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Area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1초

농산물의 저장성이 출하량과 가격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hipping Control depending on the Limited Storage Life of Agricultural Products)

  • 서교;이정재
    • 농촌계획
    • /
    • 제10권3호
    • /
    • pp.53-58
    • /
    • 2004
  • In this study the effect caused by limited storage lift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determining shipping amount can be analyzed by $l^{st}$ order autoregressive model based on cobweb theorem. Carrying capacity and auction price of upland-grown cabbage and garlic from 2000 to 2003 in wholesale markets were used for analysis. In result regression models of cabbage can not be used in verification periods although those of garlic approximately predicted shipping amounts in verification periods.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hard to control shipping amounts depending on price fluctuation for agricultural products which have limited storage life so cultivated areas and meteorological risk should be managed for stable pric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 Hong, Woo-Yong;Park, Min-Ji;Park, Jong-Yoon;Kim, Se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04-20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ch the MODI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n explain the soil moisture simulated from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continuous hydrological model. For the application, ChungjuDam watershed (6,661.3 $km^2$) was adopted which covers land uses of 82.2 % forest, 10.3 % paddy field, and 1.8 % upland crop respectively. For the preparation of spatial soil moisture distribution, the SWAT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at two locations (watershed outlet and Yeongwol water level gauging station) of the watershed using daily streamflow data of 7 years (2000-2006). The average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ies for the verification at two locations were 0.83 and 0.91 respectively. The 16 days spatial correlation between MODIS NDVI and SWAT soil moisture were evaluated especially during the NDVI increasing periods for forest areas.

  • PDF

논 지역 시설재배지에서의 유기물 및 영양염류 유출 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from greenhouse site in paddy field area)

  • 이근후;옥정훈;유시창;유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04-609
    • /
    • 2005
  • Runoff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from greenhouse site in paddy field are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in 2004. The greenhouse selected which situated near the Nam river, Jinju, Korea used the ground water as the irrigation purpose. And, the rotating system of paddy field to upland was adapted as a cropping system which is a typical practice in this area. Various items such as total phosphorus(T-P), total nitrogen(T-N), dissolved oxygen(DO), BOD, etc. were observed to figure out the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in the study sites. it was found that the risk of water pollution due to the contamination of nutrients in canals in green house sites, and their neighbouring small sized streams are much higher than those in ordinary paddy field areas. Further surveys and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find out the counter measures to reduce water pollution occurred in greenhouse sites.

  • PDF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항목체계 구축 (A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 임창수;최수명;김영주
    • 농촌계획
    • /
    • 제12권4호
    • /
    • pp.89-97
    • /
    • 2006
  • Usually, amenity elements coexist with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group discussion of participant research staffs in this study,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and disamenity elements was pro-posed with 4-tier hierachial order; for amenity, 3-7-29-76(numbers of the high, medium to low categories and elements) and 3-6-16-32 for disamenity.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4 sample villages representing the flat-plan, upland, seashore and periurba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농경지 유형에 따른 경기, 충청지역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by Agricultural Typ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South Korea)

  • 양동우;이은정;정선아;우아영;남기정;한동욱;김명현;박상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54-265
    • /
    • 2017
  • 본 연구는 중부지역 (경기도, 충청도)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농경지 유형별(밭, 과수원, 논)로 연 2회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부지역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77과 251속 420종이었으며, 그중 귀화식물은 18.3%인 20과 54속 77종이었다. 농경지 유형별로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종 분포 양상은 모두 차이를 보였다. 귀화식물의 분포지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확산 가능성이 높은 유럽점나도나물, 미국가막사리, 봄망초 등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농경지 유형별 평균 귀화율은 밭 (25.1%), 과수원(23.0%), 논(16.1%) 순이었으며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21.8종), 밭(16.6종), 논(10.3종) 순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출현은 농경지의 환경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농경지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의 면적이 넓을수록 증가하며, 생태면적률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밭에서 자생식물 종수가 증가하면 귀화식물 종수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및 확산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낙동강 유역 농업지대에서 영농형태별 토양과 수질 평가 (Assessment of Soil and Water Quality in some Catchments of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Nakdong River Basin)

  • 김민경;서명철;이남종;정종배;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23
    • /
    • 2003
  • 낙동강 유역 농업지대에서 영농활동에 따른 토양과 수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형적인 논과 밭농사를 중심으로 한 영주 고령 밀양지역, 과수원이 형성되어 있는 임고천 유역, 그리고 시설 재배지인 하빈천 유역을 대상으로 1995년 7월부터 1999년 7월까지 각 소하천 주변의 토양과 수질을 조사하였다. 영농형태에 따라 토양중 유효인산의 함량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밭토양과 시설재배지 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고, 총질소 함량은 과수원 토얌이 약간 높았을 뿐 대부분의 토양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소하천변로 수질을 평가해 보면, 다른 유역에 비하여 논농사 유역의 수질이 양호하였으나, 과수원이 형성되어 있는 임고천의 경우 질소의 함량이 높았으며, 시설재배지인 하빈천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염류의 함량이 높았다. 이는 유역내 축산폐수나 생활하수의 유입, 농경지의 과다한 화학비료와 퇴비의 시용으로 생각되며, 낙동강의 수질 본전을 위해 이들 소하천에 대한 농업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토양 및 수질관리가 선행 할 것 이다.

제초제 약효평가를 위한 잡초의 생체중 기준 고찰 (Study on Weeds Fresh Weight Standard for Herbicide Efficacy Evaluation)

  • 김민지;강광식;임은상;송재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1호
    • /
    • pp.46-53
    • /
    • 2018
  • 본 시험은 논, 밭, 과원(비농경지 포함)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비교하여 무처리 최소 총 발생량의 생체중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10개 지역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논 포장의 일년생잡초인 피의 건물률 평균은 14.8%, 일년생잡초(피 포함) 건물률 평균은 12.5%, 다년생잡초 건물률 평균은 13.9%로 나타났다. 밭 포장의 일년생잡초의 건물률 평균은 20.1%로 나타났으며, 과원(비농경지 포함)포장 내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총계의 평균은 18.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생체중에 대한 무처리 최소 총발생량은 논 포장에서는 피 $210g\;m^{-2}$, 일년생잡초(피 포함) $400g\;m^{-2}$, 다년생잡초 $220g\;m^{-2}$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밭 포장에서는 일년생잡초 $250g\;m^{-2}$, 과원(비농경지 포함) 포장에서는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총계 $550g\;m^{-2}$으로 제시할 수 있다.

USLE 및 GIS, R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Arable Soil Erosion Risk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RS and USLE)

  • 고지연;이재생;정기열;윤을수;최영대;김춘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3-183
    • /
    • 2006
  • 서낙동강 유역에서 USLE모형을 이용하여 농경지의 작물생산량 및 농업용수 수질과 관련 있는 농경지의 토양침식량을 평가하였다. 모형인자의 data set은 구축에 드는 노력과 시간의 소모를 최소화하고자 정밀토양도, 인공위성 영상 및 DEM자료로부터 RS와 GIS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는데, 토양상별 K 인자를 정밀토양도에 적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인공위성 영상(Landsat TM)으로부터 토지 피복도를 작성하여 C 및 P 인자의 주제도를 작성하였으며, DEM으로부터 LS 인자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R인자는 서낙동강 유역 내에 위치하는 김해농업기술센터의 AWS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농경지발생 토양침식량은 유역전체 발생량의 31.5%였고, 농경지 토양유실량의 97.5%는 밭토양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 유역이 삼각주평야지대로 경사가 거의 없으나 밭토양의 30.4%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침식정도에 분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식생의 토지 피복 상태 및 강우량의 정도에 따라 작물재배기(5월~9월)와 비재배기(10월~4월)로 나누어 토양침식량을 평가한 결과, 작물재배기는 연간 토양유실위험도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작물비재배포기는 R 값이 작물재포기의 약 1/5에 불과하였음에도 산과 인접한 경사지 밭토양의 일부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토양침식 등급을 나타내어서 토양침식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였다.

주요(主要) 노지채소(露地菜蔬) 주산지(主産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Soil Chemical Properties of Major Vegetable Producing Open Fields)

  • 황기성;이성재;곽용호;김기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51
    • /
    • 1997
  • 주요(主要) 채소류(菜蔬類)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화학성분 함량의 변동양상(變動樣相)을 파악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 및 시비량(施肥量) 기준설정(基準設定)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고추, 마늘, 양파, 수박, 무, 배추, 감자 등의 주산단지(主産團地)에서 작물별로 30개 포장(圃場)(합계(合計) 210개 포장(圃場))을 선정(選定)하여 토양화학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노지채소(露地菜蔬)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채소류 재배에 적합(適合)하나 성분별(成分別)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pH와 유기물(有機物), 고토(苦土)등은 밭토양 개량목표에 미달(未達)되고 있으나 인산과 가리는 개량목표를 상회(上廻)하였다. 2.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을 작물별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마늘>감자>배추>양파>고추>무>수박 재배지 순(順)으로 높았다. 3.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은 Fe 71~89, Mn 38~40, Cu 1.4~1.6, Zn 2.2~3.0 mg/kg 범위(範圍) 이었다. 4. 밭토양의 화학성분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pH는 5.0 이하가 41%인 반면(反面)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석회는 각각(各各) 73, 47, 63%가 밭토양 개량목표(改良目標)를 상회(上廻)하고 있다.

  • PDF

제주도 지역의 고도에 따른 증발산량 및 용수량 특성 평가 (Altitudinal Pattern of Evapotranspiration and Water Need for Upland Crops in Jeju Island)

  • 김철겸;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1호
    • /
    • pp.915-92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물수지 방법을 기반으로 제주도 지역에 적합한 용수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4개 하천유역에 대해 지역 및 고도에 따른 증발산량, 용수량 특성을 평가하였다. SWAT-K 유역모형을 적용하여 1992~2013년 기간에 대해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유역의 순물소모량을 추정하였다. 고도증가에 따라 잠재증발산량은 선형으로 감소하는 반면, 실제증발산량은 강수량에 의한 토양내 가용수분의 증가로 인해 약 400m 고도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고도에서는 식생, 가용수분의 감소, 저온현상 등으로 인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순물소모량은 강정천유역을 제외한 3개 유역에서 고도증가에 따라 순물소모량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도 200m 이하 작물경작지에서의 순물소모량은 연간 559~680m로 분석되었다. 추정된 용수량을 실제 관정 이용량과 비교한 결과, 여름철(6~8월) 양수량은 급수관행으로 인해 크게 증가하는데 비해, 작물경작에 따른 순물소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관정 이용량과 추가적인 대상지역을 반영하여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