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cycling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성인 대상 폐우산 업사이클링 드링크백 만들기 온라인 실습 수업 개발 (Development of Hands-on Online Lesson for Adults of Making Drink Bags by Upcycling Old Umbrella Fabrics)

  • 강보경;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3-14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학문인 의생활 분야에서의 환경보호에 대한 동기를 이끌어내기 위해 온라인 환경에서 성인 학습자 중심으로 버려진 우산의 천을 업사이클링하여 드링크백을 제작하는 온라인 실습 수업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환경의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개발 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진행되었다. 분석 단계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설계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온라인 환경에서의 실습 수업 운영을 계획하고 교육 대상자 수와 교육 내용, 교육 시간을 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 제작된 수업자료는 온라인 실습수업에 용이하도록 구성된 키트,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자극하는 이미지와 업사이클링에 대한 의미를 담은 이론 자료, 제작 과정을 담은 동영상, 사진 등을 PPT 자료로 정리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 및 피드백을 위한 수업 만족도와 환경의식 관련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적용 단계는 총 두 번의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각 18명씩 총 36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였다. 첫 번째 수업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3개월 후 두번째 수업을 실행하였다. 평가단계에서 1차 수업 학습자들이 수업 만족도와 관련한 반응에 따라 수업 설계와 자료를 보완한 결과, 2차 수업 학습자들로부터는 원활한 소통과 자유로운 자료 공유가 만족스럽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환경의식 및 태도 관련 설문에서 두 실행에서 모두 문항의 총 평균이 4.27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방형 질문에서 업사이클링의 가치를 깨닫고 환경의식이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3D 의류 시뮬레이션 Z-weave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물 소재 비교와 지속 가능한 패션 산업에서의 실현성 (Comparison of physical materials using the 3D Clothing Simulation Z-weave program and its feasibility in the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 채희주;김도은;신윤지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6호
    • /
    • pp.80-89
    • /
    • 2024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의류 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대안인 업사이클링(Upcycling)을 3D 의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Z-weave를 사용하여 해결책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업사이클링 제품은 한정된 소재와 자원으로 샘플 제작이 어렵고, 폐의류들로 바로 완성품을 제작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3D 의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도입해 폐의류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Z-weave를 통해 생성된 가상공간에서의 의류 원단과 현실 원단의 유사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실제 패션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실제 작품과 유사하게 표현하기 위해 Z-weave 프로그램 안에서 물성을 조절해 실제 소재와 비교하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이로써 Z-weave 프로그램의 패션업계에서 활용 가능성과 잠재적 한계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과 3D 의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한 패션 제작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ustainable Fashion through Esthetica at London Fashion Week

  • Kim, Hye Eun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8-1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ustainable fashion flows and to outline their characteristics by analysing Esthetica as the largest trade-based sustainable fashion exhibition in the UK.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its ethical meaning rather than on fashionable criteria or marketable value. This pioneer work could be helpful in order to plan and study sustainable fashion flows. The research method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fashion trend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focused on the UK, Esthetica events and participating brand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Upcycling suggests the extension of a product's lifecycle, a trend on the increase. Transparency is the crucial issue in sustainable fashion. Estethica shows that nurturing sustainable brands is one effective way of boosting the sustainable industry, as well as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sustainable products. Sustainable fashion has come to be included in mainstream fashion in terms of aesthetics and commercial competitiveness. Finally, sustainable fashion highlights quality of garments. Thus, Esthetica shows the present of sustainable fashion and its future, that is, sustainable fashion not just as a trend but a lifestyle for both its consumers and the industry. As the sustainable industry is a growing sector, it would be useful to carry out separate in-depth case studies on leading sustainable brands and qualitative aspects.

Example of iterative process in upcycled clothing design: Unused neckties and upholstery scraps

  • Koca, Emine;Koc, Fatma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90-911
    • /
    • 2020
  • This study proposed a base framework for creating sustainable designs with textile production waste and unused neckties with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which is an iterative process. It aimed to set an example of how fashion designers can plan and manage their clothing design processes in a more sustainable way by recycling textile production scraps and unused neckties into unique clothing pieces with the upcycling method. Unused neckties and upholstery scraps were turned into skirts, blouses, and dresses by using creative techniques in line with current fashion trends. In addition, the five-stage iterative design process followed was explained, and the way in which the waste textile materials gained value by being converted into unique garments was discussed in terms of the user and the designer. Through the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smallest amount of textile waste can be transformed into upcycled clothing via the iterative process, and original, value-added products enjoyed by consumers can be created.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the problem, creativity in the generation of insights and solutions, skills to materialize those solutions through iterative prototyping, and the ability to combine these factors. Promising ideas to help designers develop recycling strategies were also provided.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 (Cross Alkane Metathesis Reaction for Waste Plastic Degradation)

  • 김주은;안광진
    • 공업화학전망
    • /
    • 제24권2호
    • /
    • pp.22-30
    • /
    • 2021
  • 현재 인류는 플라스틱(plastic) 세상에 살고 있다. 의류, 식품, 주거 생활 곳곳에 플라스틱이 존재하며, 플라스틱이 없는 세상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하지만, 플라스틱 사용량 증가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배출량의 증가는 심각한 환경문제들을 야기하여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순히 폐플라스틱의 처리에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생성물을 제조하는 플라스틱 업사이클링(plastic upcycling) 시스템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형태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의 한가지로 본 기고문에서는 알칸 교차 복분해(cross alkane metathesis) 반응을 소개한다.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은 수소화/탈수소화(hydrogenation/dehydrogenation) 반응과 올레핀 복분해(olefin metathesis) 반응으로 이루어져, 탈수소화 반응 후 생성된 이중결합 탄소를 갖는 두 개의 알켄 화합물이 자리바꿈을 통해 새로운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이다. 이 촉매반응 과정이 반복되면 저분자화된 새로운 알칸 화합물을 생성되는데, 이는 기존의 플라스틱 처리방식인 열분해 및 촉매 분해 공정보다 낮은 반응온도를 요구한다. 또한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순도의 가솔린 및 디젤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의 새로운 대안기술이 될 수 있다. 본 기고문에서 폐플라스틱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폴리에틸렌을 처리하는 대안기술로써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의 메커니즘과 및 촉매의 역할, 그리고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기술한다.

국내 학술 연구에 나타난 지속가능 패션 디자인 연구 동향 (Trend analysi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in Korean academic journals)

  • 이수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3-8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more practical subsequent research by identifying research areas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research trends. For this study, 117 journals domest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were selected using the keyword, 'sustainable fashion'. With the research materials, six top keywords, 'zero waste', 'sustainability', 'eco-friendly', 'upcycling', 'recycling', and 'ethical', were derived. The research status was examined by year, keyword, keyword and year, and research topic.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into the studies by year, it was found that research on sustainable fashion increased in general. Compared to 2010, the research tripled in 2020, and it was found to have increased steadily from 2018.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by keyword, eco-friendly was the most common.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tended to focus on recycling or eco-friendliness before, but in later material design development was heading towards upcycling. Third, concerning the research by topic, case studies were found the most before, but research on design development tended to increase recently. Based on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areas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at need more research will be investigated further.

자동차 폐기물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Using Automotive Waste)

  • 고리;김차현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3호
    • /
    • pp.34-47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the growing issue of automobile waste and promote environmental protection by developing visually appealing and innovative clothing designs. By leveraging successful examples of upcycled fashion design and products that could recycle automobile waste, this study proposed four garment designs utiliz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seat belts, leather seat fabrics, and airbags from automobile waste. Ultimately, two of these garments were produced as physical prototypes.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utilizing automotive waste opened new possibilities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This approach demonstrates potential to meet demands of modem consumers who prioritize environmental values and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the study established an important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market acceptance and consumer perception of upcycled fashion products using automotive waste. As consume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rows and demand for sustainable products increases, these upcycled products are likely to gain significant traction in the fashion industry.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 연구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Using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Corn By-products)

  • 김혜진;최우석;이준섭;김자영;김무한;이창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7-1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 되는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초당 및 찰옥수수 10 개 품종에 대해 부위별 유효성분 탐색 및 정량분석을 통하여 업사이클링(upcycling) 소재로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당 및 대학찰옥수수의 부위별(알곡, 속대, 포엽, 수염)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량 측정으로 주름 개선 효능평가 결과, 속대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76.5, 140.0%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속대에서 LC-MS/MS 정성분석으로 18 개 성분이 검색되었으며, 이 중 N,N'-diferuloylputrescine (DFP)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품종 및 부위별 정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속대 및 알곡에서만 DFP가 확인되었으며, 속대에서는 초당옥수수의 골드슈가(39.6 ㎍/g), 찰옥수수의 대학찰(38.4 ㎍/g) 품종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속대는 알곡을 탈립 후 남은 부산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소재로서 부가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버려지는 속대의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복구성학적 측면에서의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 프로토 개발 - 패턴 수업을 중심으로 - (Sustainable Fashion Design Prototype Development in Terms of Clothing Composition -Focused on Pattern Classes-)

  • 박유신;김지혜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5호
    • /
    • pp.125-139
    • /
    • 2020
  • The fashion industry that perceived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s sought various methods of sustainable fashion. However, most of the businesses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using industrial waste, or vegan material.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ethods for improvement in creativity for inversely developing the design from patterns and present new approaches by applying the contrarian development of proto to class under the limited condition of material concerning general design, selection of material, and production of sample. In the case of three student teams enroll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year, the fabric and used clothing donated by industry were used as material. The whole cut for cutting a single fabric in connected state, and Zero Wastes Design within a rectangular frame of fabric, upcycling of used clothes, and cutting out of Geometric Form are suggested. The team(A) produced a zero-wastes coat and whole-cut Pancho that could be variously represented. The team(B) produced two kinds of asymmetric dress by utilizing used check-patterned shirts through upcycling. The team(C) utilized the fabric in geometric forms such as rectangle, trapezoid, and atypical figure by drawing design within donated fabrics. The items were a dress, blouse, and skirt. Consequently, an opportunity for both academia and industry to present more concrete methods for sustainable fashion and deeply perceive the sustainable fashion is presented along with novel methods for creation by carrying out the composition of pattern and design at the same time.

재생가능용품을 사용한 에코장신구디자인 방안 모색 (Methods of Eco-jewelry Design Using regeneration possibility Materials)

  • 김동현;최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03-110
    • /
    • 2012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는 '녹색경영'이 화두가 되어 환경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에코디자인을 실천하고 있다. 인류의 탄생과 함께 시작된 장신구는 지난 20세기의 대량 생산과 소비의 가속화로 자원고갈과 환경오염문제를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세계의 경제의 위기 속에 소비자의 욕구가 위축되어 장신구 산업의 돌파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폐품을 재사용하여 합리적인 가격의 다양한 원자재 종류와 활용방법, 개성과 감성을 표현하는 고품격 장신구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변화 있는 패션 연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에코디자인을 통한 개성 있는 장신구가 장신구의 가치를 재조명 할 것이다. 시대적 합리성까지 고려하는 소비자들의 감성과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폐품과 귀금속의 조화를 통한 업사이클링 장신구 디자인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