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rim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사업 사례연구 - 부산시 '덕포동', '칠산동', '수정동' 시행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PTED Projects for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Cases of 'Deokpo-dong', 'Chilsan-dong' and 'Sujeong-dong' in Busan City)

  • 최강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6-30
    • /
    • 2016
  •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and efforts for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crimes nationwide. Many cities are making efforts to creat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by enacting ordinances and guidances on safe design for preventing crimes and implementing demonstration projects. In line with the trends of the times towar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rough urban regen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has recently emerged in the field of residential housing regeneration. Indeed, the CPTED is included as essential factor in the recent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regeneration related projects.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y of CPTED to be applied to the regeneration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PTED projects in Busan - 'Deokpo-dong Hope and Stepping Stone Village,' 'Chilsan-dong CPTED Happiness Village' and 'Sujeong-dong Crime Prevention and Safe Village' as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project contents, application of CPTED strategy, subjects who are implementing projects, and the time when they implement projects as the framework of my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s that were largely based on hardware should be improved by including software in the future. Second, the current Step 2 should expand into Step 3 Maintenance in applying CPTED strategy.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unit projects and subjects who are operating related projects.

수도권 도시 환경 요인에 따른 범죄 발생 건수 예측 (Prediction of the Number of Crimes according to Urban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etropolitan Area)

  • 장예원;김예림;박시현;이재영;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321-32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Scikit-learn 패키지의 LinearRegression 모델과 Keras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수도권 도시 환경 요인에 따른 범죄 발생 건수를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 범죄 발생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파악되는 수도권의 각 자치구 별 데이터셋을 분석하여, CCTV, 파출소, 가로등의 수가 범죄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독립 변수들 간에 Scale을 줄이고자 정규화를 진행했고, 종속변수의 정규성 확보를 위해 로그변환을 취했다. 손실 함수는 회귀문제에서 사용되는 'relu'함수를 사용했고 모델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MSE(Mean Squared Error)를 사용해 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이 프로그램은 범죄 발생율이 높은 지역구에 경찰 인력의 추가적 배치, 안전 시설 확충 등 실무적 조치를 취함에 있어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시재난과 도시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isaster and Urban Growth)

  • Seo, Jonggoo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21-232
    • /
    • 2017
  • 우리나라 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재난이 도시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강력범죄는 소득성장에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 특이하며 그 외 절도범죄와 폭력범죄는 기대와 같이 부(-)의 관계로 일반적으로 범죄가 많은 도시에서는 경제활동을 위축시켜 투자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재난사고와 발생은 고용성장과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는 결과이다. 도시 내의 재난사고와 범죄발생은 인구성장과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끝으로 도시성장을 대표하는 세 가지 지표 즉 소득, 고용, 인구가 기본적으로 통계자료의 특성 차이가 있지만 같은 설명변수를 활용하여 추정하였음에도 큰 설명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 세 지표의 활용에 유의점을 제시함과 더불어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주민주도형 안전 공동체 조성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역할 탐색 (A Study on the Role of Service Design in Creating Resident-driven Safe Community)

  • 전영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407-414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하는 도시범죄에 있어 차별화된 사고 패러다임과 문제 접근법으로 범죄위험의 새로운 극복모델을 제시한 서비스디자인의 실효성을 탐구한다. 실증사례는 대구시 달서구 두류동의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주민주도형 안전 공동체 조성사업'으로 선제적 주민밀착형 프로세스를 통해 예방 위주의 지역안전시스템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사업은 지역범죄의 사전예방을 위한 '자연적 감시능력배양 프로그램', 지역안전에 대한 주민의 '사회적 역할 확장 프로그램', 주민안전의 종합적 해결안을 제공하는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설계' 영역으로 추진되었다. 이 사업에서 서비스디자이너는 주민 주도가 가능한 과업 플랫폼을 설계하고 주민 간 교류의 기회를 확대시켜 지역 환경생태계를 재구성하는 전문가로 활동한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지역 연대감을 강화하고 그들 스스로 안전한 삶의 공간을 유지하는 잠재역량을 배양한다. 본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안전 공동체 조성에 있어 서비스디자인의 실효성은 지역주민 간의 관계개선, 범죄예방활동에 있어 주민참여의 활성화, 지역안전에 대한 주민인식환기로 규명한다.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사회적 재난의 시민 감성도 분석 (Citizen Sentiment Analysis of the Social Disaster by Using Opinion Mining)

  • 서민송;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6
    • /
    • 2017
  •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적 요인에 의한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어떤 위기가 도시민들을 위협할지 예측하기 어려워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ython언어 기반 Tweepy 플러그인을 적용하여 트윗 데이터를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연어 처리 후 R Studio프로그램에서 텍스트 클러스터링 분석과 오피니언 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시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검출된 '옥시'와 시민들에게 많은 공포감을 주었던 '묻지마 범죄'와 같은 사회적 재난에 대해 정신적 충격과 불안감을 평가하였다. 텍스트 클러스터링 분석에서 '옥시' 사건은 '정부의 대처능력이 세월호 사건과의 연관성', '옥시제품의 철수지시에도 여전한 판매' 등이 가장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그리고 '묻지마 범죄' 사건은 '스크린 도어 사건, 세월호 사건 등 예측 못하는 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응, 대책', '강남역, 부산의 범죄가 여성혐오로 인한 것' 등이 가장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또한, 두 범죄를 비교 분석 하였을 때 묻지마 범죄에 대해 시민 감성도 평균 지수가 11.61%p 더 부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sessing Spatial Disparities and Spatial-Temporal Dynamic of Urban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ity of Chicago

  • Yang, Byungy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7-496
    • /
    • 2020
  • This study introduces how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urban green spaces in the Chicago. Green spaces provide us with a variety of benefits, namely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benefi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socio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green spaces and their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o evaluate spatial dispariti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uch as health-related,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spatial statistics, such as optimized hotspot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space-time cluster analysis, which enabl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the geographic data. In particular, 12 variables within the three factor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the benefits of the use of green spaces. Finally, the variables are standardized to rank the community areas and identify where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s or parks are. To evaluate the benefits given to the community areas, this study used the z- and composite scores, which are compared in the three different combinations. After identifying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 crime data is used to spatially understand when and where crimes occur near the parks selected.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work of urban planners who need to spatially evaluate community areas in considering the benefits of the uses of green spaces.

CPTED 기법을 적용한 주거지역의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of Residential Zon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PTED)

  • 김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73-278
    • /
    • 2008
  • 도시범죄 관리에 대한 새로운 전략으로써 사전예방적 범죄 통제전략 중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것이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범죄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범죄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범죄예방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2004년도에 발생한 도시범죄 중 동구의 주거지역에서 발생한 범죄를 대상으로 범죄분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현지조사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CPTED의 입장에서 범죄예방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주거지 내 초등학교의 범죄안전성 분석과 계획방안 (Crime Prevention Analysis and Design Guideline of the Elementary School in Urban Residential Blocks)

  • 김리원;양우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1-82
    • /
    • 2011
  • Recently the crime again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principles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for the elementary school in urban residential area, and suggest som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Among 59 elementary schools in Pyongchon, Bundang, and Pangyo new towns, 11 distinctive schools were selected for analysis study. School cases were investigated comparatively from the viewpoints of visibility, securing of observers, activity support and reinforced territoriality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rime prevention concepts. The analysis adopts various methods including theoretical research, field study, observation, and examination of plan. Some of finding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Most of schools rely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devices such as CCTV, gate control, or walls, which are considered to be quite passive measures and ineffective for the crime prevention. Other effective methods such as offering school facilities to the public or public space sharing with surrounding residents, for the protection of crimevulnerable students by public eye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rimes effectively, it is urgently required to analyze the environments around and in the school, and to improve physical conditions on the basis of CPTED principles.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의 CPTED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수원시 공원조성 가이드라인을 사례로-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CPTED of Park Development Guidelines -With Suwon-City Park Development Guidelines as a Case-)

  • 염성진;홍윤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7-107
    • /
    • 2017
  • In the recent trend where crime types are being diversified along with urban expansion, we are facing the reality of a 'taking-it-out-on-somebody' crime, which targets the public rather than a specific person with criminal intent, like a 'random target crime.' A park, which is a public space for urban dwellers' and residents' leisure and rest in the midst of social changes, can be called the spot where various crimes occur. This is because it is a space without boundaries, available for the influx of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thus making it difficult to specify users. For the purpose of keeping a park safe from crime and providing user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its research to get basic knowledge of the introduction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in park development. The park development guideline contents are analyzed based on the six principles of CPTED theory as per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 of a park.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a problem was that most guidelines applied to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 of a park were fragmentary in applying the six principles of CPTED theory, and were focused on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of facilities.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Crime Pattern and Place Occurrence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a Safe City)

  • 허선영;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8-89
    • /
    • 2012
  • 본 연구는 범죄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범죄발생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도시의 범죄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범죄발생의 공간분석을 통해 향후 범죄발생 지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환경설계나 도시계획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08년과 2011년 2개년 동안 범죄발생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국지적인 핫스팟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선형으로 범죄 다발지역이 형성되고, 블록의 내부보다 도로변의 환경개선과 범죄예방 전략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사례지역을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으로 분류하고, 안전한 도시 만들기를 위해 도시계획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도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으로 근본적인 범죄예방을 도모하고 그 결과로서 안전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