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gaged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Fuzzy 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한 평창강 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Design Flood Estimation for Pyeongchang River Basin Using Fuzzy Regression Method)

  • 이재응;김승주;이태근;지정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0호
    • /
    • pp.1023-1034
    • /
    • 2012
  • 선형회귀분석기법은 오랫동안 수공학분야뿐만 아니라 경제학, 통계학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Fuzzy 회귀분석기법은 자료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이를 정량화하여 회귀분석 모형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강 유역의 임의 지점에서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fuzzy 회귀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평창강 유역과 같은 산지하천 유역은 관측소의 부재로 홍수유출해석에 필요한 자료의 습득이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특성인자를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미계측 산지유역에서 설계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검토하였다. Fuzzy 회귀분석기법을 산지하천 유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IHP 시험유역 운영을 통하여 비교적 강우와 유량자료가 잘 수집되어 있는 평창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평창강 유역에 대해서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하여 fuzzy 설계홍수량 산정식을 개발하였고, 유역의 본류를 따라 위치하고 있는 9개의 지점에서 산정된 빈도홍수량과 비교하여 개발된 산정식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Fuzzy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지역회귀분석을 수행한다면 자료 관측에서 발생하는 빈도홍수량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고, 불확실성의 전파를 파악할 수 있다.

Saint-Venant 공식(公式)에 의한 개수로(開水路)의 지하수성분(地下水性分) 추적(追跡) (Routing of Groundwater Component in Open Channel)

  • 김재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3-32
    • /
    • 1988
  • 미계측유성(未計測流城)에서의 시간별 강우(降雨)로부터 부분침투천하(部分浸透川下)의 비피압대수층내(非被壓帶水層內)의 지하수(地下水)흐름에 기여하는 침투량과, 이로 인(因)하여 발생되는 하천수로상(河川水路上)에서의 시간별 기저유량(基底流量)의 동시적(同時的) 결합(結合)이 지형도(地形圖)나 토양도(土壤圖)부터 획득된 수리(水理) 및 수문(水文) 특성인자(特性因子)들에 의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지하수(地下水)흐름과 이의 개수로상(開水路上)의 흐름추적은 Boussinesg의 비선형방정식(非線形方程式)을 선형화(線形化)한 기법(技法)과 St. Venant의 간편화 공식을 각각 이용하므로써 결정되어졌다. 이의 해(解)를 위한 유출모형(流出模型)은 전류성(全流城)을 분할한 분포모형(分布模型)을 사용하였으며, 수치해법(數値解法)은 운동파방정식(運動波方程式)의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수문지질(水文地質)의 다변성(多變性)에 따른 수문곡선분리(水文曲線分離)의 합리성(合理性)은 물리적(物理的)으로 바탕을 둔 지하지표수(地下地表水)의 모형을 개발하므로써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提案)된다. 본 연구의 실하천유역(實河川流域)에 대한 적용 예로서는, 금강수계내(錦江水系內) 지류(支流)인 보청천유역(報靑川流域)을 선정(選定)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본(本) 기법(技法)은 미계측유역에서의 강우의 지하침투량에 의한 기저유량을 모의발생(模擬發生)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UH)에 의한 강우-유출해석 (A Study on Rainfall-Runoff Analysis by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 최흥식;박정수;문형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미계측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학적 매개변수를 얻어 유도된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에 의한 강우-유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횡성댐 상류 섬강시험유역에서 얻어진 실측자료를 사용하였고, 직접유출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변기울기법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4차 하천유역인 섬강시험유역은 Horton-Strahler의 차수법칙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발달한 수계임을 확인하였다. GIUH의 사용에 따른 섬강시험유역의 규모계수 결정식의 변형을 하였고, 유출특성속도는 1.0m/s으로 나타났다. 4차 하천유역인 섬강시험유역의 출구인 매일교수위국과 3차 하천유역의 출구인 소군교와 농거리교수위국에서의 GIUH에 의한 수문곡선은 첨두시간이후의 유역의 저류능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실측값과의 비교에서 잘 일치하였다. 아울러 유역을 보다 세분화하여 적용한 GIUH모형에 의한 수문곡선을 상류유입수문곡선으로 하여 HEC-HMS를 이용하여 수문 추적한 결과가 전체유역을 대상으로 한 GIUH모형에 의한 수문곡선보다 실측치에 잘 일치하였다. 전반적으로 GIUH에 의한 강우-유출해석은 미계측 유역에 사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천유역에서 GIS를 이용한 GIUH 모형의 해석 (Analysis of GIUH Model by Using GIS in River Basin)

  • 허창환;이순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321-330
    • /
    • 2002
  • 본 연구는 미 계측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S-GIUH)를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IHP 위천대표시험유역의 6개지점(동곡, 고로, 미성, 병천, 효령, 무성)에 대하여 강우-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지형학적 순간단위도의 분석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GIS-GIUH 모형과 Rosso-GIUH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실측유출수문곡선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GIS-GIUH 모형이 Rosso-GIUH 모형보다 실측수문곡선에 더욱 접근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GIS-GIUH 모형의 매개변수인 N=3.25( $R_{B}$/ $R_{A}$)$^{0.126}$ $R_{L}$$^{-0.055}$과 K=1.50( $R_{A}$/( $R_{B}$. $R_{L}$))/$^{0.10}$.(( $L_{{\Omega}}$+ $L_{{\Omega}-1}$)/V)$^{0.37}$을 지형특성의 관계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GIS-GIUH 모형이 미계측 유역에서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되었다.

중소유역의 일별 용수수급해석을 위한 하천망모형의 개발(III) -하천망모형의 검증과 적용- (A Streamfiow Network Model for Daily Water Supply and Demands on Small Watershed (III) -Model Validation and Applications-)

  • 허유만;박승우;박창헌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35
    • /
    • 1993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validate the proposed network flow model using field data and to demonstrate the model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e model was tested with data from the Banweol watershed, where an intentive streamflow gauging system has been established. Model parameters were not calibrated with field data so that it can be validated as ungaged conditions. Three different schemes were employed to represent the drainage system of the tested watershed : a single, complex, and detailed network. The single network assumed the watershed as a cell, while complex and detailed networks considered several cells. The results from different schemes were individually compared satisfactorily to the observed daily stages at the Banweol reservoir located at the outlet of the watershed. The results from three schemes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each other, Justifying that the model performs very well for different network schemes being used. Daily streamflow from three network schemes was compared for a selected reach within the watershed. The results were very close to each other regardless of network formulation. And the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daily streamflow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a reservoir at a reach. The differences were discussed, which reflected the influences of the dam construction upon the downstream hydrology. Similar appliocations may be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s of hydraulic structures on streamflow.

  • PDF

Water Balance and Flushing Time in the Restricted Indian River Lagoon (IRL), Florida USA

  • Kim, Young-Tae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75-87
    • /
    • 2003
  • The water balance calculation in the IRL shows that fresh groundwater discharge is the primary factor, with surface runoff from gaged and ungaged areas as the second freshwater contributor. Precipitation and evaporation are almost in balance fer the entire IRL. Due to high freshwater discharge from ground-water, the annual net flow is outward from the IRL to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Atlantic Ocean resulting in a relatively short flushing time, denoted as $T_{0.5}$ (50% flushing time) and $T_{0.99}$ (99% flushing time). $T_{0.5}$, and. $T_{0.99}$ without a tidal effect in the Northern IRL are 17 and 114 days, respectively, during the dry season. During the wet season, they are 10 and 65 days, respectively. Tidal flushing effects are considered in central IRL due to the proximity to Sebastian Inlet. In the Northern Central zone during dry season, $T_{0.5}$, and. $T_{0.99}$ are 6 and 43 days, respectively and during the wet season 5 and 33 days. In the Southern Central zone they are 2 and 16 days for the dry season,2 and 15 days for the wet season. High groundwater seepage into the IRL is considered to be a positive effect in maintaining relatively good water quality condition even with few narrow inlets.

연유출량 추정모형의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 이상훈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51-62
    • /
    • 1993
  • 연유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직접적인 인자는 강수량인데 회귀분석을 이용한 이전의 연구에서는 유출률이 20% 미만 또는 100% 이상인 경우에는 강수와 유량자료는 이상점(outlier)으로서 분석에서 제외시킨 결과 강수량은 독립변수로서 의의가 없고 대신 유역면적을 중요한 독립변수로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률대신 (연강수량-연유출량)을 연증발산량의 좋은 추정치로 간주하고 우리나라에서 가능한 연증발산의 범위를 벗어나는 자료를 제외시키고 회귀분석을 한 결과 수문학적인 이론에 부합되며 결정계수가 높은 다음과 같은 회귀분석식을 얻었다. R=-518.25+0.8834P 단, R: 유출고(mm) P: 연강수량(mm) 이 회귀분석식은 cross-validation을 거친 결과 계수가 매우 안정되어 있어서 우리나라의 미계측 중소수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연유출량 추정모델로서 제안한다.

  • PDF

선형유출모형(線型流出模型)의 매개변수추정(媒介變數推定) (Parameter Identification for Linear Runoff Model)

  • 윤태훈;전시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79-86
    • /
    • 1986
  • 개념유출모형(槪念流出模型)인 모형(模型)의 매개변수(媒介變數) n, k는 유성면적(流城面積)이 $53.7{\sim}1,361km^2$의 범위에 있는 18개 유역의 강우(降雨)-유출자료(流出資料)로부터 모멘트방법에 의하여 추정(推定)된다. 이들 n, k는 F-test와 더불어 복합상관방법(複合相關方法)에 의하여 유성특성(流城特性) 인자(因子)들만의 함수로 유도된다. 유도된 매개변수(媒介變數)들은 한강(漢江), 금강(錦江) 및 낙동강유성(洛東江流城)에 적용하여 계산된 수문곡선(水文曲線)과 실제자료(實際資料)로부터 유도한 수문곡선(水文曲線)은 비교적 잘 맞았으며, 이는 유성특성(流城特性)만으로 미계측소유성(未計測小流城)의 강우(降雨)-유출자료(流出資料)의 가능(可能)함을 시사한다.

  • PDF

미계측 유역의 부유물질 산정을 위한 다중회귀식 개발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Estimation of Suspended Solids in Unmeasurable Watershed)

  • 최한규;박재용;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A호
    • /
    • pp.119-12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quantitatively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had the largest effect on the changes in suspended solids(SS), which would cause turbid water phenomenon, among water quality factors of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and then to develop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SS and predict the water quality of ungaged watershed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SS which flow in rivers and lake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SS with the amount of rainfall and the state of land use,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Final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ide that SS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amount of rainfall, paddy fields and dry field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amount of rainfall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s in SS, followed by dry fields and paddy fields. In addition,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to predict SS in unmeasurable watersheds.

  • PDF

하천 홍수량의 크기 및 빈도 결정 (A Determination of Magnitude and Frequency of River Floods)

  • 노재식;이길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41-15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6개 관측점 (T/M국)에 대하여 단기간 기록년수의 홍수량 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기초된 홍수빈도해석모형인 POT모형에 적용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함으로써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함과 아울러 하천유역의 지점별 홍수량의 빈도 및 크기를 추정하였고, 미계측 유역에서 수공구조물의 계획설계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설계 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통계학적 지역화 모형의 개발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