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Mobility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7초

지하 화물교통체계의 개발현황과 전망 (Underground Freight Transportation: Issues and Development)

  • 남두희;권혁빈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48-2454
    • /
    • 2008
  • Urban areas face congestion problems that diminish personal mobility and freight-transportation productivity. An increasing number of experts suggest that separating freight traffic from passenger traffic makes sense in terms of economics, the environment, and safety. Some experts suggest that underground freight transportation are the solu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otential benefits and limitations of freight pipelines as a viable mode of cargo transport that can alleviate congestion on urban highways.

  • PDF

지오트윗을 이용한 거주자와 방문자의 공간 이동성 연구 (Comparing the Spatial Mobility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 조재희;서일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1-221
    • /
    • 2016
  • The human spatial mobility information is in high demand in various businesses; however,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human mobility because spatio-temporal data is insufficient and difficult to collect. Now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and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the spatio-temporal data began to occur on a large scale, and the data is available to the public. In this work, we compared the movement behavior of residents and tourists by using geo-tagged tweets which contain location information. We chose Seoul to be the target area for analysis. Various creative concepts and analytical methods are used: grid map concept, cells visited concept, reverse geocoding concept, average activity index, spatial mobility index, and determination of residents and visitors based on the number of days in residence. Conducting a series of analysi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ovement behavior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e also discovered differences in visiting activity according to residential countries and used applications. We expect that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ourist development and urban development.

수도권 가구의 주거이동 결정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 (The Main Factor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Metropolitan Area - Focused on Seoul and Gyeong-in Area -)

  • 장선영;오주석;김세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125-1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ckground and nature of residential mobil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Spacial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from Seoul to Gyeong-in area(Gyeonggi-do and Incheon). To measure this tendency, this study established hypotheses and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1,911 and 2,923 samples, which experienced inbound and outbound moving between the two areas. This research found that residential mobility from Seoul to Gyeong-in and those moving from Gyeong-in to Seoul had some differences in the household, socio-economic, environmental, and housing characteristics that affected the moving to each area,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and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QoL) of the households after the residential mobility was completed.

교통소외지역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위한 도로 환경 분석 : 대구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Comparison Analysis of the Road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Suburban Area for Connected and Automated Driving(CAD) Mobility Services)

  • 김아름;우보람;탁세현;임서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87-300
    • /
    • 2022
  • 최근 고령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고령자가 밀집한 교통소외지역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자율주행 관련 연구들은 도시 및 고속도로와 같은 교통수요가 많은 지역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교통소외지역에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교통소외지역의 도로 환경 및 인프라 환경을 조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도시와 교통소외지역의 도로 환경 차이는 자율주행에 중요한 요소인 운행설계영역(ODD)와 관련된 주행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행설계영역 측면에서 교통소외지역과 도시지역 간 유사한 도로 환경 요소와 차이를 보이는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교통소외지역의 도로 환경 중 Sidewalk, Boarding zones, Slope는 도시지역 여건과 차이를 보여 자율주행 운행설계영역 확장을 위한 기술적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A Study of UWB Placement Optimization Based on Genetic Algorithm

  • Jung, Doyeon;Kim, Euiho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2호
    • /
    • pp.99-107
    • /
    • 2022
  • Urban Air Mobility (UAM) such as a drone taxi is one of the future transportations that have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an urban terminal, an accurate landing system for UAM is also essential. However, in urban environments, reliabl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signals cannot be received due to obstacl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which causes multipath and non-line of sight signal. Thus, the positioning result in urban environments from the GNSS signal is unreliable. Consequently, we propose the Ultra-Wideband (UWB) network to assist the soft landing of UAM on a vertiport. Since the positioning performance of UWB network depends on the layout of UWB anchors,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layout of UWB anch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wo-steps genetic algorithm that consists of binary genetic algorithm involved multi objectives fitness function and integer genetic algorithm involved robust solution searching fitness function in order to optimize taking into account Fresnel hole effects.

자율주행 UAM의 안전착륙을 위한 위험영역 추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xtraction of Dangerous Region for Safe Landing of self-Driving UAMs)

  • 박창민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4-31
    • /
    • 2023
  • 최근, 도시 교통체계 운항으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UAM(Urban Air Mobility, UAM)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첨단 기술이 적용된 친환경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다양한 스타트업 기업에서 관련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UAM의 운항에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관한 연구들은 아직 미미한 편이다. 특히, 자율주행이 탑재된 UAM이 도심에서의 착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위험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에서 자율주행 UAM이 착륙을 시도 할 때, 방해가 되는 위험영역을 회피하여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UAM의 센서에 의해 관측되는 위험물들의 위도 및 경도 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3차원 영상에서 왜곡이 고려된 평면 영상의 좌표를 위도와 경도로 변환한 후 산출된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특징 서술자와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HOG) 특징 서술자와의 비교하여 위험영역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위험영역을 완벽히 추출할 수는 없었지만 대체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제안된 연구 방법이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UAM의 이착륙장 선정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줄이고, 도심과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 착륙을 시도할 때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적인 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시공간에서의 경험 - 인지맵 접근방식 - (Experiencing the Urban Space - A Cognitive Mapping Approach -)

  • 리카르도 가르시아 미라;아디나 두미트루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63-70
    • /
    • 2014
  • The dependence on cars for urban mobility and the exponential increase in traffic and urban infrastructure to sustain traffic have lead to an encapsulated way of life, where the connec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is much more reduced and programmed. In a previous study, a process based on estimating distances showed that children who move around their city by automobile do not appreciate their environment as a spatial continuum, but rather as a series of independent spaces that are reached by automobile or bus, thereby evidencing a different way of conceptualizing urban space in the light of different cognitive structures (Goluboff, Garc$\acute{i}$a-Mira, and Garc$\acute{i}$a-Font$\acute{a}$n, 2002).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urban space, and contrast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different groups. Th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may have for urban planning are discussed.

Dense Downtown vs. Suburban Dispersed: A Pilot Study on Urban Sustainability

  • Wood, Antony;Du, Pe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3-129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the initial findings of a ground-breaking two-year CTBUH-funded research project investigating the real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of people's lifestyles in a number of high-rise residential towers in downtown Chicago, and a comparable number of low rise homes in suburban Oak Park, Chicago - based on actual energy bills and other real data. The study is ground-breaking because, to date, similar studies have been mostly based on very large data sets of generalized data regarding whole-city energy consumption, or large-scale transport patterns, which often misses important nuances. This study has thus prioritized quality of real data (based on around 250 households in both high rise and low rise case studies), over quantity. In both urban and suburban cases, the following factors have been assessed: (i) home operational energy use, (ii) embodied energy of the dwelling, (iii) home water consumption, (iv) mobility and transport movements, (v) urban/suburban Infrastructure, and (vi) quality of life. The full results of this seminal study will be published in the form of a CTBUH Research Report publication in 2017. Presented below is an overview of the initial (and, currently, unverified) findings of the research, together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well as future plans for developing this important pilot study.

차량의 이동성 행동 프로파일을 이용한 DTMC 기반의 스마트 핸드오버 기법 (A Smart DTMC-based Handover Scheme Using Vehicle's Mobility Behavior Profile)

  • 한상혁;김현우;최용훈;박수원;이승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697-709
    • /
    • 2011
  • 차량과 같은 이동환경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때,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핸드오버는 서비스 품질 저하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발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에 단점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Node (MN)가 일정한 이동패턴을 가지고 있을 때, Mobility behavior profile을 이용하여 생성한 DTMC을 이용하여 핸드오버의 발생 횟수를 감소시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핸드오버 방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Mobility behavior profile을 학습하고, Mobility behavior profile 에 충분한 양이 학습되면 Mobility behavior profile을 이용하여 DTMC의 1-step & 2-step transition probability matrix를 생성한다. 그 이후에는 DTMC의 1-step & 2-step transition probability matrix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Mobility behavior profile을 계속 업데이트한다. 4개의 Mobility model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평균 핸드오버 횟수와 평균 RSSI값, 그에 따른 Throughput을 비교한다.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Old Korean'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 김진엽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7
    • /
    • 2023
  •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노인주거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인인구의 살던 곳에서 노후 맞이하기(Aging in Place: AIP)는 노인복지의 지향점으로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20년 고령화연구패널 자료와 임의효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와의 교류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무관하게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촉진시킬 확률이 높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녀와의 교류는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더욱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영향력은 연령과 변수에 따라 일정치 않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와의 교류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더욱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인구의 주거 안정성을 증진 시켜 독립적인 정주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지, 즉 노인인구의 살던 곳에서 노후 맞이하기 측면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