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lying Disease

검색결과 1,025건 처리시간 0.025초

항생제 치료 중 드레싱과 황기 약침액 도포를 병행하여 호전된 뇌출혈 환자 욕창 1례 (Case Report of Pressure Injury in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Improved by Combining Radix Astragali Pharmacoacupuncture Solution during Antibiotic Treatment)

  • 김근영;이다빈;전선욱;이한결;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7-177
    • /
    • 2023
  • Background: Pressure injuries are localized areas of damage to the skin and/or underlying tissue, usually over a bony prominence due to pressure. Cerebrovascular disease increases the risk of pressure injuries due to the immobility caused by physical paralysis. The general approach to managing a patient with pressure injuries should include pain relief, the treatment of the infection, optimizing nutritional intake, proper positioning, and contamination prevention. Nonetheless, the duration of treatment for pressure injuries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Case report: An 80-year-old female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 developed a pressure injury. To improve the injury faster, a Radix Astragali pharmacoacupuncture solution was applied to the pressure sore. The pressure injury's width, length, and depth was assessed using a ruler, and the exudate amount and tissue types were assessed. Th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35 days. The rate at which the size of the pressure sore lessened increased since the Radix Astragali pharmacoacupuncture solution was applied to the pressure sore. In addition, the tissue type of the pressure injury improved, and the exudates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Tool 3.0, since the Radix Astragali pharmacoacupuncture solution was applied to the pressure injury. Conclusion: This clinical case study suggests that the Radix Astragali pharmacoacupuncture solution might be effective in speeding up the healing of pressure injuries.

COVID-19 기간 동안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마을 주민의 미충족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앤더슨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한 혼합연구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in Rural Populations Using Primary Health Care Posts during the COVID-19: A Mixed Method Study Based on Andersen's Behavior Model)

  • 하영미;김영남;최현경;양승경;고영숙;정미라;이지선;최영미;신은지;김윤경;이고운;정애리;장지희;김다은;김경희;신소영;박송란;임은실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0-9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s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by rural populations in vulnerable area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Andersen's behavior model.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participants in vulnerable rural areas by analyzing qualitative contents through open-ended ques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using Qualtrix, a web-based survey platform. A total of 863 participa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𝑥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unmet healthcare service utilization were type of residential area and underlying disease. The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d; four categories and nine sub-categories.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saster nursing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number of people.

식물 자원을 활용한 염증반응 조절 (Modulation of Inflammation by Plant Resources)

  • 이하늘;성수희;김보람;김진호;서찬;임수아;김정은;정지민;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17-17
    • /
    • 2023
  • Chrysanthemum zawadskii (C. zawadskii) is used in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 However, it has remained unclear whether extracts of C. zawadskii inhibit inflammasome activation in macropha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C. zawadskii (CZE) on the activation of the inflammasome in macrophage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were obtained from wild-type C57BL/6 mice. The release of IL-1β and lactate dehydrogenase in response to nucleotide-binding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such as ATP, nigericin and monosodium urate (MSU) cryst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ZE in lipopolysaccharide(LPS)-primed BMDM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at CZE inhibited ATP-induced caspase-1 cleavage and IL-1β maturation. To investigate whether CZE inhibits the priming step of the NLRP3 inflammasome, we confirmed the role of CZE at the gene level using RT-qPCR. CZE also downregulated the gene expression of NLRP3 and pro-IL-1β as well as NF-κB activation in BMDMs in response to LPS. Apoptosis 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recruitment domain (CARD) oligomerization and speck formation by NLRP3 inflammasome activators were suppressed by CZE. By contrast, CZE did not affect NLR family CARD domain containing protein 4 (NLRC4) or absent in melanoma 2 (AIM2) inflammasome activation in response to Salmonella typhimurium and poly(dA:dT) in LPS-primed BMDMs, resp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key components of CZE, namely linarin, 3,5-dicaffeoylquinic acid and chlorogenic acid, decreased IL-1β secretion in response to ATP, nigericin and MSU.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ZE effectively inhibited activa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 PDF

사례로 본 한방임상에서 양약으로 인한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인식 필요성 (Awareness of the Causes of Drug-Induced Liver Injury: A Case of Hepatotoxicity Resulting from Antipsychotics)

  • 손창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51-756
    • /
    • 2023
  • 목적: 본 연구는 임상에서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는 향정신성 약물이 간독성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임상 예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한의진료현장에서 이에 대한 경각심과 더불어 약인성간손상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임상 예의 논문은 향정신성 약물을 사용한 후 약인성간독성의 의심과 진단 및 약물의 중단 후 증상과 간손상 효소의 개선과정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결과: 평소 혼합결합조직병으로 한방병원에서 수년 동안 침과 뜸 치료 등으로 잘 유지되고 있던 56세의 여성 환자가, 어느날부터 갑자기 심한 피로감과 전신적 불편편함을 호소하였다. 혈액검사를 시행한 결과, 혈청 AST, ALT가 정상 경계의 2.5-배 이상 증가하였고, 촤근 복용한 향정신성약물에 대한 RUCAM score가 9점으로 약인성간손상 진단에 부합하였다. 이 의심 약물들을 중지한 뒤에 주관적 불편함이 빠르게 개선되었으며, 혈청 간손상 효소 수치 또한 2주 안에 정상화되었다. 결론: 본 증례는 향정신성약물로 생길 수 있는 간손상의 전형적인 임상 예로서, 향정신성약물의 일반화된 상황에 비추어 한의원에서 환자의 진료 과정에서 하나의 중요한 고려사항을 암시한다.

Percutaneous Transhepatic Treatment of Benign Bile Duct Strictures Using Retrievable Covered Stents: Long-Term Outcomes in 148 Patients

  • Byung Soo Im;Dong Il Gwon;Hee Ho Chu;Jin Hyoung Kim;Gi-Young Ko;Hyun-Ki Yoo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9호
    • /
    • pp.889-900
    • /
    • 2022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outcomes of percutaneous treatment of benign biliary strictures using temporary placement of a retrievabl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overed st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outcomes of 148 patients (84 male and 64 female; age range, 11-92 years) who underwent percutaneous transhepatic placement and removal of a retrievable PTFE-covered stent for the treatment of benign biliary strictures between March 2007 and August 2019 through long-term follow-up. Ninety-two patients had treatment-naïve strictures and 56 had recurrent/refractory strictures. Results: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in all 148 patients. The mean indwelling period of the stent was 2.4 months (median period, 2.3 months; range, 0.2-7.7 months). Stent migration, either early or late, occurred in 28 (18.9%) patients. Clinical success, defined as resolution of stricture after completing stent placement and removal, was achieved in 94.2% (131 of 139 patient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15.5% (23 of 148 patients). During the mean follow-up of 60.2 months (median period, 52.7 months; range, 1.6-146.1 months), 37 patients had a recurr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strictures at 0.5-124.5 months after removal of biliary stent and catheter (median, 16.1 months). The primary patency rates at 1, 3, 5, 7, and 10 years after removal of biliary stent and catheter were 88.2%, 70.0%, 66.2%, 60.5%, and 54.5%, respectively. In the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sex, age, underlying disease, relation to surgery, stricture type, biliary stones, history of previous treatment, and stricture sit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patency. Conclusion: Long-term outcomes suggest that percutaneous treatment of benign biliary strictures using temporary placement of retrievable PTFE-covered stents may be a clinically effective method.

Comprehensive RNA-sequencing analysis of colorectal cancer in a Korean cohort

  • Jaeim Lee;Jong-Hwan Kim;Hoang Bao Khanh Chu;Seong-Taek Oh;Sung-Bum Kang;Sejoon Lee;Duck-Woo Kim;Heung-Kwon Oh;Ji-Hwan Park;Jisu Kim;Jisun Kang;Jin-Young Lee;Sheehyun Cho;Hyeran Shim;Hong Seok Lee;Seon-Young Kim;Young-Joon Kim;Jin Ok Yang;Kil-yong L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7권3호
    • /
    • pp.100033.1-100033.13
    • /
    • 2024
  • Considering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lorectal cancer (CRC) cases in South Korea, we aimed to clarify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RC unique to the Korean population. To gain insights into the complexities of CRC and promote the exchange of critical data, RNA-sequenc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reveal the molecular mechanisms that drive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RC; this analysis is critical for developing effective treatment strategies. We performed RNA-sequencing analysis of CRC and adjacent normal tissue samples from 214 Korean participants (comprising a total of 381 including 169 normal and 212 tumor sample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between the groups. We identified 19,575 genes expressed in CRC and normal tissues, with 3,83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between the groups. Functional annot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upregulated DEGs were significantly enriched in pathways related to the cell cycle, DNA replication, and IL-17, whereas the downregulated DEGs were enriched in metabolic pathways. We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information and subtypes using the Consensus Molecular Subtype (CMS) classification. Furthermore, we compared groups clustered within our dataset to CMS groups and performed additional analysis of the methylation data between DEGs and CMS groups to provide comprehensive biological insights from various perspectives. Our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CRC in Korean patients and serves as a platform for identifying potential target genes for this disease. The raw data and processed results have been deposited in a public repository for further analysis and exploration.

호흡부전환자의 재택산소치료 실태: 한 대학병원에서의 관찰 (Long-term oxygen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failure in one university hospital)

  • 허진원;이정연;홍상범;오연목;심태선;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고윤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60-166
    • /
    • 2005
  • 연구배경 : 최근 국내에서도 만성폐질환을 가진 저산소증 환자에게 재택산소요법이 증가하고 있으나 그 실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한 대학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재택산소요법을 처방 받은 환자들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서 재택산소요법을 처방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검토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산소를 중단한 4명의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 : 총 86명의 환자가 산소요법을 처방받았고, 2000년 이후로 매년 빈도가 증가되는 추세였다.남/녀비는 52/34명, 평균연령은 61.3세였다. 환자들의 기저질환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29명, 결핵파괴폐 18명, 기관지확장증 15명, 간질성폐질환 12명, 척추후측만증 7명 등으로 다양한 질환을 보였다. 산소 처방 당시 평균 53명의 폐기능 소견은 $FEV_1/FVC$$58.4{\pm}25.2%$, FVC $54.5{\pm}17.1$ (% pred.), $FEV_1$ $41.7{\pm}20.6$ (% pred.)로 측정되었다. 산소요법은 1.5 L/min에서 시작하여 평균 14.5시간 동안 사용하였다. 산소 처방 당시 동맥혈 산소농도는 77.7 mm Hg, 동맥혈 이산화탄소농도는 49.6 mm Hg 정도로 조절하였다. 전체 환자 중에서 가정간호사 방문이나 맥박산소측정기로 집에서 산소포화도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는 16.5%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의 환자는 외래 방문시 시행하는 동맥혈가스분석이나 증상에 따라 산소량을 조절하였다. 재택산소치료를 하는 환자들의 3년 생존율은 56%였고 고탄산혈증을 가지는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재택산소치료는 다양한 폐질환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고, 점차 빈도도 증가하고 있어 효율적인 관리 체계의 확립을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동맥 판막 치환술과 벤탈 수술 환자에서 대동맥 근부를 통한 승모판막 교련 성형술 (Transaortic Mitral Commissuroplasty with a Bentall Procedure or Artic Valve Replacement)

  • 김시욱;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27-732
    • /
    • 2007
  • 서론: 대동맥 판막 치환술 또는 벤탈수술 대상이 되는 환자들에서 다양한 정도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동반될 수 있다. 대동맥 판막질환과 동반된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교정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폐쇄부전의 원인과 정도, 추가 수술의 위험성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는 수술시간과 심장 절개를 최소화하는 대동맥 근부를 통한 다양한 승모판막 수술이 시도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대동맥 판막 치환술 또는 벤탈 수술과 함께 기질적 변화가 심하지 않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 대해 효과적인 대동맥 근부를 통한 승모판막 교련 성형술을 시행하였기에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20명의 환자에서 대동맥 판막 치환술(14명), 벤탈(Bentall) 수술(6명)과 함께 대동맥을 통한 승모판막 교련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승모판막은 기질적 변화가 심하지 않은 중등도(grade 2) 이하의 부전증을 보였다. 술 전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진단은 경흉부 심초음파와 수술 중 경 식도 심초음파로 확진하였으며 수술 후 경흉부 심초음파로 추적 관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엽을 제거한 후 대동맥 근부를 통해 한 번의 매트리스 봉합으로 승모판막 교련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6.2세였고 65% (13명)가 남자였다. 수술 전 승모판막 폐쇄부전 정도는 경도(mild, 1)가 9 (45%)명, 경도와 중등도 사이(mild to moderate)가 8 (40%)명, 그리고 중등 도(moderate, grade 2)가 3 (9%)명이었다. 수술 사망은 없었고 평균 추적기간은 28개월이었다. 경흉부 심초음파로 추적한 승모판막 폐쇄부전은 모든 예에서 호전되었으며(p=0.002) 심실 구출률은 75%에서 호전을 보였다(p=0.005). 평균 대동맥 차단시간은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는 $62.1{\pm}13.9분$, 벤탈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는 $137.5{\pm}7.2$분이었다. 결론: 중등도 이하의 승모판막 폐쇄부전을 갖는 선택적인 환자에서 대동맥 판막 치환술 또는 벤탈 수술 시에 대동맥을 통한 승모판막 교련 성형술은 대동맥 차단시간의 증가나 추가의 절개 없이 시행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객혈환자에서 동맥 색전술의 효과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Hemoptysis)

  • 유병수;류정선;이원연;송광선;안강현;용석중;신계철;김영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50-57
    • /
    • 1995
  • 연구배경: 기관지동맥 혹은 체측부동맥의 색전술은 수술전 환자상태의 안정화 혹은 지혈을 위해 또는 수술하기가 힘든 양측성 만성 폐질환환자에서 유용한 치료로 받아지고 있다. 이에 저자등은 객혈환자에서 동맥색전술의 효과와 색전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정과 환자의 경과 및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4월부터 1993년 8월 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에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24시간 동안에 400cc이상의 대량객혈이나 내원시 2번이상의 반복적인 객혈로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환자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객혈의 원인 결핵이 34예(58%)로 가장 많았고 동맥 색전술시 시행한 혈관 조영상 과혈관신생과 기관지동맥과 폐동맥사이의 단락이 보이는 경우가 25예(43%)로 가장 많았다. 동맥 색전술은 Ivalon을 사용한 16예(27%), Gelform은 24예(41%), 두가지 모두 사용한 예는 17예(29%)였으며, 체측부동맥이 출혈에 관여한 경우가 32예(57%)였으며 동맥 색전술후 합병증은 모두 18예(31%)로 흉통이 6예, 발열 4예, 배뇨장애 4예로 비교적 경미한 합병증이 대부분(14예, 78%)이었다. 동맥 색전술후 재출혈은 15예(29%)였고 재출혈 환자군과 재출혈이 없었던 환자군의 비교에서 Gelform만 사용했던 환자가 의의있게 많았고, 원인 질환으로는 두 환자군사이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혈관 조영술상에서는 체측부동맥이 재출혈군에서 의의있게 많았다. 결론: 객혈환자에서 특히 수술전에 지혈목적이나 폐기능 저하등의 이유로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의 차선적 치료로 기관지 혹은 체측부동맥등의 동맥 색전술은 유용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또한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노인 폐결핵의 임상적 특정 (Clinical Features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The Elderly)

  • 이재호;황보빈;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334-345
    • /
    • 2001
  • 연구 배경 : 폐결핵은 아직도 노인들에게 있어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심각한 임상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노인 폐결핵은 젊은 연령 군에 비해서 증상이 비전형적이고 약제에 대한 부작용이 많아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노인 폐결핵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의 임상 양상이 젊은 연령 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1991년 11월에서 1997년 1월까지 서울 시립 보라매병원에서 폐결핵으로 진단, 치료받은 65세 미만인 젊은 연령 군 125명과 65셰 이상인 노인 군 70명올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노인 폐결핵 환자들은 젊은 연령 군에 비하여 식욕 감소(12% vs 31.4%), 전신 쇠약감(20.0% vs 54.3%), 호흡곤란(21.6% vs. 37.1%), 의식 변화(0.8% vs. 15.7%)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내원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반변에 젊은 연령인 군에서는 노인 군에 비하여 객혈(32.8% vs. 10.0%), 발열(58.4% vs. 35.7%)의 빈도가 높았다. 기저질환에 있어 노인 군은 젊은 연령 군에 비하여 심혈관 질환과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흉부 X-선 소견 상 폐결핵 병변의 위치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병변의 모양은 노인 군에서 폐렴이나 폐암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8.8% vs. 30.0 %, p<0.05). 양군 간에 객담 항산균 포말 및 배양 검사상 차이는 없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치료 중 이탈률에도 차이가 없었다. 노인 군에서 젊은 연령 군에 비하여 약제 부작용이 많았고(13.6% vs. 45.7%, p<0.05), 치료 도중 약제 변경도 노인 군에서 많았다(4.9% vs. 25.7%, p<0.05). 젊은 연령 군 125명 중 1명, 노인 군 70명 중 6명이 결핵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결 론 : 노인 폐결핵은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노인에서 폐결핵이 의심될 때는 즉시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노인 폐결핵 환자는 약재 부작용이 사망률도 높았으나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체로 좋고 반응도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