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modal distribu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히스토그램 분포 분류를 통한 효율적인 세포 이미지 분할 시스템 (An Efficient Segmentation System for Cell Images By Classifying Distributions of Histogram)

  • 조미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31-436
    • /
    • 2014
  • 세포 분할 작업은 세포 이미지의 배경으로부터 세포 영역을 추출하는 작업으로 배양과정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를 이미지화하여 분석하는 바이오 이미징 분야에서 기초적인 작업들 중 하나이다. 선명한 이미지의 경우 바이모덜 히스토그램 분포를 가지므로 Otsu와 같은 전역임계값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쉽게 세포분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희미한 이미지의 경우는 정확한 세포 분할을 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세포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히스토그램 분포에 따라 분류한 후 바이모덜 분포를 가지는 이미지의 경우 전역임계값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유니모덜 분포를 가지는 이미지의 경우 영역을 분할하여 부분 영역별로 다른 임계값을 적용하는 새포 분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바이모덜 분포를 가지는 세포이미지 뿐만 아니라 유니모덜 분포를 가지는 세포 이미지에 대해서도 정확한 세포 분할 작업을 수행하였다.

경사제의 다중 파괴모드에 대한 신뢰성 해석 (Reliability Analysis of Multiple Failure Modes of Rubble-Mound Breakwaters)

  • 이철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37-147
    • /
    • 2008
  • 다중 파괴모드에 대한 경사제 제체의 시스템적 안정성을 신뢰성 이론으로 해석하였다. 먼저 경사제의 안정성과 관련된 네 개의 단일 파괴모드에 대한 신뢰함수가 수립되었다. 각각의 단일 파괴모드에 대한 AFDA 신뢰성 해석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CIAD(1985)의 결과와 비교하여 만족스럽게 검증하였다. 단일 파괴모드에 대한 신뢰성 해석에서는 파괴확률 뿐만 아니라 파괴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각 확률변수들의 영향계수를 산정하였다. 한편 경사제의 다중 파괴모드에 대한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세 가지, 일차해석법, 이차해석법 그리고 PNET, 해석법이 적용되었다. 해석 결과에 의하면 일차해석법은 파괴확률을 과다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다중 파괴모드를 해석할 때는 각 파괴모드간의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이차해석법이나 PNET 해석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파괴모드간의 상관성에 기인하는 파괴확률의 추가적인 발생 가능성을 다중 파괴모드 해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수중의 구형 탄성 몰수체를 둘러싼 기포층에 의한 삽입손실 (Insertion loss by bubble layer surrounding a spherical elastic shell submerged in water)

  • 이근화;이철원;박철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4-18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내부 유체를 갖는 수중에 몰수된 탄성 쉘이 기포층으로 둘러싸여 있을 때의 음향 방사를 모드 이론을 이용해 연구했다. 전 방향성의 점음원이 내부 유체의 중심에 위치해 있고 음향 소음원으로서 사용되었다. 모드 해의 미지수는 매질 사이의 경계조건으로부터 계산된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모드 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드 해의 규격 기법이 사용되었다. 기포 층은 Commander와 Prosperetti의 유효 매질 이론에 기반하여, 단일 모드 분포, 균일 분포, 정규 분포, 멱함수 분포를 이용해 각각 모의되었다. 각각의 기포 분포에 대해 삽입손실이 주파수에 대해 계산되었다. 추가적으로 공극비, 탄성 쉘의 매질 특성, 탄성 쉘과 기포층의 간극의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광양만내의 현장 부유입자물질 분포와 거동 (Distribution and Behaviors of In-Situ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of Gwangyang Bay)

  • 이병관;김석윤;조현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5
    • /
    • 2010
  • The concentration and size analysis of in-situ suspended particulate material were measured using an optical instrument, LISST-100, in the bottom layer at the three inlets of the Seomjin River Estuary, mouth of Gwangyang bay, and Gwangyang bay-side of the Namhae Bridg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nd mouth of Gwangyang bay-side of the Namhae Bridge, the in-situ mean grain size of the suspended material changed from a uni-modal distribution with a dominant peak at a coarse fraction to a bi-modal distribution with a secondary peak at the finer particles. Seomjin River. The interactions between suspended particulate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depended on the supply of finer and coarser particles in the mouth of Gwangyang Bay and Seomjin River. So, interactions reflected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mean size and sorting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The difference of interaction showed dynamic behaviors to the resuspension and deflocculation processes increased river discharge. This showed that it may be possible to us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suspended particle concentration and beam attenuation coefficient to monitor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in-situ particles.

섬진강하구에서 부유물질의 분포와 거동 - 풍수기와 평수기의 비교 - (The Distribution and Behaviors of Suspended Matters in Seomjin River Estuary - Compared with Rainy and Wet Season -)

  • 김석윤;이병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35-942
    • /
    • 2009
  • During period of the rainy season of spring tide Aug. 2005,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rate from Seomjin River increased ten times as high as neap tide of low river discharge. During ebb tide of high terrestrial input, the grain size of suspended particles of both surface and bottom layer of the water column, showed a uni-modal distribution with a dominant peak at coarse fraction, which suggests a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floc-sized particles of low mean effective density. On the contrary, the particles supplied toward upstream of Seomjin river from Gwangyang Bay during flood tide showed a bi-modal distribution with a secondary peak at finer fraction, possibly due to the resuspension and the deflocculation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shear velocity at near bottom. Break-up of large flocs is also suggested by the increased mean effective density. However, settling velocity was lower during flood tide because of smaller grain size. Thus, net deposition of suspended sediment is expected at within Gwangyang Bay instead of upstream of Seomjin River, even though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rate at near bottom water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at surface water during flood tide.

(K0.5Na0.5)NbO3 세라믹스의 초기 분말 입도 분포가 소결체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K0.5Na0.5)NbO3 Powders on Microstructure of Their Sintered Ceramics)

  • 유일열;최성희;조경훈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7-65
    • /
    • 202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initi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of (K0.5Na0.5)NbO3 powders on the microstructure of sintered ceramics was investigated. (K0.5Na0.5)NbO3 powders with uni-, bi-, tri-, and quad-modal PSDs were obtained through a planetary ball-mill. For the specimens sintered at 1080℃, the growth of abnormal grains was promoted from the powders exhibiting quad- and tri-modal PSDs with a high content of large particles, resulting in a microstructure in which huge abnormal grains were predominant. However, as the number of peaks in PSD and the overall particle size decreased, the abnormal grain growth was suppressed and the grain growth of small particles started, resulting in a microstructure with a uniform grain size. For the specimens sintered at 1100℃, huge abnormal grains were not observ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critical driving force for 2D nucleation even when powders with quad- and tri-modal PSDs were used. It was confirmed that when powder with unimodal PSD was used, a uniform microstructure tha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ntering temperature could be obta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microstructure of (K0.5Na0.5)NbO3-based ceramics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the initial powder.

수축공극크기분포를 이용한 지반의 수리학적 물성치 산정 (Estimating Hydraulic Properties of Soil from Constriction-pore Size Distribution)

  • 신호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27-34
    • /
    • 2022
  • 지반내 물의 흐름은 입자 사이의 공극 분포에 의존하므로 입자의 크기를 이용한 수리학적 물성치의 예측은 정확도가 낮다. 본 논문은 Silveria의 방법을 이용하여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수축 공극크기분포를 산정하고, 포화-불포화 수리학적 물성치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입도분포가 양호한 흙은 단봉의 공극크기분포를 보이고, 입도분포가 불량한 흙은 쌍봉의 공극크기분포를 보였다. 공극크기분포를 이용한 이론적 포화투수계수 모델식 중에서 Marshall 모델이 실내실험결과와 가장 부합되었다. 불포화토 수리해석에 필요한 함수특성곡선과 불포화투수계수에 대한 모델식을 공극크기분포를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개발된 모델식을 다양한 흙에 적용하여 수리학적 물성치의 예측에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수원지역 분진의 입경별 이온성분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Ionic Components in Size-resolved Particulate Matters in Suwon Area)

  • 오미석;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6
    • /
    • 200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ir quality trends of ambient aerosol with obtaining size-fractionated information.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were continuously collected on membrane filters and glass fiber filters by an 8-stage cascade impactor for 2 years (Sep. 2005 $\sim$ Sep. 2007) in Kyung Hee University-Global Campus. 8 ionic species ($Na^+$, ${NH_4}^+$, $K^+$, $Mg^{2+}$, $Ca^{2+}$, $Cl^-$, ${NO_3}^-$, and ${SO_4}^{2-}$) were analyzed by an IC after performing proper pretreatments of each sample fil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levels of each ion were $9.24{\mu}g/m^3$ of ${SO_4}^{2-}$, $7.35{\mu}g/m^3$ of ${NO_3}^-$, $2.81{\mu}g/m^3$ of ${NH_4}^+$, $2.11{\mu}g/m^3$ of $Ca^{2+}$, $1.65{\mu}g/m^3$ of $Cl^-$, $1.87{\mu}g/m^3$ of $Na^+$, $0.80{\mu}g/m^3$ of $Mg^{2+}$, and $0.54{\mu}g/m^3$ of $K^+$,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Na^+$, $Mg^{2+}$, $Ca^{2+}$, $Cl^-$, and ${NO_3}^-$ was bi-modal and two peaks appeared in the range of $0.4{\sim}0.7{\mu}m$ and $3.3{\sim}4.7{\mu}m$,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SO_4}^{2-}$, ${NH_4}^+$, and $K^+$ showed patterns of uni-modal distribution, mostly abounded in the fine mode group.

균일분포의 파레토 최적해 생성을 위한 다목적 최적화 진화 알고리즘 (Evolutionar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lgorithms for Uniform Distributed Pareto Optimal Solutions)

  • 장수현;윤병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7호
    • /
    • pp.841-848
    • /
    • 2004
  • 진화 알고리즘은 여러 개의 상충하는 목적을 갖는 다목적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특히, 파레토 지배관계에 기초하여 개체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파레토 기반 진화알고리즘들은 그 성능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화된 다목적 최적화 진화알고리즘은 복잡한 문제들에서 찾아진 해들의 분포가 전체 파레토 경계면에 대하여 균일하지 못하고 특정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해를 생성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목적 최적화 진화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현재까지 찾아진 최적해들 중 특정 지역에 관중되지 않은 해를 우수 종자로 복제 연산에 참여시킨다. 따라서 특별한 지역탐색 기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종자가 되는 개체 주위에 새로운 개체를 생성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지역탐색의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비교적 고른 분포의 파레토 최적 해를 생성한 수 있다. 5개의 테스트 함수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모든 문제에서 전체 파레토 경계면에 균일한 분포의 해들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많은 지역해를 가지는 문제를 제외한 모든 문제에서 NSGA-II보다 우수한 수렴 결과를 보였다.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증발산량(蒸發散量) 분석(分析) (Poential evapotranspiration analysis of suweon area)

  • 신용화;황계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5
    • /
    • 1976
  •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잠재적(潛在的) 증발산량(蒸發散量)을 파악(把握)하고 또 그의 합리적(合理的)인 산출방법(算出方法)을 기존공식(旣存公式)에서 찾기 위(爲)하여 1964년(年)부터 1973년(年)까지 10개년간(個年間)에 걸쳐 조사(調査)된 기상자료(氣象資料)를 토태(土台)로 Blanney-Criddle을 비롯한 Thornthwaite, Penman, Jensen-Haise, Truc 공식(公式)을 적용(適用)하여 잠재적(潛在的) 증발산량(蒸發散量)을 산출(算出)함과 동시(同時) 이들을 상호(相互) 비교(比較)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잠재적 증발산량(蒸發散量)은 성하기(盛夏期) 7, 8월(月)을 정점(頂點), 동기(冬期) 1월(月)과 12월(月)을 기점(基點)으로 한 uni-modal distribution을 하고있으며 Blanney-Criddle 공식(公式)에 의(依)한 연증발산량(年蒸發散量)은 1,377mm 그리고 다른 네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연증발산량(年蒸發散量)은 714mm에서 896mm 범위(範圍)에 있다. 2. Blanney-Criddle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증발산량(蒸發散量)은 다른 네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것 보다 많은 한편 다른 네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증발산량(蒸發散量) 간(間)에는 대동소리(大同小異)하다. 그러나 이들 네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증발산량(蒸發散量)의 평균치(平均値)와 Blanney-Criddle 공식(公式)의 증발산량(蒸發散量)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있다. 3.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증발산량(蒸發散量)과 기존(旣存)에 표발(表發)된 수도(水稻)에 대(對)한 실제적(實際的) 증발산량(蒸發散量) 간(間)의 관계(關係)에 있어서 Blanney-Criddle 공식(公式)을 기준(基準)으로 할 경우(境遇) 일반품종(一般品種)에는 보정계수(補正係數) 0.8 그리고 통일품종(統一品種)에는 1.0을 대입(代入)하므로서 양자간(兩者間)에는 근사(近似)한 치(値)를 갖게되며 다른 네 공식(公式)의 평균치(平均値)를 기준(基準)으로 할 경우(境遇) 일반품종(一般品種)에는 1.2 그리고 통일품종(統一品種)에는 1.5를 대입(代入)하므로서 상호근사(相互近似)한 치(値)를 갖게된다. 따라서 수원지방(水原地方)의 잠재적(潛在的) 증발산량(蒸發散量)은 Blanney-Criddle과 다른 네 공식(公式)에서 산출(算出)된 증발산량(蒸發散量)의 중간치(中間値)라고 생각된다. 4. 증발산량(蒸發散量) 산출(算出)에 있어서는 공식(公式) 상호간(相互間)에 연관성(連關性)이 있으므로 어느 공식(公式)이든 적용(適用)할 수 있으나 Blanney-Criddle에 의(依)한 증발산량(蒸發散量) 산출(算出)은 다른 네 공식(公式)에 비(比)하여 간단(簡單)하고 용이(容易)하므로 Blanney-Criddle 공식(公式)에 보정계수(補正係數)를 조정(調整)하여 활용(活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