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veloped Park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국립공원 인공림 식생구조 및 생태적 천이 유도를 위한 간벌 밀도 연구 - 치악산, 속리산, 덕유산, 내장산을 사례로 -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 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n, and Naejangsan -)

  • 김종엽;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4-619
    • /
    • 2012
  • 독일의 산림미학(숲미학)과 영국의 산림디자인 개념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립공원 인공림도 단계별로 생태적 복원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국립공원 인공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여 생태적 천이를 유도하기 위한 식생유형별 간벌 밀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립공원 중 치악산, 속리산, 덕유산, 내장산에 분포하는 잣나무림, 전나무림, 편백림, 은사시나무림, 일본잎갈나무림 등 인공림 8개소와 소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등 자연림 3개소 등 총 11개소에 $20m{\times}20m(400m^2)$ 크기의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인공림을 천이미발달형, 외래종치수발달형, 천이초기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종다양도(H')는 천이미발달형 0.9681~1.1323, 외래종치수발달형 1.0192~1.1870, 천이초기형 1.3071~1.3892, 자연림 1.2202~1.3428로 침엽수 단일수종 위주의 단층구조의 인공림보다 천이초기형 인공림과 다층구조의 자연림의 종다양도가 다소 높았다. 단계별 간벌 밀도는 30~60% 범위로 하되, 천이미발달형은 외래종 우점치가 88~90%로 높으므로 대경목부터 3단계에 걸쳐 간벌하고, 외래종치수발달형은 외래종 우점치가 60~97%로 높고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치수가 발달하고 있어 조기에 외래종 치수를 제거하고 1단계 또는 2단계에 걸쳐 간벌하며, 천이초기형은 외래종 우점도가 30% 이하로 자생종과 경쟁하는 외래종을 우선적으로 간벌하고 1단계 또는 2단계에 걸쳐 간벌할 것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녹지평가 및 계획방향 - 대구광역시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f Green Spaces and Direction of Master Plan for Urban Parks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Donjibong Park in Daegu -)

  • 이우성;장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 동구의 미조성공원인 돈지봉공원을 대상으로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 녹지평가를 실시하고, 계획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녹지 기능에 따른 13개 지표를 토대로 녹지공간을 평가하였으며, 종합적 녹지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자연생태 및 환경조절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공원 중앙지역을 따라 높은 점수가 나타난 반면, 공원 경계지역 및 포장지역에서는 낮은 점수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남동쪽의 녹지는 주거지역과의 인접성으로 인해 높은 점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돈지봉공원에 대한 종합적 녹지 평가 결과, 공원의 중앙지역은 자연생태 및 환경조절적 기능이 우수하게 나타나 종합점수가 높게 평가되었고 반면, 공원 가장자리의 시설지역 및 경작지는 낮게 평가되었다. 종합 평가 결과를 토대로 계획방향을 설정한 결과, 계획공간은 보전공간, 복원공간, 완충공간, 환경감시 초소 및 전망대, 탐방로, 시설공간, 수변녹지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이에 따른 구체적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향후 미조성 공원과 같은 신규 공원 조성시 객관적인 계획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lfite on Chl Fluorescence in Barley(Hordeum vulgare L.) Seedlings in Light and Dark

  • Sook, Chung-Hwa;Park, Kang-Eun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1호
    • /
    • pp.11-21
    • /
    • 1999
  • The effect of sulfite on barley seedlings was investigated through Chl content, the electron transport activity of the photosystem, and Chl fluorescence. Barley leaves were harvested every 12 hrs during greening periods, and were then treated with a sulfite solution in either light or dark conditions. In both cases, the Chl content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ny greening period. After sulfite treatment in the light, the activity of PS I decreased slightly, yet that of PSII showed a decrease of about 15%. The values of Fv, qP and qE decreased, however, the value of ql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addition, the value of qE decreased in leaves greened more than 12 hr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This indicates that the photosynthetic complex involved in energy dependent fluorescence quenching is undeveloped in a 12 hrs greened leaf, accordingly, it was a hardly affected by sulfite. After sulfite treatment in the dark, the activities of PSII and PSI decreased slightly,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of Fv, qP decreased, and qE and the ratio of qNP/q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s a result, PSII and PSI were not inhibited, however, the redox of QA was inhibited, and the excited energy was lost through the nonphotochemical pathway. The effects of sulfite in light or dark conditions were not considerably different with the Chl fluorescence quenching analysis method. In both light and dark conditions, the value of qP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sulfite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his implies that the redox of QA was inhibited by sulfite in both light and dark contions.

  • PDF

건축물의 LCC Database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 Cycle Cost Database in Building)

  • 전찬민;우경헌;김중헌;김경업;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37-540
    • /
    • 2003
  • 우리나라에 LCC 개념이 도입된 이후에, LCC 분석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더불어 LCC의 정확하고 합리적인 분석을 위한 LCC 분석 전산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 사례에서 LCC 분석 모델들이 제시되었으나, 범용적으로 LCC 분석시 활용이 가능한 Database의 구축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LCC 분석 전산화를 위한 범용적 Database의 구축을 제안한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의 진행단계를 기획${\cdot}$설계단계 - 건설단계 - 운용${\cdot}$관리단계 - 폐기${\cdot}$처분단계의 4단계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소분류 비용항목을 도출하고, 소분류 비용항목의 LCC 분석을 위한 DB구축을 위하여, 단가DB, 변수DB, 일반DB, 부위별${\cdot}$재료별 DB를 구축하여 LCC의 정확하고 합리적인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범용적 Database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문화분야 ODA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 연구 - 문화체육관광부와 KOICA 중심으로 (The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search in a Cultural Field of ODA : Focusing on MCST and KOICA)

  • 백소연;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7-67
    • /
    • 2016
  • ODA란 개발이 덜된 국가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여국의 공적개발원조이다. 2000년대에 들어서 ODA의 패러다임은 경제원조에서 문화원조로 전환되기 시작했다. 문화분야 ODA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은 수원국 주민 개개인의 창조성 개발과 문화적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제 사회 내에서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한국의 문화분야 ODA 통계나 분석 등의 구체적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분야 ODA의 다음 연구들을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만들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KOICA 의 문화분야 ODA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수원국의 전통문화 보존, 문화유산 보호와 개발은 빈곤 감소와 문화 발전의 토대가 되고 세계 인류애와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여국과 수원국의 동반자적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커뮤니티 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웹 기반 PPGIS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PPGIS Prototype for Community Regeneration Project Support)

  • 박유리;고준환;안형준;서창완;김근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59-169
    • /
    • 2009
  • 주민참여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도시계획에서도 주민과 함께 하는 계획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GIS도 주민과 같은 비전문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확대되어 활용되고 있다. 한편, 낙후된 도시를 정비하는 방법으로 새로이 등장하게 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주민참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커뮤니티를 재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현행 주민참여방식은 형식적 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에서 능동적 주민참여를 이끌어 내고자 사업정보제공서비스, 주민의사반영 서비스, 쌍방향적 의견교환서비스, GIS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웹 기반 PPGIS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프로토타입으로 개발하였다.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웹 기반 PPGIS 모델은 정책결정자, 전문가 그리고 주민이 서로의 생각을 교환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의사소통 도구가 되어 주민의 참여도를 높여 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정자의 미세구조 (Sperm Ultrastructure of Rana nigromaculata and Rana catesbeiana)

  • 이정훈;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32-41
    • /
    • 2005
  • 본 연구는 개구리과 (Ranidae)에 속하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에 대한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의 정자 모두 두부의 형태는 긴 원통형이었다. 정자의 전체길이는 참개구리 ($51.2{\mu}m$)가 황소개구리($44.6{\mu}m$) 보다 더 길며, 이들 두 종 모두는 긴 머리와 매우 짧은중편부 및 아주 긴 주편부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두 종 모두 핵내에는 글리코겐 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경부 (Neck)는 잘 발달되어져 있지 않은 반면, 축사구조는 9+2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 수는 포유동물 정자의 그것에 비해 매우 적으며, 축사를 중심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감겨져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정자두부, 경부 및 중편부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의 위치와 축사구조가 매우 유사함으로 이들 두 종은 유연관계가 깊은 군이라 여겨진다.

근대시기 일본의 국어과(國語科)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Depiction of Korea in Pre-Modern Japanese language Textbooks of Japan)

  • 박소영;정재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58-466
    • /
    • 2015
  • 이 글은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 기술된 한국을 분석하여 당시 한국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국정교과서제도가 시행되었던 제1기(1904년)부터 제5기(1945년)까지의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근대 일본의 국어교과서에서 한국관련 내용은 신공황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속, 인삼, 서울과 시골풍경 등의 내용으로 요약 가능하다. 신공황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통하여 한국은 수동적인 약소국의 이미지가 부여되었다. 또한 온돌, 의복, 의례 등 일본과 다른 문화를 지닌 한국을 소개하기도 하였으나, 짐을 실어 나르는 말과 비위생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전근대적인 측면을 부각하고 조선총독부와 일제에 의해 신축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서울을 묘사함으로써 식민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조선의 시골 모습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통하여 내선일체를 유도하였다

Krigia속의 과피의 해부학적 구조와 분류학적 의미 (Fruit wall anatomy of the genus Krigia (Asteraceae, Lactuceae) and their taxonomic implications)

  • 이복원;박지극;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1-333
    • /
    • 2004
  • Krigia속 7종 모두와 근연속인 Nothocalais cuspidata 1종에 대해 과피 해부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추론하였다. 과피 해부학적 형질 중 과피의 모양, 늑의 수는 Krigia속 모든 종이 같은 형질을 공유하고 있으나, costa 의 모양, costa와 intercosta에서 중과피를 이루는 libriform 섬유세포와 fiber-sclereid 세포층의 수와 이들 세포층의 발달정도가 종간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Krigia biflora, K. cespitosa, K. occidentalis와 K. wrightii는 costa와 intercosta에서 libriform 섬유세포가 잘 발달되어있는 반면에 K. dandelion, K. montana와 K. virginica는 잘 발달되어있지 않고, 대부분 fiber-sclereid 세포로 이루어져있다. 이전 분류체계에서 Krigia 절에 속했던 K. biflora는 과피 해부학적 형질상의 차이로 볼 때 Cymbia절에 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동토 시료의 열적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rmal Characteristics of Frozen Soil Samples)

  • 김세원;박상영;원종묵;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1-40
    • /
    • 2022
  • 최근 건설시장의 다각화와 미래 에너지 자원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미개발된 에너지 자원(석유, 천연가스 등)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는 극한지(북극권) 개발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극한의 기후로 인한 동토 지반의 침하나 동상 등의 문제가 항상 발생하기 때문에 지반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열적 특성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토 지역에서 지반동결과 관련된 문제들을 평가하고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캐나다 앨버타주 오일샌드 매장 지역의 동토 시료에 대한 열적 특성을 국내 시료와 비교·분석하였다. 일련의 실내 실험을 통해 동결온도에 대한 시간에 따른 부동 수분량을 측정하여 흙의 종류와 동결온도가 부동 수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토양의 잠열, 열용량 및 열전도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비동결 조건에 대한 열전도도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동결 완료 후 온도별로 상이한 부동 수분량과 열전도도 특성은 동토 지역 동결온도가 동토의 역학 거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