에 얻어진 값 보다 훨씬 감소되었다. 수도체의 비료 아연 흡수량은 대부분의 아연 처리구에서 전년도 보다는 약간 감소되었으나 유기물 시용토양에 아연을 전층시비했을 때와 Urea-$^{65}$ Zn 복합비료 시용구에서는 전년도의 값 보다는 오히려 증가되었다. 아연 전층시비법은 표층시비법 보다 수도체의 비료 아연 흡수량은 많았다. 수도체의 전아연 흡수량에 대해서 비료에 유래된 아연의 기여율은 4.6%-24.3% 범위하였다. 5kg Zn/ha 수준에서 $^{65}$ Zn 표지 아연 비료의 이용 효율은 0.213%-0.58%였다.

  • PDF

비료(肥料)의 종류(種類)와 시비법(施肥法)이 상자육묘(箱子育苗)에 있어서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Sources of Fertilizer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on Seedling Vigor in Rice for Machine Transplanting)

  • 제상율;배석복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1-8
    • /
    • 1984
  • 기계이앙용(機械移秧用) 상자육묘(箱子育苗)에 있어서 비료(肥料)의 종류(種類) 및 시비법(施肥法)이 토양(土壤)의 pH변화(變化)와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낙동(洛東)벼와 삼강(三綱)벼를 공시(供試)하여 시험(試驗)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草長)과 건물중(乾物重)에 있어서 유안(硫安)을 시용(施用)한 것이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것보다 양호(良好)하였으며 발근력(發根力) 또한 시비법(施肥法)에 관계(關係)없이 유안(硫安)을 시용(施用)한 구(區)가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구(區)보다 양호(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장해(生理障害)는 요소전량기비구(尿素全量基肥區)가 요소분시구(尿素分施區)보다 심하였고 유안시용구(硫安施用區)에서는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묘생육기간중(苗生育期間中) 상토(床土)의 pH변화(變化)는 질소질(質素質) 비료(肥料)는 유안(硫安)이 요소(尿素)보다 낮았고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는 과인산석회(過燐酸石灰)가 용성인비(熔成燐肥)보다 낮았다.

  • PDF

볏짚의 혐기분해(嫌氣分解)에 관여(關與)하는 섬유소분해균(分解菌)과 메탄생성균상(生成菌相) 및 그 분해(分解) 생성물(生成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Beha vior of Cellulolytic and Methanogenic Bacteria Participated in Anaerobic Decomposition of Rice Straw and its Decomposition Products)

  • 정광용;주영희;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3-328
    • /
    • 1989
  • 절대(絶對) 혐기조건(嫌氣條件)에서 볏짚의 분해작용(分解作用)에 관여(關與)하는 혐기미생물(嫌氣微生物)과 그 분해생성물(分解生成物)들의 행동(行動)을 구명코져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전(全) 시험기간(試驗期間)동안 처리(處理)에 관계없이 메탄생성균수(生成菌數)가 섬유소분해균수(分解菌數)보다 많았다. 2. 혐기미생물(嫌氣微生物)의 활성(活性)은 볏짚+요소구(尿素區)에서 항온초기(恒溫初期)에 높았던 반면 볏짚단용구(單用區)는 초기(初期)에 감소(減少)되었다가 항온 10日 이후부터 다시 증가(增加)되었다. 3. 중간분해산물(中間分解産物)인 휘발성지방산(揮發性脂肪酸)은 볏짚+요소구(尿素區)보다 볏짚단용구(單用區)에서 그 생성양(生成量)이 높았고 체재기간(滯在期間)도 더 길었으며 이들중 propionic acid함양(含量)이 가장 높았다. 4. 최종분해산물(最終分解産物)인 가스의 발생양(發生量)은 메탄생성균(生成菌)의 활성(活性)과 대단히 밀접(密接)한 관련을 갖고 있었다. 5. 항온기간(恒溫期間)중 액(液)중의 평균 Eh값은 -250mV이었고 이때 $CH_4$:$CO_2$의 %비(比)는 약 60~65 : 35~40이었다. 6. $CH_4$$CO_2$ 가스로부터 환산(換算)한 유기물(有機物)의 분해률(分解率)은 볏짚+요소구(尿素區)가 50일(日)동안 45.6%이었으며 볏짚단용구(單用區)는 36.8%이었다.

  • PDF

건답(乾畓) 직파(直播) 논에서 초기(初期)의 암모니아 휘산(揮散) 경감(輕減)을 위한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의 효과(效果) (Use of Phosphate Coated Urea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Loss from Direct Seeded Rice Field at Early Stage)

  • 정영상;하상건;조병옥;이호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4
    • /
    • 1996
  •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栽培) 논에서 건답(乾畓) 초기(初期)에 표면(表面) 시용(施用)된 요소(尿素)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알아내고, 이를 억제(抑制)하기 위하여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의 사용(使用)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인산(燐酸)입힌 요소(尿素)는 요소(尿素) 94.5%, 인산(燐酸) 5%, 그리고 silica powder 0.5% 비율로 섞어 조제하였다. 토양(土壤) 수분(水分)이 다른 상태로 조절한 토양(土壤)에 요소(尿素),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 및 urease 활성 억제제인 thio urea 5%를 처리하여 실험실 내에서 요소(尿素) 가수 분해율(分解率)을 조사하였다. 건답(乾畓) 직파(直播) 포장(圃場)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측정하기 위하여 직경22.5cm 높이 40cm인 아크릴 원통을 이용하여 인산(燐酸)과 giycerol 암모니아 포집포를 설치하여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을 조사하였다. 실내 실험 결과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상태에서 요소(尿素) 첨가 후 3일만에 요소(尿素) 잔존률이 39.6%로 떨어졌고, 1주일 후에는 대부분의 요소(尿素)가 가수(加水) 분해 되었다. Thiourea의 사용에 의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 억제 효과가 있었다.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를 첨가한 경우 3일만의 요소(尿素) 잔존률은 높았으나, 7일 후에는 요소(尿素) 첨가와 비슷해졌다. 토양수분(土壤水分) 함량이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 이상으로 충분한 조건에서는 요소(尿素) 및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 첨가 1주일 후의 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97~98%로 차이가 없었고 thiourea 사용 효과만 있었다. 비교적 건조한 상태인 300KPa 수분(水分) 상태에서는 습윤한 상태 보다 가수(加水) 분해율(分解率)이 낮았으며,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와 thiourea 첨가 요소(尿素)의 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요소(尿素) 사용에 비해 낮았다. 건답(乾畓) 직파(直播) 논에서 포장(圃場) 시험한 결과 담수 전인 건답(乾畓)상태에서 요소(尿素) 시용구에서는 시용 질소(窒素)의 14.7%가 암모니아로 휘산(揮散)되어 손실되었으며, 인산(燐酸) 입힌 요소(尿素)와 인산(燐酸)과 magnesium phosphate를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암모니아 휘산률(揮散率)은 2~4%로 매우 낮았다. 한편 축산분(畜産糞)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사용한 구에서의 암모니아 휘산량(揮散量) 역시 많았다.

  • PDF

Comparative antidiabetic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s of Enicostemma littorale Blume in streptozotocin induced NIDDM rats

  • Vishwakarma, Santosh L.;Rajani, M.;Goyal, Ramesh 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4호
    • /
    • pp.196-204
    • /
    • 2003
  • Aqueous extract of Enicostemma littorale is reported to have antidiabetic activity.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different fractions i.e., tolue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fractions and remaining residual fraction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neonatal type 2 diabetic rats.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in NIDDM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ontrol rat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Results of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showed that aqueous extract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ignificantly (P<0.05) decrease both $AUC_{glucose}$ and $AUC_{insulin}$ values in NIDDM treated groups. Insulin sensitivity $(K_{ITT})$ index of NIDDM control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normal control and this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lowered the elevate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bserved in NIDDM rats. Treatment with aqueous extract of E. littorale and its n-butanol frac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creatinine, urea, SGPT and SGOT levels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However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significant changes only in creatinine and SGOT levels, and not in the levels of urea, and SGPT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Treatment with toluene, chloroform and residual fractions of E. littorale did not produce any effect on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cholesterol, creatinine, urea, SGPT or SGOT levels as compared to NIDDM control rats. Our data suggest that n-butanol and ethyl acetate fractions contain the active compounds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the above activity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in NIDDM diabetes mellitus.

요소분해 저해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평가 (Effect of pyroligneous acids on urease inhibition)

  • 박현준;박진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73-178
    • /
    • 2017
  • 본 연구는 요소비료를 처리할 때 가수분해가 일어나 암모니아로 휘산되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목초액이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수많은 요소분해 합성억제제들이 개발 또는 탐색되어 왔으나, 토양 또는 환경 별로 효과가 일정치 않고 합성물질의 경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농업자재인 목초액이 토양 중 요소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요소분해효소(urease)활성 억제효과를 통해 평가하였다. 목초액은 식물 urease와 미생물 urease 활성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urease complex가 존재하는 토양 urease에도 저해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요소분해효소의 저해는 jack bean urease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 non-competitive inhibition으로 판단된다. 또한 목초액을 요소와 함께 토양에 처리하였을 경우 토양 내 요소분해작용을 억제하였다. 이를 통해 목초액을 요소 비료와 같이 처리할 경우 식물에 공급되는 질소의 효율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토양에 공급되는 질소비료의 총량을 절감하여 친환경 농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