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tream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 하천(원주천) 유입이 섬강 하류 부착규조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 윤성애;김난영;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32-241
    • /
    • 2010
  • 섬강 수계로 유입되는 도시하천(원주천)의 유입이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조류 및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섬강 본류와 원주천을 포함한 지류 등 총 14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7년 10월에서 2008년 9월에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온과 용존산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항목은 계절 변이가 크지 않았고, 섬강 상류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섬강 중류(원주천 유입부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농도가 감소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높은 빈도와 생물량을 보인 종은 Achnanthes convergens이었고, 원주천를 비롯하여 수질오염이 심한 지점에서는 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등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각 조사지점의 TDI(trophic diatom index)에 의하면, 섬강 수계는 크게 3 그룹 - 섬강 상류와 지류하천(A 또는 B등급), 원주천(D등급), 합류후 섬강하류의 본류(C등급)로 구분되었으며, 대부분의 수질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 및 수질요인을 근거로 하는 유사도 분석결과는 TDI 지수의 분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인구밀집과 공업단지를 관통하는 원주천은 섬강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규조 및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오염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하천 복원경로 추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toration Path Tracking Method for Urban Stream)

  • 임용호;엄정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5-3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질적 성장에 필요한 수공간 확보방안으로 도시화 과정에서 사라진 소하천을 찾아내고 찾아진 소하천을 복원할 때 도시의 현실에 맞는 적절한 경로를 찾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연구결과 GIS를 이용하여 도시내의 사라진 소하천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발견된 소하천을 복원할 경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고도, 토지이용, 지가를 선정하여 각각의 요인별 최적경로를 분석하였고 3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최적경로를 분석하였다. 3가지 요인이 하천복원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요도에 따른 최적의 가중치를 찾아내고 최적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복원경로를 추적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친환경도시건설과 도시민의 쾌적한 삶을 위해 사라진 하천을 복원경로를 찾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도심하천인 풍영정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와 수질과의 통계적 관계 분석 (Statistical Relations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 Distribution and Water Quality at Pungyeongjeong Stream in the Urban Region)

  • 윤상훈;양윤철;서광엽;조영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72
    • /
    • 2018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ommunity pattern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ies and the water quality in the Pungyeongjeong Stream. We collected the samples four times by season. The number of species was 28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Cheumatopsyche brevilineata, Hydropsyche kozhantschikovi, Baetis fuscatus, Chironomidae spp., and so on. The range of the dominant index was 0.54 to 0.93 and the mean was 0.77. The range of the diversity index was 0.94 to 2.54, and of the mean index it was 1.75. The ratio of filtering-collectors and clingers got lower, but the ratio of gathering-collectors and sprawlers got higher as collection progressed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lower stream. The results of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COD, SS, TOC and total coliforms were highly related with biotic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showed that the survey sites and perio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survey sites were divided into upper stream and middle-lower stream. The survey periods were divided into winter season and other seasons.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howed so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influence factors; however long-term and regular investigations were thought to need analysis and prediction with various statistical methods.

안양천 및 주변지역의 생태계 현황 및 생태공원 조성방안 연구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and ecological parks in Anyang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5-153
    • /
    • 2010
  • 안양천은 한강 지류의 국가하천으로서, 안양천 수변관리를 위한 생물상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 수변 및 주변지역 조사를 통하여 출현종 및 개체수를 파악하고 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민감종 및 서식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외래종을 파악하였다. 안양천 수변부에서 출현한 식물상은 35목 78과 196속 230종 33변종 2품종 1잡종의 총 266종류(분류군)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외래종으로는 총 10목 16과 37속 47종 2변종 49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류의 한강 합류부와 상류의 기아대교 하류부의 제방사면에서 외래종이면서 위해식물인 가시박(Sicyos angulatus)이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양천 주변을 11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및 외래종 관리방안과 사람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환경창출 방안과 하천 생태축(블루네크워크)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유역형상과 오염부하배출 특성을 고려한 유달계수 산정 (Estimating the Pollution Delivery Coefficient wit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Watershed Form and Pollution Load Washoff)

  • 하성룡;박정하;배명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1호
    • /
    • pp.79-87
    • /
    • 2007
  • The performance of a stream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depends upon many factors attributed to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watershed as well as the distribution behaviors of pollutant itself on a surface of watershed. Because the model run has to import the pollution load from the watershed as a boundary condition along an interface between a stream water body and a watershed, it has been used to introduce a pollution delivery coefficient to behalf of the boundary condition of load importation. Although a nonlinear regression model (NRM) was developed to cope with the limitation of a conventional empirical way, this an up-to-date study has also a limitation that it can't be applied where the pollution load washed off (assumed at a source) is less than that delivered (observed) in a stre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causes the limitation of NRM and to suggest how we can purify the process to evaluate a pollution delivery coefficient using many field observed cases. As a major result, it was found what causes the pollution load delivered to becomes bigger than that assumed at the source. In addition, the pollution load discharged to a stream water body from a specific watershed was calculated more accurately.

영산강 유역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in the Urban Area of the Youngsan-River Basin)

  • 진영훈;박성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5-613
    • /
    • 2006
  •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and load amount of the discharge in the urban area were investigate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and the Yongbong-stream basin in this present study. The land use of the studied basins were divided into paddy field, industrial complex area, combined sewage system, separate sewer system and point sources discharg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of non-point pollutants by the the land use showed in the range of 4.43-32.28 mg/L for BOD and 8.27~56.17 mg/L for COD.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shown from the combined sewage system. The EMC of SS at the paddy field in the Pungyeongjeong-stream basin showed the highest range with the values ~ from 35.76 to 358.86 mg/L, which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a levee construction in the adjacent of the area. Th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values of 4.43~32.28 mg/L and 1.617.13 mg/L emerged from TN and TP,respectively, at the discharge points of the both stream basins.

저수지를 포함한 도시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an Urban Stream with a Reservoir)

  • 김필재;김진영;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25-831
    • /
    • 2013
  • The Suwon stream which consists of a mountainous reach, an artificial reservoir and an urban reach provid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ith various habit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servoir sluice control and water quality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 the Suwon stream from June to August, 2011. As a result, substrate composition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ite (S2) and the lower site of the reservoir (S3). At site S3, water velocity was fastest, and water temperature was lowest due to the intermediate depth discharge of the reservoir. Cheumatopsyche brevilineata which prefer fast water velocity was dominant at site S3. Some biotic indices (H', J, and R) of site S3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site S2 and site S3. EP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The sluice control of the reservoir leaded variations of water velocity and temperature, and seemed to make the state of aquatic ecosystem worse.

도시하천 야생조류의 서식 기능 향상방안 연구 - 서울시 성내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Wild Bird Habitat in an Urban River - A Case Study on Seongnaecheon(Stream) in Seoul -)

  • 박군숙;박석철;한봉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eate ecological values for urban rivers. For this, the paper looks into river bed structures and how nearby lands are u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the specific sections for analysis through a field investigation of the infrastructure conditions, surrounding land use, and the inter habitat structure of Seongnaecheon(Stream). A total of 780 individuals from 31 species of wild birds appeared in Seongnaecheon(Stream). According to foraging guild's habitat, there were 9 species of water, 8 types of water edges, 5 types of crowns, 5 types of shrubs, 2 types of tree trunks, 2 types of birds of raptors, and 355 individuals of water, 243 shrubs, 90 crowns, 84 water edges and 5 raptors. Many water birds were observed at the site where the Seongnaecheon(Stream) sandy plains and wetland herbaceous area were developed and the open water was secured. Most of the forest birds appeared on levee slope connected with forest around and riverside with fewer facilities for us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the entire section of Seongnaecheon(Stream), was 2.2697 and the downstream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of Seongnaecheon(Stream) was found to be useful as a habitat for wild birds in the city compared to other sections. Some sections of Seongnaecheon (Stream) had low species diversity index due to lack of green space and surrounding urbanization areas. In choosing target species, I researche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habitats and the habitation structure of wild birds in each zone. Regarding detailed plans, by classifying the breeding place & roosting site and the roosting site & shelter that took account of the inhabi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pecies in different sections, this paper suggested the major plant species and multilayer planting structures. Moreover,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of habitats for water birds and forest birds along with the connection of the green network for improving the Eco-corridor linkage and inhabitation features in Seongnaecheon(Stream).

도시 하천 양재천에서 복원후 하안식생의 변화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 조형진;우효섭;이진원;조강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11-124
    • /
    • 2008
  • 서울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하천인 양재천의 복원구간에서 7년간 식물상과 식생 분포 및 구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1998년 가을부터 1999년 봄까지 복원구간에서 다양한 친자연 하천복원기법이 채택되어 시공되었다. 복원시공 7년후에 복원구간의 식물종수와 다양도지수는 비복원구간보다 높았다. 그러나 1999-2001년 사이의 복원후 초기단계로부터 복원후 7년까지는 다양도지수는 감소하였다. 우점종은 황무지식물인 환삼덩굴로부터 다년생인 갈대로 변화하였다. 복원공사에 의하여 새로 형성된 교란지에 식재되거나 도입된 종과 외래 혹은 황무지 식물이 복원공사 후 감소됨에 따라서 주요인분석의 결과에서 복원후 초기와 7년후 식물상 구조가 뚜렷이 구분되었다. 복원 시공 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환삼덩굴과 망초 군집의 분포면적은 감소하였고 갈대와 물억새 군집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식물 군집의 DCA(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에서 복원공사후 교란된 식생에서 안정된 자연식생으로 변화하였다. 복원구간에서 총 7종의 버드나무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2종은 식재된 것이고 나머지는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이었다.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양재천 복원구간에서 식물상과 식생구조는 성공적으로 회복이 되었으며 이 구간이 도시하천에서 하천복원의 모델 장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대전지역 도심하천의 수리화학적 및 동위원소적 특성 (Hydrochemical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of Major Streams in the Daejeon Area)

  • 정관호;문병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4호
    • /
    • pp.315-33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주요 도심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을 대상으로 하천수의 수리화학적 특성과 산소, 수소, 황, 탄소 동위원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천수 시료는 풍수기와 갈수기 2차례 채취되었다. 하천의 수리화학적 특성은 상류에서는 Ca(Mg)-$HCO_3$ 유형을 보이다가 도심권을 통과하면서 Ca(Mg)-$SO_4(Cl)$유형으로 전이되고 하류에서는 Na(Ca)-$HCO_3$(Cl, $SO_4$) 유형으로 변하였다. 이와 같은 화학적 유형의 변화는 자연적 영향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와 인위적 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한 영향이 관여된 것으로 해석된다. 전반적으로 풍수기에 비해 갈수기에 하천수의 전기전도도 값이 높은 특성을 보여준다. 갑천하류는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가 합류되면서 수질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하천수의 pH는 상류에서 중성을 보이다가 도심권을 지나면서 최고 pH 9.8의 고알카리성을 보인다. 이는 현장조사결과 아파트의 우수관을 통한 세제 유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천수의 산소-수소 동위원소 관계식은 ${\delta}D=6.45{\delta}^{18}O-7.4$으로 Craig의 순환수선보다 다소 하향 이동되어 도시된다. 이는 기단의 변화와 하천수의 표면 증발 효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상-하류사이에 고도효과를 반영하는 동위원소 조성 값의 차이를 보여준다. 하천수의 ${\delta}^{13}C$ 값은 $-19.5{\sim}-7.8%o$ 범위로 대기중 이산화탄소와 유기물 기원의 범위에 해당된다. 전반적으로 하천수의 상류에서 하류로 향할수록 ${\delta}^{13}C$값이 높아지므로 $CO_2$의 기원이 상류에서는 주로 유기물기원에서 도심권에서는 오염된 대기와 지하수의 기저유출로 인한 무기기원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delta}^{34}S-SO_4$함량 관계도에서 하천수를 4개 그룹(갑천중 상류, 유등천, 대전천, 갑천하류)으로 구분하였다. 황산염의 농도는 갑천중상류<유등천<대전천<갑천하류의 순서로 높아지는 반면 ${\delta}^{34}S$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하천별 황산염의 증가에 따른 공급원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천수내 황의 기원은 대기기원을 중심으로 황산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황철석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하천수에 유입되는 생활하수 등에 대한 황동위원소 자료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되어야할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