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Informatization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개발 활성화를 위한 지리정보 DB 연구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for Facilitating Regional Development)

  • 김항집;최봉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9-80
    • /
    • 2002
  • 본 연구는 GIS와 지리정보 DB가 지역계획이나 도시계획을 위한 단순한 기능적 도구가 아니라,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지역정보기반으로서 구축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지리정보 DB 구축사례를 분석하고, 정보사회에서 GIS가 수행해야 할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개발과 연계되는 지리정보 DB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리정보의 내용적 기술적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서술하였다. 즉, 향후의 지역 지리정보는 내용적으로는 다양화, 충실화, 기능화되고, 기술적으로는 메타자료의 구축,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DB구조의 유연성을 갖추어야 하며, 제도적으로는 유통체계 확립 민관 정보공유, 지리정보 공개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 설계 연구 (A Class Design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홍지연;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5
    • /
    • 2011
  •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는 새로운 정보화 능력을 갖춘 인간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디지털 기술이 가진 역동적 상호작용성과 전통적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성이 결합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탄생하였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기존의 스토리텔링을 뛰어넘어 움직이는 화면과 소리 등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쉽게 유발하며 초등학생의 다양한 지능을 자극하고 양방향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분석한 후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습요소의 추출하여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수업을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민건강보험 상해상병 관리모형 개발 (Developing the administrative model using the data mining technique for injury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 박일수;한준태;손혜숙;강석복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67-476
    • /
    • 2011
  •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제도권 내 해당되지 않은 상해상병 진료건 중 국민건강보험으로 부당 잘못 청구되는 진료건을 적발하여, 환수조치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상해상병 조사대상자 선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정된 인력으로 증가하는 상해조사관련 업무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해요인조사 업무 효율화 및 환수 결정율 제고를 위한 조사대상자 발췌기준의 고도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해상병 유형에 대해 일정금액 이상 진료건의 발췌 등과 같은 과거의 발췌기준에서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같은 통계적 모형과 업무규칙을 함께 적용한 하이브리드 모형으로서 상해상병 조사대상자 선정기준을 제시하고자하였다.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igital Nomadism on Modern Fashion

  • Kim Mi-Hyun;Chung Heung-Sook Grac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 /
    • 제4권2호
    • /
    • pp.45-55
    • /
    • 2004
  • Rapid informatization and technology advance in the 21st century has invited a new paradigm and changed many things in human life pattern. The impact of mobility seen in this digital nomadism has brought about, when it comes to clothing, a change in its unique meaning, that is, the graftage of high technology onto present nomad's life style who live moving around all the time due to the expansion of mobile environment. As the fruits of this expansion of mobile environment and technology advanc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easy-to-carry smaller sized devices such as cell phones, PDA, and MP3 players represent the present times, while the future would be an 'era of wearing' in which kinds of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are integrated into clothing. Thus in this study, concept of wearable computer seen in the 21st century's digital nomadism was reviewed, and figurativeness and anesthetic value of wearable computer were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the change in high style image resulted from technology advance and change of life style. By drawing a justice from which, value of future fashion was also prospecte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gital Divide of Senior Citizens through the Preference for Mobile Internet and Social Media

  • Park, Kyoung-ryu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119-126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digital divide of Korean senior citizens through the preference for smart media. Targeting two media out of mobile internet and mobile social media, the media dependency ratio and the trend of people in their 20s-60s were verified. Regarding the dependency ratio of young people(20s) and senior citizens(60s), in case of mobile internet, people in their 60s were average 8.6% while people in their 20s were average 38.9%, so that the ratio of senior citizens was lower by 30.3%. In case of social media, people in their 60s were average 1%, which was 7.1% lower than people in their 20s(8.1%). And this divide was the digital divide shown in the informatization process through the trend of internet use of senior citizens in their 60s or up. Thus, as the policy measures for solving the digital divide of senior citizens, it would be required to continuously develop the digital cultural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to expansively perform the government subsidiary policies like additionally providing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senior citizens, and also to expand the smart-based infrastructure for senior citiz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Persons' Adoption Patterns of Media Information (Newspaper, Smartphone, Etc.) and Digital Divide

  • Park, Kyoung-ryu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127-134
    • /
    • 2018
  • This study found the digital divide of Korean elderly persons on the basis of the 2013-2017 survey data of the perception of media information adopters. The studied media were traditional ones, such as newspaper and TV. The media dependence of those in their 20s to 60s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newspaper, elderly persons in their 60s had 20.7% on average, 13.6% higher than the percentage (7.1%) of young persons. Regarding their dependence on TV, those in their 60s had 97.6% and those in their 20s had 63.7%, so that there was a wide gap of 33.9% on average. The smartphone penetration rate of those in their 60s was 61.3%(2015-2017) on average, which tended to rise. The elderly's dependence on traditional media featured Digital Divide which is found in the informatization proces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ir digital divide,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 in line with their knowledge level through remote online centers, develop inclusive ICT for convenience, and change philosophical policy paradigm in the dimension of quality of life.

생산양식과 농촌사회의 변화 (Mode of Production and Change of Rural Society)

  • 임형백;조중구
    • 농촌계획
    • /
    • 제10권1호
    • /
    • pp.41-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 of production and change of rural society. While dominant theories of social change have stressed variation of contingencies and periodical contexts, this theoretical paper drives a new insight paralleling diverse theoretical arguments of each mode of production with rural and urban changes. Investigating the drifts of intellectual ideologies of the mode of production, we get through diverse paradigm shifts of the production accumulation and its trigger effects on rural chan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change of rural society by way of investigating such fluctuations of societal changes as ancient society, slavery society, feudal society, industrial society, post-industrial society, and information society. We find tha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had a key role in the changes, however,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es on social changes have been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society. While we take it for granted that flexible accumulation in post-industrial society and time-space compression and informatization in information society will reduce development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society, we also found that there have been big differences of actual application of the technologies between theory and reality in each era of mode of production.

GDPR이 디지털 경제에 미치는 영향: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The Effects of GDPR on the Digital Economy: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 아랴말라 프라사드;다니엘 페레즈
    • 정보화정책
    • /
    • 제27권3호
    • /
    • pp.3-18
    • /
    • 2020
  •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확산됨에 따라 유럽연합(EU)은 회원국 간의 포괄적인 데이터 보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시행하였다. GDPR의 헌법적 뿌리를 고려할 때, EU의 규제 접근법은 다른 데이터 보호 규정들과는 차이가 있다. GDPR은 데이터 보호에 대한 개인의 권리를 강화하였다. 하지만 개인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기업에 대한 몇 가지 의무 또한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관점에서 프라이버시, 특히 GDPR에 관한 기존의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규제가 경쟁, 혁신, 마케팅 활동 및 국경을 초월한 데이터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개략적으로 리뷰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와 GDPR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절충안을 강조한다.

국가정보화시행계획 업무의 EA적 접근 (A Study on National IT Planning based on EA Approach)

  • 홍필기;김대권;이석준
    • 정보화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5-247
    • /
    • 2014
  • 국가정보화를 위해 5년 단위의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부처별 정보화시행계획에 대한 사업과 예산을 계획한다. 국정과제를 비롯한 국가정보화의 상위 정책과 기획재정부의 예산 관점, 정보화 총괄부서인 미래창조과학부의 관점이 달라 국가정보화시행계획이 효과적으로 검토되지 못하고 있다. 정보화시행계획과 관련한 다양한 관점과 검토 사항을 EA 프레임웍 사상과 기법을 적용하여 검토 프로세스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공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항목 개발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for Each Stage of Public Informatization Projects Implement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33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사업의 성과는 직접적으로 하나의 효과만을 발생시키지 않고 다양한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의 성과로 발생된다는 점에서 정보화사업의 추진단계를 사업추진 전(前) 단계(사전평가), 사업추진 진행단계(진행평가), 사업추진 완료 후 운영단계(사후평가)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정보화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화사업 추진단계별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추진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개발은 정보화사업 평가항목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외 공공부문에서 실제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도출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의 중점연구대상 정보화사업인 문화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각 단계별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으로는 사전평가에서는 사업추진 계획영역의 비용산정적정도, 사업적 타당도, 전략적 타당도, 위험도분석, 추진계획적정도의 5개의 평가항목으로, 진행평가에서는 사업추진 실행영역의 사업추진효율성, 자원관리적정도, 아웃소싱관리적정도 등 3개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후평가에서는 정보시스템 구축성과 영역의 경우 시스템품질, 정본품질, IS 서비스 품질을, 정보시스템 운영성과 영역은 시스템의 활용도와 사용자 만족도를, 조직 및 경영성과 영역은 사업적 기여도와 전략적 기여도를 각각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각 평가항목별 세부 평가항목을 함께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