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saturated Fatty-Acid Composition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7초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차이가 거세한우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in the Concentrates on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병기;오동엽;황은경;송영한;이상욱;정근기;하재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61-66
    • /
    • 2013
  •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거세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한우 거세 송아지 30두를 공시하여, 비육 단계별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에 농후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을 대조구는 육성기; 14%, 비육전기; 13% 및 비육후기; 11%, 처리구는 육성기; 16%, 비육전기; 15% 및 비육후기; 14%로 하여 도체 특성, 육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 대비 처리구에서 근내지방도가 유의적(p<0.05)으로 향상되었고, 육질등급을 점수화하여 환산한 결과로는 약 15.6% 정도가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에서는 처리구에서 수분과 조단백질의 경우 감소하고 조지방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방산 조성 중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올레인산에서 처리구가 대조구 대비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육성 및 비육기때 농후사료내 조단백질 수준을 증가시키면 근내지방도, CIE 값의 명도, 올레인산 및 단일 불포화지방산에서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었다.

Xiang Study: an association of breastmilk composition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th of life

  • Peng, Xuyi;Li, Jie;Yan, Shuyuan;Chen, Juchun;Lane, Jonathan;Malard, Patrice;Liu, Feit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3호
    • /
    • pp.367-38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mother and child cohort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investigate human breastmilk (HBM) composi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BMI)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 of life. SUBJECTS/METHODS: A total of 101 Chinese mother and infant pair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cohort. Alterations in the milk macronutrients of Chinese mothers at 1 mon (T1), 2 mon (T2), and 3 mon (T3) lactation were analyzed. HBM fatty acid (FA) profiles were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HBM proteomic profiling was achiev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MS). RESULTS: During the first 3 mon of lactation (P < 0.05), significant decreases were determined in the levels of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steopontin (OPN), as well as ratios of long-chain saturated FA (including C16:0, C22:0 and C24:0), monounsaturated FA (including C16:1), and n-6 poly unsaturated FA (PUFA) (including C20:3n-6 and C20:4n-6, and n-6/n-3). Conversely, butyrate, C6:0 and n-3 PUFA C18:3n-3 (α-linolenic acid, A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mon (P < 0.05). HBM proteomic analyses distinguished compositional protein differences over time (P = 0.001). Personalized motherinfant analyses demonstrated that HBM from high BMI mothers presented increased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PN, and increased content of n-6 PUFA (including C18:3n-6, C20:3n-6 and n-6/n-3 ratio) as compared with low BMI mothers (P < 0.05). Furthermore, BMI of the mother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d circumference (HC) of infants as well as the specific n-6 PUFA C20:3n-6 over the 3 time points examined. Infant H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18:0.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o the Chinese HBM database, and further knowledge of FA function. It also helps to establish future maternal strategies that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fants.

Effects of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and Cracked Cottonseed 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in Dairy Cows

  • Wongnen, C.;Wachirapakorn, C.;Patipan, C.;Panpong, D.;Kongweha, K.;Namsaen, N.;Gunun, P.;Yuangklang,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25-1632
    • /
    • 2009
  • Four lactating Holstein Friesian crossbred cows, with an average initial weight of 450 kg, 48${\pm}$12 days in milk and initial milk yield of 18 kg/h/d, were randomly arranged according to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in a 4${\times}$4 in Latin square design with 21-d peri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ype of total mixed ration (TMR) and type of whole cottonseed (WCS) on intake, digestibility and milk productio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i) TMR and WCS supplementation at 0.5 kg/h/d, ii) TMR and cracked WCS (cWCS) supplementation at 0.5 kg/h/d, iii) fermented TMR (FTMR) and WCS supplementation at 0.5 kg/h/d, and iv) FTMR and cWCS supplementation at 0.5 kg/h/d. Voluntary feed intake was 15.9, 15.2, 15.4 and 15.6 kg DM/d in dietary treatment 1, 2, 3 and 4, respectively. Digestibility of DM, OM, CP, EE, NDF and ADF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Ruminal pH, $NH_{3}-N$ and volatile fatty acids in the rumen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ype of TMR or type of WCS. Blood urea-N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Ruminal bacteria population tended to increase but ruminal protozoa population tended to decrease with supplementation of cWCS, but they were not affected by FTMR. Milk yield and 3.5% FCM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16.6, 16.2, 17.0, 16.3 kg/d and 18.0, 18.6, 19.9 and 19.0 kg/d, respectively). Milk com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However, unsaturated fatty acids in milk fat in cows fed FTMR were lower (p<0.05) than in cows fed TMR. In conclusion, fermentation is a conceivable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TMR for long-time storage and the cracking method is suitable to release the fat from cottonseed for enhancing fatty acid deposition in milk. Thus, the combination of FTMR and cWCS supplementation would be an alternative strategy to improve performance of lactating cows.

Principal Milk Components in Buffalo, Holstein Cross, Indigenous Cattle and Red Chittagong Cattle from Bangladesh

  • Islam, M.A.;Alam, M.K.;Islam, M.N.;Khan, M.A.S.;Ekeberg, D.;Rukke, E.O.;Vegarud, G.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6호
    • /
    • pp.886-897
    • /
    • 201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get a total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of the principal components in Bangladeshi buffalo (B), Holstein cross (HX), Indigenous cattle (IC) and Red Chittagong Cattle (RCC) milk. Protein and casein (CN) composition and type, casein micellar size (CMS),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free amino acids, fat, milk fat globule size (MFGS), fatty acid composition, carbohydrates, total and individual minerals were analyzed. These components are related to technolog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milk. Consequently, they are important for the dairy industry and in the animal feeding and breeding strategies. Considerable variation in most of the principal components of milk were observed among the animals. The milk of RCC and IC contained higher protein, CN, ${\beta}$-CN, whey protein, lactose, total mineral and P. They were more or less similar in most of the all other components. The B milk was found higher in CN number, in the content of ${\alpha}_{s2}-$, ${\kappa}$-CN and ${\beta}$-lactalbumin, free amino acids, unsaturated fatty acids, Ca and Ca:P. The B milk was also lower in ${\beta}$-lactoglobulin content and had the largest CMS and MFGS. Proportion of CN to whey protein was lower in HX milk and this milk was found higher in ${\beta}$-lactoglobulin and naturally occuring peptides. Considering the results obtained including the ratio of ${\alpha}_{s1}-$, ${\alpha}_{s2}-$, ${\beta}$- and ${\kappa}$-CN, B and RCC milk showed best data both from nutritional and technological aspects.

사료 지질원이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김경덕;김진도;임상구;강용진;손맹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3.6 g) were fed with one of the following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0% beef tallow (BT), 5% BT plus 5% corn oil (CO), 5% BT plus 5% linseed oil (LO), or 5% BT plus 5% squid liver oil (SO) as the lipid source for 5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vival among groups. The weight gain of fish fed the LO (high in 18:3n-3) and SO (high in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CO (high in 18:2n-6) and BT diets (P<0.05). The feed efficiency of fish fed LO and SO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BT diet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sh fed the CO diet.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SO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 and BT diets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LO diet. The 18:1n-9 of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in fish fed the BT die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fish fed the other diets. Fish fed the CO and LO diet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18:2n-6 and 20:4n-6, and 18:3n-3, than the fish fed the other diets in polar and non-polar lipid fractions, respectively (P<0.05).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20:5n-3 and 22:6n-3 were observed in the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of fish fed the SO diet compared with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linseed oil and squid liver oil containing n-3 fatty acids are good dietary lipid sources for the growth of far eastern catfish.

돼지지방, 올리브유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 (Quality and Sensory Score of Ground Pork Meats on the Addition of Pork Fat, Olive Oil and Soybean Oil)

  • 윤동화;박경숙;이경수;박현숙;문윤희;양종범;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64-969
    • /
    • 2007
  • 본 연구는 돼지지방, 올리브유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돼지지방을 첨가한 분쇄돈육(GP-P), 올리브유를 첨가한 분쇄돈육(GP-O)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GP-S) 등 세 종류의 분쇄육을 제조하고 일반성분, 표면색깔, 지방산 조성, 보수력, pH, VBN 함량, TBARS값 및 순위법에 의한 기호성을 측정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GP-P, GP-O 및 GP-S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L^{*}$(명도), $a^{*}$(적색도) 및 $b^{*}$(황색도)값은 GP-P가 GP-O 및 GP-S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장 많이 함유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로서 GP-P(24.384%)가 GP-O(15.611%) 및 GP-S(14.42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GP-P(43.773%)및 GP-O(65.040%)는 ole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GP-S는 linoleic acid(40.762%)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보수력은 GP-P가 GP-O 및 GP-S보다 높았으며, pH는 GP-S가 GP-P및 GP-O보다 높았고, VBN 함량 및 TBARS값은 GP-P가 GP-O및 GP-S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가열하지 않은 분쇄돈육의 색깔은 GP-O 및 GP-S가 GP-P보다 우수하였으나(p<0.05), 향기는 시료들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가열 분쇄육의 경우, 향기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GP-S가 가장 우수하였고(p<0.05), 다즙성은 GP-O 및 GP-S가 GP-P보다 우수하였다(p<0.05).

코끼리조개의 성분 조성과 냉동 저장 중의 성분 변화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Geoduck and Changes in Their Composition during Frozen Storage)

  • 최흥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47-72
    • /
    • 1991
  • 우리나라 동해안 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는 코끼리조개의 식품학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계절적 성분 변화와 냉동 저장 중의 지질, VBN, TMAO 및 TMA, Total creatine, $NH_2$-N 그리고 단백질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절적 성분 변화는 수분이 평균 79.9%이며, 7월이 82.2%로 가장 높고, 10월이 78.1%로 가장 낮았다. 조단백질은 평균 13.7%로, 7월이 12.3%로 가장 낮고 1월에 16.2%로 높았다. 조지방은 평균 1.1%, 회분은 평균 1.4%로서 지방보다 높았다. 2. 휘발성 염기질소의 변화는 저장 첫날에 내장을 포함한 육, 생육, blanching한 육에서 1.6mg/100g, 0.6mg/100g, 1.1mg/100g이었으며, 저장 90일에는 13.5mg/100g, 12.0mg/100g, 10.1mg/100g으로 blanching한 육에서 휘발성 염기질소량의 증가가 적었다. 3. 저장 중의 TMAO의 변화는 내장을 포함한 것과 생육이 저장 첫날에 2.4mg/100g, 2.8mg/100g이던 것이 저장 90일에 0.1mg/100임으로 감소하였고, blanching한 육도 저장 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한편, TMA 함량의 변화는 내장을 포함한 육, 생육, blanching한 육에서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4. 동결 저장 중 아미노태질소의 변화는 내장을 포함한 육이 저장 초기에 24.1mg/100g, 생육 17.8mg/100g, blanching한 육 14.2mg/100g이던 것이 저장 90일에 각각 93.1mg/100g, 59.3mg/100g, 62.0mg/100g으로 증가하였다. 5. total creatinine의 변화는 내장을 포함한 육이 12.3mg/100g, 생육 10.5mg/100g, blanching한 육 8.3mg/100g으로서 내장을 포함한 육에서 많았으며, 저장 90일에는 143.3mg/100g, 104mg/100g, 151mg/100g으로 증가하였다. 6. 동결 저장 중의 과산화물 값(peroxide value)의 변화는 저장 초기에 내장을 포함한 육과 생육, blanching한 육에서 각각 0.41meq/kg, 0.38meq/kg, 0.44meq/kg이던 것이 증가를 보이다가, 저장 90일에는 3.72meq/kg, 3.72meq/kg, 1.44meq/kg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내장을 포함한 육에서의 과산화물 값의 증가가 높았다. 그러나 전체적인 함량은 적었다. 7.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 중 포화 지방산은 내장을 포함한 육이 39.3%, 생육 37.0%, blanching한 육 39.6%이며, 주요 지방산은 $C_{14}$ : 0, $C_{16}$ : 0, $C_{18}$ : 0였으며, Monoenoic acid은 내장을 포함한 육이 19.8%, 생육 22.2%, blanching한 육 22.4%이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16}$ : 1, $C_{18}$ : 1, $C_{20}$ : 1이었다. 그리고 polyenoic acid은 내장을 포함한 육이 40.9%, 생육 40.8%, blanching한 육 38.0%로서 내장을 포함한 육의 함량이 높았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20}$ : 5, $C_{22}$ : 6이었다. 동결 저장 중의 변화는 포화 지방산이 내장을 포함한 육, 생육, blanching한 육이 각자 39.3%, 36.9%, 39.6%에서 저장 90일에 44.8%. 41.9%, 42.6%로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불포화 지방산은 내장을 포함한 육, 생육, blanching한 육이 40.9%, 40.8%, 38.0%에서 저장 90일에 31.4%, 34.3%, 34.0%로 감소하였으며, Monoenoic acid의 변화는 동결 저장 기간 중 약간 증가하였다. 8. 중성 지질의 지방산 조성 중 포화 지방산은 내장을 포함한 육이 45.2%, 생육 33.7%, blanching한 육 35.5%이며, Monoenoic acid은 내장을 포함한 24.4%, 생육 25.1%, blanching한 육 23.8%이고, Polyenoic acid은 내장을 포함한 육 30.4%, 생육 41.2%, blanching한육 40.7%이며, 주요 구성 지방산은 $C_{14}$:0, $C_{16}$:0, $C_{18}$:0, $C_{16}$:1, $C_{18}$:1, $C_{20}$:1 그리고 $C_{20}$:5, $C_{22}$:6이고, 저장 중의 변화는 총 지질과 같이 불포화 지방산의 변화가 가장 심했다. 9.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C_{16}$:0, $C_{18}$:0, $C_{20}$:1, $C_{20}$:5, $C_{22}$:6이 가장 많고 그 외 $C_{14}$:0, $C_{18}$:1, $C_{22}$:2도 주요 구성 지방산이었다. 저장 중의 변화는 포화 지방산이 저장 기간 중에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불포화 지방산은 감소하였다. 10.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 지질과 같이 $C_{16}$:0, $C_{18}$:0, $C_{18}$:1, $C_{20}$:5, $C_{22}$:6이며, 동결 저장 중의 변화는 당지질과 마찬가지로 포화 지방산의 증가에 상용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감소가 있었으며, 특히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저장 중에 변화가 가장 심했다. 11. 단백질의 조성은 sarcoplasmic protein이 37%, myofibrillar protein이 29%, alkali-soluble이 22%, stroma가 12%로 나타났고, 저장 중에는 sarcoplasmic과 myofibrillar가 약간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alkali-soluble과 stroma는 저장 기간 중 증가하였다.

  • PDF

감자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 제(第) 1보(報) :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중의 지방질(脂肪質) 조성(組成)에 관하여 -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Potato Tubers - I. Lipid Composition in Free and Bound Lipids -)

  • 이상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1-297
    • /
    • 1979
  • 시험 재배한 4가지 감자 품종(Irish Cobbler, Warba, Shimabara, Saco)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을 만든 다음,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을 추출하고 이의 구성 지방질의 구성 부분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분리 정량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감자의 건조물(乾燥物) 중 총(總) 조(粗) 지방(脂肪) 질량(質量)은 평균 0.57 %였으며 이중에서 유리(遊離) 지질(脂質)은 0.2 %였고 결합(結合) 지질(脂質)은 0.37 %로 결합(結合) 지질(脂質)의 함량이 유리(遊離) 지질(脂質) 보다 0.17%정도 많았다. 2. 유리(遊離) 지질(脂質) 중의 중성(中性) 지질(脂質) 함량은 14.9 %로 결합(結合) 지질(脂質) 중의 4.5 % 보다 약 3배 정도 많았고, 당지질(糖脂質)의 함량은 유리(遊離) 지질(脂質) 중에는 15.1 %로 결합(結合) 지질(脂質)중의 2.22 %보다 약간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인지질(燐脂質)의 함량은 결합(結合) 지질(脂質) 중에는 33.9 %로 유리(遊離) 지질(脂質)의 7.2 %보다 4.5배 정도로 월등하게 많았다. 그러므로 감자 중의 결합(結合)은 주로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로 구성되어 있고, 유리(遊離) 지질(脂質) 중에는 중성(中性) 지질(脂質)과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 함량이 서로 비슷하였다. 3. 총(總) 유리(遊離) 및 결합(結合) 지질(脂質)을 구성하는 주된 지방산은 모두 linoleic, palmitic 및 linolenic acids로 90 % 이상 이었다. 그러나 유리(遊離) 지질(脂質) 중에는 결합(結合) 지질(脂質) 보다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다소 적었고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많은 편이었다.

  • PDF

계란의 영양적 특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al roles and health effects of eggs)

  • 양은주;이영은;문현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385-393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gg consumption and suggest proper guidelines for consumption of eggs by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gs and cholesterol.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functional properties of eggs and serum cholesterol, as well as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Eggs, which are a good protein food with complete amino acid composition, contain vitamin A, riboflavin, vitamin $B1_2$, folic acid, vitamin D, vitamin E, vitamin K, calcium, iron, choline, selenium, ${\beta}$-carotene, lutein, zeaxanthin, etc. However the egg yolk has a high cholesterol content, which i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s, including heart disease and hypertension. As a result, its intake is subject to regulation. Outbreak of heart disease by yolk intake can show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mount of egg intake, and the implications of other foods eate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ggs are beneficial, as they are the main supplying source for other major nutritive elements as well. Several research studies insist that when cholesterol intake increases by 100 mg, the level of serum cholesterol increases by 2.2~4.5 mg/dL and when serum cholesterol increases by 1%, the risk of heart disease increases by 2%. This indicates that a large intake of eggs can increase the risk of heart disease. Although the cholesterol of egg yolk and serum cholesterol are correlated, it is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only cholesterol and not other components are related to heart disease. In fact, other components in egg such as variou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phospholipids could be related as well. Rather than concluding egg as a 'good' or 'bad' food according to its cholesterol content, it is important to define egg as a part of dietary patterns. Conclusion: Generalizing an indiscriminate and uniform amount of egg intake for all seems inadequate. However, patients with diabetes or heart disease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mount of egg intake. As for the norm, eating egg with vegetables as a substitute for other animal products seems beneficial.

동면 어류의 지방질과 중성 및 인지질 조성의 시기적 변화(I) - 미꾸라지 근육 지질 조성의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Neutral and Phospholipids of Hibernant Fishes(I) - Variation of Muscle Lipid Compositions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 홍재식;최선남;박일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4-24
    • /
    • 1997
  • 동면 어류인 미꾸라지를 일정시기(산란기전:5월, 산란기후:8월, 동면직전:11월, 동면직후:3월) 별로 채취한 다음 자.웅별 전육질부를 시료로 취하여 지방질과 중성 및 인지질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중성지질이 구성지질의 대부분을 이루었고 다음은 인지질, 당지질순이었으며 그 조성과 변화 pattern이 자.웅이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월 이후 중성지질의 조성비가 점차 많아져 8월에는 90% 가까이 증가하였고 이후 점차 감소하여 이듬해 3월이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과 인지질 중에는 각각 triglyceride와 phosphatidyl choline 조성이 가장 많았으며 그 함량은 8월에 최고치를, 3월에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중성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16:0, 16:1, 18:1, 18:2, 18:3($\omega$3) 등으로 이중 16:1 조성은 인지질보다 월등히 많았고 20:4($\omega$6), 20:3($\omega$3), 22:6($\omega$3) 등 고도 polyene산은 훨씬 적게 분포되었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중 16:0 조성은 연중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16:1, 18:1, 18:2, 18:3($\omega$3)은 3월보다 5월이 2~4% 정도 높았고 고도 polyene산 조성은 그만큼 적었다. 이중 16:1 조성은 5월 이후 계속 줄어든 반면, 18:1, 18:2 w성은 11월까지 거의 비슷하였다. 또, 8월에는 18:0, 14:1, 17:1 조성의 증갈 포화 및 monoene산 조성이 다소 높아지고 고도 polyene산 조성은 더욱 줄어들어 불포화도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11월부터는 그 반댈 포화 및 monoene산 조성이 점차 줄어들어 동면 직후인 3월에는 18:0, 16:1, 18:1 등 대부분의 포화산과 monoene산 및 18:2 조성이 더 큰 폭으로 떨어졌고 20:1, 20:4($\omega$6), 20:5($\omega$3), 22:6($\omega$3) 조성비는 그 만큼 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인지질은 16:0, 16:1, 18:1, 18:2, 20:4($\omega$6), 20:5($\omega$3)이 주요 지방산이었고 3월과 5월 사이에 포화산과 monoene산 조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polyene산 조성은 중성지질과 비슷하게 변화였다. 8월에는 16:0, 18:0 등 주로 포화산 조성이 높아지고 고도 polyene산 조성은 그만큼 줄었으나 11월부터는 16:0, 18:0과 18:1, 18:2, 18:3($\omega$3) 조성이 다시 줄고 대부분의 고도 polyene산 조성은 점차 많아져 이듬해 3월에는 중성지질과 마찬가지로 불포화도가 더 큰 폭으로 커지고 특히 18:2, 18:3($\omega$3)과 20:4($\omega$6)와 22:6($\omega$3)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