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limb symptom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유방암 수술 후 발생한 림프부종과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도침술과 정맥자락술 집중치료 증례보고 (Acupotomy and venesection in Upper Limb Lymphedema and Peripheral neuropathy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 장은하;김소연;김현식;김성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9-126
    • /
    • 2009
  • Purpose: In order to estimate clinical effects of acupotomy and venesection in a patient with peripheral neuropathy and upper limb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Methods: From 17th August, 2009 to 29th August 2009, 1 female patient with peripheral neuropathy and upper limb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was treated with general oriental medicine therapy(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physical therapy, herbal medication) and acupotomy with venesection. Results: The patient's chief complaints- Lt hand numbness, Lt arm edema, Lt. wrist flexion limitation - were notably improved.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with acupotomy and venesection 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symptoms of peripheral neuropathy and upper limb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surgery, as though we had not wide experience in this treatment, more research is needed.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Rapid Upper Limb Assessment) 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among Vehicle Assembly Workers)

  • 김재영;김해준;최재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48-59
    • /
    • 1999
  • 본 연구는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를 이용하여 자동차 조립작 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작업평가를 하고, 이 결과와 작업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율 및 작업특성 변수들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RULA결과가 관련 신체부위의 통증이나 불편함으로 보고되는 근골격계 부하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지, RULA평가체계를 이용하여 작업 위험도가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작업자 314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설문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OSH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감시기준(surveillence criteria)에 따라 자각증상을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 중 목 32.8%, 어깨 26.4%, 팔 10.5%, 손 29.3%, 허리 41.4%였으며, 한가지 이상 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62.4%의 분포를 보였다. 2. 품질관리부에 비해 조립부서 작업자 틀이 전체 증상과 어깨, 허리, 팔 및 손부 위 증상에서 더 높은 유증상률을 보였다(p<0.05). 3. 부서별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 서브/조립반과 의장반의 공정이 높은 위험점수를 보였다. 전체 조립부서에 대한 평가결과 적합한 작업은 3.02%였고, 62.8%가 부적합한 작업으로 작업전환이나 중재조치가 필요한 경우였다. 자각증상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RULA점수가 클수록 자각증상율이 높음을 보였다.(p<0.05) 4. RULA평가지표와 자각증상사이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RULA지표와 기타 작업관련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자각증상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증상유무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귀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증상군에 대해서는 반복작업(OR 2.183), 진동공구 사용(OR 2.775)과 총 위험도 점수(OR 2.250); 목 부위 증상군에서는 상완의 자세점수(OR 1.78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634) ; 어깨 증상군은 상지의 근사용(OR 3.07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798); 어깨와 목 부위를 합한 증상군은 상완 및 손부위의 총점 수(OR 1.715)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057); 팔 증상군에서는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10.662) ; 손 부위 증상군에 대해서는 손목의 자세/손목 비틀림 지표 (OR 2.068)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215); 허리부위 증상군에서는 하지의 근사용 점수(OR 2.6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작업관련 상지근골격계 자각증상과 RULA 점수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RULA가 직업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근골격계 부하에 폭로된 작업자들을 평가하는, 일차적인 작업 위험도 평가도구(Screening tool)로서 쓰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향후 RULA 사용에 있어서 상지(upper limb)와 허리부위(back)의 평가를 구분하고, 기타 다른 작업관련 요인들에 대한 평가체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Details of Lymphedema, Upper Limb Morbidity, and Self Management in Women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 Chung, Chae-Weon;Hwang, Eun-Kyung;Hwang, Shin-Woo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4-483
    • /
    • 2011
  • Purpose: To examine the details of lymphedema, upper limb morbidity, and its self management in women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Methods: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81 women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Lymphedema was detected by a nurse as a 2-cm difference between arm circumferences at 6 different points on the arm. Degrees of pain, stiffness, and numbness were scored using a drawing of upper limb on a 0~10 point scale. Aggravating conditions and self-management for lymphedema were also record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2.5 years; the average time since breast surgery was 29.7 months. Histories of modified radical mastectomy (55%) and lymph node dissection (81%) were noted. Lymphedema was found in 59% of women, then pain and stiffness were prevalent most at upper arm while numbness was apparentat fingers, and the symptom distress scores ranged 3.9~6.7. Women experienced aggravated arm swelling after routine housework with greatly varied duration. Self-management was conservative with a wide range of times for the relief of symptoms. Conclusion: Lymphedema education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oncologic nursing care system to prevent its occurrence and arm morbidity. Risk reduction guidelines, individually tailored self-care strategies, and self-awareness for early detection need to be refined in clinical nursing practices.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환자에서 등세모근의 신경생리학적 검사 (The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the Trapezius Muscle i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조중양;전종은;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6권2호
    • /
    • pp.85-91
    • /
    • 2004
  • Background: Needle electromyography (EMG) and motor evoked potential (MEP) of the genioglossus (tongue) are difficult to perform in evaluations of the craniobulbar reg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yields of needle EMG and MEP recorded from the upper trapezius, since it receives innervation from the lower medulla and upper cervical cord. Methods: Needle EMG and MEP of the upper trapezius were obtained in 17 consecutive ALS patients. The needle EMG parameters recorded included abnormal spontaneous activity and motor unit action potential (MUAP) morphology. An upper motor neuron (UMN) lesion was presumed when either response to cortical stimulation was absent, or the central conduction time was delayed (>mean+2SD). Results: Of the five patients with bulbar-onset ALS, four had abnormalities in the upper trapezius and four in the tongue by needle EMG. In contrast, of the 12 patients with limb-onset ALS, 11 had abnormalities in the upper trapezius, and only five in the tongue. When MEP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ree of the five patients with bulbar symptoms and three of the six patients with isolated limb involvement had abnormal MEP findings. Conclusions: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f the upper trapezius are more sensitive those of the tongue in patients without bulbar symptoms. Thus, needle EMG and MEP of the upper trapezius are alternative tools for assessing bulbar and rostral neuraxial involvement in the diagnosis of ALS.

  • PDF

유방수술 후 발생한 견관절 기능장애와 상지 저림에 대한 치험 2례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 A Case Report of Complications After Breast Surgery)

  • 권지명;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6-186
    • /
    • 2010
  • Purpose: To review the effectiveness affecting to the shoulder functionalities and upper numbness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who are given a surgical operation for breast resection by breast tumor Method: To report the patients with dysfunction of shoulder joint and numbness in upper limb after breast surgery who improv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and to study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Results: After about 2weeks treatment, patient's symptoms and signs were improved. TKM management was effective in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 and upper limb numbness after breast surgery. Conclusion: We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as adjuvant therapy. And more study is needed for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Medical indication of complications of breast surgery.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Abnormalities of Medial and Lateral Rotation of Upper Limb in Shoulder

  • Shin, Kwang-Seong;Eum, Kyeong-Bae;Shin, Seong-Y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9-115
    • /
    • 2020
  • 어깨는 인간의 몸통과 양팔을 연결하는 부위를 말하며, 양팔을 움직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양손을 머리의 뒤쪽으로 보내거나 우리 몸으로부터 멀리 보내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깨에서 팔의 안쪽 돌림과 가쪽 돌림에 대하여 각도를 측정하고, 이상 유무와 관련된 증상을 파악하며,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까지 제시하도록 한다. 어깨에서 팔의 안쪽돌림과 가쪽 돌림의 각도는 70°~90°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각도가 이에 못 미치거나 통증을 느끼면 어깨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또한 일반인 남녀 각각 5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이상이 있는 환자를 판별하였다.

꽃꽂이 작업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 및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적용사례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Flower Arrangement Tasks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 이손선;박신애;권오윤;송종은;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49-462
    • /
    • 2012
  •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 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지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한 꽃꽂이 작업을 분류한 다음, 작업 분석을 토대로 8가지 꽃꽂이 기본 작업(자르기 1, 굵은 줄기; 자르기 2, 가는 줄기; 꽂기 1, 긴 줄기; 꽂기 2, 짧은 줄기; 말기; 관엽 이용; 휘기 1, 굵은 줄기; 휘기 2, 가는 줄기; 감기, 절화용 와이어 이용)을 재분류하였다. 강원도 소재 대학의 8명의 남학생(평균 연령 $24.1{\pm}2.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원예치료는 1일 2회(총 33회기)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평가가 수행되었다. 꽃꽂이 작업 수행 시 어깨관절은 자르기 1 작업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팔꿈치 관절은 감기 작업에서, 손목부위 관절은 휘기 1 작업에서 가장 큰 관절가동 범위를 나타냈다(P < 0.001). 수행된 꽃꽂이 작업에 따라 상지 근육의 부위별 근육 활성도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한 가지 작업에 대해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동시에 사용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업일지라도 재료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수축의 차이가 나타났다(P < 0.001).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 임금 근로자의 직장 내 폭력 경험과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 윤재홍;성효주;김유균;김승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1-219
    • /
    • 2015
  • Objectives: We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mong wage workers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d a cross-sectional survey of 29,601 wage workers from the third wav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11.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was assessed through three questions, "Over the past 12 months, have you ever experienced: (1) physical violence, (2) bullying, or (3) sexual harassment at workplace?" Musculoskeletal pain was measured using the three questions, "Over the past 12 months, have you ever experienced: (1) low back pain, or (2) upper limb pain(i.e. shoulder, neck, and arm), or (3) lower limb pain(i.e. hip, leg, knee, and foot)?" Wage workers could answer 'Yes' or 'No' to each of the three questions. Multivariat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was appli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musculoskeletal pai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including self-reported physical work factor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TATA/SE version 13.0. Results: Physical violence wa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PR: 2.16, 95% CI: 1.77, 2.65), upper(PR: 1.65, 95% CI: 1.45, 1.88) and lower limb pain(PR: 1.81, 95% CI: 1.52, 2.15) among male wage workers whereas it was related to upper(PR: 1.86, 95% CI: 1.53, 2.26) and lower limb pain(PR: 2.95, 95% CI: 2.47, 3.53) among female wage workers.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sexual harassment and upper(PR: 1.25, 95% CI: 1.01, 1.56) and lower limb pain(PR: 2.41, 95% CI: 1.97, 2.93) among female wage workers whereas the association was on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with lower limb pain(PR: 1.87, 95% CI: 1.17, 2.97) among male wage workers. Bullying was associated only with lower limb pains among both male(PR: 1.77, 95% CI: 1.32, 2.37) and female(PR: 2.10, 95% CI: 1.69, 2.61) wage workers.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particularly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harassment, wa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among Korean wage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