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stable attachmen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불안정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탈중심화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Unstable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ng Effect of Decentering and Self-Compassion)

  • 김용희
    • 스트레스연구
    • /
    • 제26권4호
    • /
    • pp.290-295
    • /
    • 2018
  • 본 연구는 불안정 애착과 주관적안녕감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애착척도, 주관적 안녕감척도, 탈중심화 척도, 자기자비척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애착은 주관적 안녕감, 탈중심화, 자기자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불안정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탈중심화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불안정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논의와 제언을 기술하였다.

상호작용 중심의 모-자 미술치료가 불안정 애착 아동 및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Interaction of Child with Unstable Attachment and Mother)

  • 정창숙;박은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395-140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on the change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in a child who was in trouble due to attachment problems.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six-year-old child who faced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 building and who were maladjusted to kindergarten because of unstable attachment and negative feedback from his parents. Also, he showed serious problem behaviors at home. The ABA design was adopted among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and the Target child was observed in the sessions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Marschak's Behavioral Rating Scale to gather data related to the changes of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ll the subfactors that were the child'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the mother's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Therefore the interaction based mother-child art therapy that was designed to boost child and mother's interactions was effective at further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s of the child with attachment problems.

밀레니얼세대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보상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unstable adult attachment on Compensatory consumption behavior among Millennials)

  • 황지희;조경은;최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99-104
    • /
    • 2021
  •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아존중감이 보상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만19~34세에 해당하는 밀레니얼 세대 37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위계형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칭찬형 보상소비와는 긍정적인 관계를 보이나, 위로형 소비와는 복잡한 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1단계 분석에서 위로형 소비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2단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을 포함하자 관계의 유의성은 사라졌다. 불안정 성인애착 변수들은 두가지 유형의 보상소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회귀모델의 설명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어, 불안정 성인애착과 보상소비와의 관계가 크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성인기 초기에 있는 밀레니얼 세대의 보상소비행동이 개인심리와 대인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조리종사자의 대인애착이 직무만족, 직무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ulinary Employee's Interpersonal Attachment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Attachment)

  • 장혁래;김광수;안현모;전경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2월 10일부터 2011년 3월 2일까지 서울지역 특급호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161부에 대하여 SPSS 17.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실시하고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인애착, 직무만족과 직무애착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안정형 애착은 직무만족과 직무애착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형 애착은 직무만족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애착 유형에 따라 직무만족과 직무애착과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인애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결과 안정형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에, 회피형과 불안형은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조리종사자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에서의 차이 (Differences in Infant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

  • 이승희;김상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6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 유아의 문제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의 어머니 3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 중 회피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성인애착 중 불안이 문제행동의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자율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가 조절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자율적 양육태도는 성인애착의 불안이 유아의 불안/우울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이 유아의 문제행동 중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양육태도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불안정한 성인애착을 보유한 어머니들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의 형태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부모·교사·또래 애착 유형별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 김분;최연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group classification of attachment type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 groups among 6th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The findings suggest that attachment is highest with one's mothers, followed by peer groups, fathers and teachers.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tendencies of children to be attached to their parents, teachers, peer groups, according to their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dition, the tendency of attachment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 groups according to gender is not meaningful except for peer-group affection between boys and girls. Furthermore, an integrated attachment type is ranked highest, followed by parents attachment type, peer attachment type, and unstable attachment type, in order based on cluster analysis. Finally, each attachment group among studen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concept, and school life adjustment.

어머니 애착유형과 결혼갈등, 자녀양육행동 및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Style, Marital Conflict,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 Problems)

  • 강차연;장연집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1-75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ttachment styles of married mothers influence their marital conflicts and caring behavior and the behavior problems of their children. Subjects were 60 mothers and their 60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multiple analysis of variance and path analysis. Mothers with unstable attachment styles had more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and they had more serious marital conflicts. Mother's with preoccupied attachment styles experienced more marital conflict than all other styles. Seriousness of marital conflict was related to negative caring behavior and negative caring behavior was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There were direct paths between the attachment style of mothers and both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in the clinical group.

  • PDF

간호학과 신입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자비, 정서인식명확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stable Adult Attachment,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f Nursing Freshmen on Interpersonal Skills)

  • 박미라;김정숙;제남주;윤지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17-226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자기자비, 정서인식명확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다. 본 연구는 G도 소재의 J시 1개 대학의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04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IBM SPSS/25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19, p=.005), 자기자비(r=.38, p<.001), 정서인식명확성(r=.28,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위계적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자기자비가 대인관계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 외향적성격, 혼합적 성격, 정서인식명확성 순이었다. 자기자비와 정서인식명확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24.5%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반드시 필요한 자질 중 하나이므로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년여성의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Exploring Narra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Women Who Are Attached to Instabilith)

  • 방은정;신동열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77-83
    • /
    • 2022
  • 본 연구는 개인의 성장과정에서 불안정 애착을 경험한 중년여성이 자신의 성장 과정을 재조명함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도록 돕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 기간은 2020년 8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총 14회기에 걸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은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에 따라 참여자의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존재적 맥락, 관계적 맥락, 생애적 맥락 등으로 텍스트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불안정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한 참여자 3명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존재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인정 받기 위한 욕구, 완벽주의, 불안한 가정환경, 스트레스 대처방법, 상처를 마주할 용기, 자기수용 및 긍정,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 삶의 희망은 참여자 경험 속에서 의미로 해석하였다. 둘째, 관계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부모, 남편, 자녀, 대인관계, 종교와의 경험으로 해석하였다. 셋째, 생애적 맥락에서의 의미는 돌봄의 결핍, 통제의 재현, 장녀로의 책임감, 소중한 가정, 삶의 의미와 가치는 과거 부모와의 다양한 경험이 현재 참여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경험 속에서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법으로 참여자들의 어린 시절 불안정 애착 경험과 외상 후 성장 과정을 기술하고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Prosthetic reconstruction with an obturator using swing-lock attachment for a patient underwent maxillectomy: A clinical report

  • Seong, Dong-Jae;Hong, Seoung-Jin;Ha, Seung-Ryong;Hong, Young-Gi;Kim, Hyo-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411-416
    • /
    • 2016
  •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of maxilla due to benign or malignant tumor, or accident will have defect in palatal area. They get retention, support and stability from remaining tissues which are hardly optimal. The advantage of swing-lock attachment design is having multiple contacts on labial and lingual side of the abutment teeth by retentive strut and palatal bracing component. Because the force is distributed equally to abutment teeth, abutment teeth of poor prognosis can be benefited from it. It is also more advantageous to cover soft tissue defects which are hard to reach with conventional prosthesis. A 56-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undergone a maxillectomy due to malignant melanoma complaining of loose and unstable surgical obturator. Surveyed crowns were placed on #12, 26, and 27. Teeth #11, 21, 22, and 23 had lingual rest seat and #24 had mesial rest seat to improve stability and support of the obturator. This clinical report presents the prosthetic management of a patient treated with obturator on the maxilla using swing-lock attachment to the remaining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