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inflow riv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팔당호 상류 유입하천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패턴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Pattern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 박혜경;변명섭;김은경;이현주;전명진;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5-624
    • /
    • 2004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had surveyed. In North-Han river system, nutrient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was below the standard of mesoand oligotrophy from lake Soyang to lake Paldang, maintaining good water quality, except the N5 site located near the Chuncheon-Si, showing high nutrients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The algal biomass of the South-Han river system showed oligotrophic level in the upstream near the lake Chungju, and increased along the flow direction showing eutrophic level in the downstream within the lake Palda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nutrients were detected in the middle stream near the Yeoju-Si and Yangpyung-Gun rather than in the downstream suggesting algal biomass in lake Paldang would not come from the upper river area but come from the growth within the lake area using nutrients from the upper inflow river.

새만금간척전후의 잔차류의 계절변화에 관한연구(농지조성 및 농어촌정비)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flow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7-53
    • /
    • 2000
  • Saemangeum coastal area is being constructed the 33km sea dike and 40,000ha reclama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idual circulations in spring before and after the dike construction by a robust diagnostic and prognostic numerical model. Heat flux at the sea surface in May wa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daily inflow of solar radiation at the earth surface, assuming an average atmospheric transmission and no clouds, as a function of latitude and time of year(George L.P.,J. E. William,1990). The discharge from the Geum, the Mankyung and the Dongjin rivers was adopt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formula of river flow in May(The M. of C.,Korea, 1993).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open boundaries ar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field observations. The results of spring of the residual flow in the Saemangeum coastal area by a prognostic numerical model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ater temperature in spring is the highest, salinity is the lowest and density is the lowest at the upper layer near the coast after the dike construction. The flow pattern at the upper layer during spring is anti-clockwise circulation between Wi and Shinsi islands. The flow pattern at the lower layer is clockwise circulation between Wi and Shinsi islands.

  • PDF

대하천 보에 설치된 어도의 어류 이용 현황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Fish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Fishways Installed at Weirs in Large Rivers)

  • 김정희;박상현;백승호;이남주;장민호;윤주덕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348-36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하천에 건설된 16개 보의 어도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어도의 운영 및 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보별 어도 이용률은 평균 64.9%로 확인되었으며, 본류와 어도 모니터링 결과의 우점종을 비교한 결과 총 9개(56.3%)의 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류에 다수 서식하는 종이 어도를 다수 이용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의 하루 어도 이용 개체수는 평균 336개체로 확인되었다. 어도 이용 어종을 생태형으로 구분한 결과 92.3%가 일차담수어였으며, 회유성 어종은 5.6%로 높지 않다. 어도 이용 시기에 따른 분석에서 5월부터 10월까지 평균 이상의 어류가 어도를 이용하였으며, 그중 이용 개체수는 6월~8월이 가장 많았다. 5월~7월까지 어도 이용 어종의 80%가 산란시기에 포함되었으며, 이외 시기는 산란시기 포함 어종이 40% 이하로 나타났다. 산란시기와 어도 이용 시기가 크게 일치하는 어류는 밀어, 밀자개, 참몰개, 모래무지, 납지리, 돌고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강정고령보와 달성보의 어도 모니터링 결과를 보의 수위와 비교한 결과, 어도 이용 종수 및 개체수 모두 보의 상류 수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수위가 높을수록 어도 내 유입 유량이 증가하여 어도의 어류 이용(강정고령보 개체수, P<0.001; 달성보 종수, P<0.05)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에 건설된 16개 보의 어도 모니터링에 결과를 정리 및 분석하여, 어도의 효율, 어도 운영 및 모니터링 시기 제안, 어도 운영을 위한 수위 조절 등을 고찰하였다. 이는 대하천 어도의 어류 이용 현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향후 국내 어도의 설치, 운영, 모니터링 등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통계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수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Using Statistical Analysis)

  • 김종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7-306
    • /
    • 2023
  • 새만금호는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로 호수의 수질은 갈수록 악화되어 가고 있어 호수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새만금호의 국가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기법에 의한 새만금호의 시공간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질항목간의 상관성에서 수온과 TP는 상관성이 있고, 염분과 TN, 그리고 pH와 COD가 상관성이 높았다. 그 외 항목들 간에는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관련성이 낮았다.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공간적 수질특성을 보면, 크게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담수 영향구역과 해수 영향구역,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중간 수역이 2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수질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시간적 수질특성은 계절적으로 4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I은 늦봄과 초여름에 해당되는 5, 6월이고, 그룹 II는 계절적으로 초봄(3, 4월)과 늦가을(11, 12월)에 해당되는 시기로 나타났으며, 그룹 III은 낮은 수온에 의한 용존산소의 증가가 나타나는 계절인 겨울철(1, 2월)의 수질 특성을 보였고, 그룹 IV는 하계(7, 8, 9, 10월) 성층의 발달로 저층 퇴적물의 높은 인농도와 하계 고수온의 상관성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새만금호가 인위적으로 조성된 호수로써 상류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 영향을 받는 것과 동시에 새만금 방조제에 설치된 가력과 신시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수질의 변동요소가 달라진 것으로 평가된다. 새만금호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 관리 대책과 함께 새만금호의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