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sirable outputs mode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for the Domestic Container Terminals Considering Carbon Dioxide Emissions)

  • 심민섭;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69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탈탄소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2050 탄소중립'이 글로벌 의제로 부상하였다. 국내 항만공사는 우리나라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과제에 맞추어 세계적인 탄소중립 규제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항만에서 탈탄소화가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2010년대 이후로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하여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 기준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였으며, Tier 3 기준에 따라 효율성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7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대상으로 Tier 3 방식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 지표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DEA-SBM 모형과 Undesirable Outputs 모형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유해산출물 고려 전후의 효율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 PDF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서울시 간선버스노선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Efficiency in the Seoul's Arterial Bus Routes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 한진석;김혜란;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버스 서비스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선행연구에 비해 합리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유익 유해산출물을 모두 반영한 수정 BCC 모형을 이용하여 2009년 서울시 113개 간선버스노선의 효율성을 추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보유비와 총 가동비,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과 타노선과의 중복길이를 사용하여 유익산출물인 총 승객수와 서비스 만족도 점수, 그리고 유해산출물인 CO2 배출량을 산출하는 형태로 상정하였다. 분석결과 유해산출물을 함께 반영한 모형이 유익산출물만을 반영한 모형에 비해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간선버스노선은 총 보유비와 총 가동비, 그리고 타노선과의 중복길이를 평균적으로 약 10% 감소할 수 있으며,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은 약 160%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토빗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보유비와 중앙차로 정류장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확보하였다.

Efficiency Analysis of Spanish Container Ports Using Undesirable Variables and the Malmquist Index

  • Bernal, Maria Listan;Choi, Young-Seo;Park, Sung-Hoon;Yeo, Gi-Tae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0-120
    • /
    • 2022
  • Spain is Europe's second-largest country with total throughput reaching 16.7 million twenty-foot equivalent units (TEU) by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efficiency of 17 container terminals. As a study method, the DEA-CCR model, undesirable variable, and Malmquist Index (MI) were used for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 (1) DEA-CCR is used to evaluate basic efficiency. The most efficient terminals are decision-making units DMU 1 (APM Terminals (Algeciras Port)), DMU 2 (Total Terminal International Algeciras (Algeciras Port)) and DMU 5 (Barcelona Europe South Terminal (Barcelona Port)). (2) Undesirable DEA was conducted to suggest inefficiency from the undesirable output. Overall, the efficiency scores were reduced. However, DMU 1, DMU 2, and DMU 5 maintained efficiency scores regardless of the finish factor. (3) Malmquist Index was used to observe technology and efficiency changes dynamically. The changes in TCI affected Spanish container terminals more than th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Index (TECI) in 2018-2019. However, in 2019-2020, the TECI was 2.706, higher than the TCI value, indicating that the change in TECI had more influence on the increase in productivity. This study offers a broader understanding of Spanish container terminals.

기중기의 흔들림 방지제어 (Anti-sway Control of Crane)

  • 노치원;이광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977-979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o control the undesirable sway of a suspended load in the crane system that has a trade-off between positioning the load and suppressing the sway of the load. The aim is to transport the load to a specified place with small sway angle as quickly as possible. Dynamic model is based on a simple pendulum driven by a velocity drive that is mostly used for actuating a trolley in industry. Proposed algorithm is composed of two parts : one is a off-line optimal trajectory generator, the other on-line tracking control. The former produces optimal trajectories minimizing energy under the speed constraint of velocity drive. The latter controls outputs to track the generated trajectories. Digit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a pilot crane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 PDF

한중간 지속가능발전의 타당성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Feasibility of Eco-efficien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China)

  • 최용록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205-219
    • /
    • 2010
  •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또는 지속가능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연구는 최근 G-20정상회의를 통하여 세계적인 중요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중국 및 신흥국들의 급속한 경제발전과 이에 따른 원자재 부족 및 환경악화로 인한 문제가 단순한 협의안건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생존의 조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특히 강조되는 것은 환경관련의제들이 외부비경제효과를 동반하는 속성상 특정국가나 기업만의 문제가 아닌 인류 사회 전체의 문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엄정한 타당성이 검증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각에서 경제발전과 환경보호라는 외견상 상호 갈등의 소지가 충분한 정책목표상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타당성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지속가능 발전모형을 유도하고 이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실증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점은 무엇보다 기존의 상식적인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경제성장이 환경보호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며, 이를 통해 환경의 외부비경제적 특성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와 정부의 정책적 공조체계가 무엇보다 절실함을 지적하고 있다.

Eco-efficiency Analysis of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 Chen, Minghui;Miao, Jianjun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1호
    • /
    • pp.9-17
    • /
    • 2019
  • Purpose - Urban agglomeration construction is one of national strategic plans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China, which has threatened the eco-environmental quality at the same time. This paper selected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as the research a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the slack-based measurement (SBM) model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is applied to measure the eco-efficiency of this urban agglomerations during 2006-2015. Results -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verage eco-efficiency of the urban agglomeratio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is 0.595. Regional ecological development is unbalanced. The highest eco-efficiency is recorded at Wuhan Metropolitan Area, and the lowest one is at the Changsha-Zhuzhou-Xiangtan City Group. Energy consumption and waste dust emissions are the key factors led to ecological inefficiency. Based on this, potentials for energy saving and waste dust reducing are calculated. Conclusions - Finally,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argeted to promote the coordinating development of economy and eco-environment under the construction of urban agglomeration.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Bank Efficiency in Cross-Strait after ECFA

  • LIAO, Chang She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783-79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CFA impacted the efficiency of banks in China and Taiwan from 2008 to 2017. This study follows Seiford and Zhu (2002), who recommend using the standard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o measure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desirable outputs and decreasing the undesirables. The finding was that overall technical efficiency increased from 2012 to 2017, reaching 0.575, 0.652, 0617, 0.689, 0.701 and 0.74, respectively. This result implies bank efficiency did indeed improve after China and Taiwan signed the ECFA cooperation agreement. The study found that the mean technical efficiency was 0.8756 in China, greater than Taiwan's mean of 0.3511, implying that Chinese banks experienced a greater increase in efficiency after signing the EFCA. One possible reason explored in this study is that China's economy is currently growing at the highest rate in the world, and the banks' efficiency has benefited from greater economic growth. This suggests that cross-strait sustained negotiations to consummate an agreement on trade in the services will be a very important mission in the future. This result also provides significant evidence suggesting that not accounting for undesirable output while estimating the evolution of the model may seriously distort efficiency results.

가중평균 러셀(Russell) 방향거리함수모형을 이용한 은행산업의 비효율성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on Inefficiencies of Korean Banking Industry using Weighted Russell Directional Distance Model)

  • 양동현;장영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7-125
    • /
    • 2019
  • 본 연구는 부실채권을 산출요소에 포함시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금융위기 전후 10년간 자료를 이용하여 가중평균 러셀 방향거리함수 모형(Weighted Rusell Directional Distance Model: WRDDM)에 의해 은행산업의 비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투입산출요소의 비효율성 기여효과를 산출하였으며 이 중 비정상적 유해산출물인 부실채권의 영향이 가장 큼을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은행산업의 비효율성은 연평균 0.3912이며 이 중 무수익여신이 0.1883, 산출요소 0.098, 투입요소는 0.098 순으로 무수익여신의 비중이 가장 컸으며 금융위기 전 비효율성은 0.2995에서 금융위기 후 0.4829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부실책권의 비효율성이 금융위기 전 0.1088에서 금융위기 후 0.2678로 크게 증가한데 기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투입산출 요소 중에서 인력, 총수신액, 투자증권 보다 부실채권인 무수익여신이 은행산업의 비효율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에 은행산업의 기술적 효율성 측정시 정상 산출물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유해산출물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은행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금융환경요인을 가중평균 러셀 방향거리함수모형에 통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OECD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해분석

  • 김광욱;강상목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211-235
    • /
    • 2012
  •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사회 경제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제 이산화탄소 배출의 변화요인을 추정하고 그 영향력을 파악하는 분해분석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2007년의 OECD 27개 국가를 대상으로 방향거리함수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산식을 정의하고 각 요인별 변화효과를 추정하였다. 특히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화석연료와 비-화석연료로 구분하고 각 에너지원에 따른 이산화탄소 변화효과를 계측하였다.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제성장을 경험한 국가는 표본기간내 생산성 하락과 배출집약도 증가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고 규모 확대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압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효율 및 기술 변화요인이 이산화탄소의 저감을 유도하지 못하였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적절한 환경규제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경제성장이 배출집약도의 상승을 유도하고 있고 강력한 환경정책 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제 이산화탄소의 감소를 보이는 국가는 생산성의 성장, 에너지 투입의 효율성 상승, 배출집약도의 하락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비-화석연료의 사용비중 증대와 강력한 환경정책 등으로 인한 환경친화적 생산전환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부분이 환경에 대한 사회 경제적 관심이 높은 유럽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특히 이들 국가는 기술변화에 의한 저감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속도가 빠른 국가에 비해 그 효과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