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Based Retirement Communit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중장년층 귀농준비 유형 및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Exploration of Middle-Aged Adults'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Pattern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정성지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2호
    • /
    • pp.111-12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patterns for middle-aged adults and to explore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related variables. The result of the study follows: first,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urban-born farming, rural-born farming, retirement farming. Second, these patter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ird, these patterns also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expectancies,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volition, and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barriers. Based on the results, diversified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measures were suggested.

배우자 사별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Women: A Comparison of Three Age Groups)

  • 장은하;홍석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89-10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widowhood among older females. Using the six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supplementary survey data, a total sample of 1,471 women aged 65 or older whose spouse had died were selected, divided into 508 young-old (65-74), 745 middle-old (75-84), and 218 oldest-old (85+). Then,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a combination of perceived health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evel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young-old group,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dicated by monthly income and mater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linked to more frequent participation in community gathering combined for an overall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old group, higher life satisfaction was provided by monthly income,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diseas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oldest-old group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referred to monthly income for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no experience in donation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who have experienced their spouse's death.

The Influence of Public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55-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데이터 중 7차 패널자료(2017년도)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아졌으며, 사회적 지지는 높아졌고, 삶의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를 위한 Community Care 사업의 활성화 등의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 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6
    • /
    • 2019
  •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7년이 지난 2017년말에 예상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비하여 아직 노인주거시설에 관한 인식은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시설의 건축과 경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노인주거시설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정부의 정책 또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는 면도 무시할 수 없다. 노인의 주거는 단순한 주거 공간 뿐 만이 아니라 의료의 문제와 연관지어서 생각해야 한다는 점과 지속적인 케어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노인주거의 추세는 연속보호형 시설(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ity)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주거시설의 정책과 기존 노인주거를 외국의 정책 및 주거와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주거시설의 운영을 중심으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UNIT의 유지, 시설의 용도변경을 통한 융통성의 확보, 공용공간의 쉐어, 운영비의 현실화 등을 통해 노인주거시설의 적합한 주거디자인의 유형의 특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방안을 연구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스마트시티의 목적과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령화 인구를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Smart City Objectives and Implications: Adaption to Silver Population in Korea as Target Citizens)

  • 이승연;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70-478
    • /
    • 2017
  • 본 연구는 현존 스마트시티의 목표와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며,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주요 기술적 관점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포괄적인 탐색과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기존의 모호한 논의를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5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의 실버인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이들을 핵심 표적으로 하는 스마트시티의 바람직한 모델을 이론적인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인구를 위한 미래지향적 스마트시티의 주제로서 의료보건관리, 은퇴 이후의 고용창출, 지역기반 관리체계, 친환경 사회기반시설 등 네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특히 실버인구의 복지후생은 미래지향적 스마트시티의 핵심적 사항이며, 친환경적인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이 강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