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지하 공동구 비상조명 LED 구동용 초소형 자기 에너지 하베스트 전력관리 회로 설계 (Design of Micro-Magnetic Energy Harvest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Emergency Lighting LED Driving in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 심혜령;이경호;김종현;한석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95-50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자기 에너지 하베스트를 이용하여 지하 공동구의 비상조명 LED를 구동하는 전력관리 회로를 설계하였다. 자기 에너지 하베스트는 하베스터 소자와 전력관리 회로로 구성되어 진다. 제안하는 회로는 정류기, 배터리 충전회로와 LED 구동회로로 만들어졌다. 평상시에는 만들어진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비상시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LED를 구동한다. 측정 결과, 47 mF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데 2분이 걸렸다. 이것은 약 3분 30초 동안 비상조명용 LED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자기 에너지 하베스트용 전력관리 회로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을 끌어오기 어려운 지하 공동구의 비상조명 LED 구동용 전원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하공동구 디지털 트윈 체계 및 요구기능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Digital Twin System and Required Function for Underground Lifelines)

  • 정민우;이희석;신동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48-258
    • /
    • 2021
  • 지하공동구의 도시 생명선 기능유지를 위해서는 24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하며 부족한 인력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관리방법으로는 지하 공간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를 대상으로 공간정보 기반의 디지털 트윈 시스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물리적 공간과 가상공간으로 구분하였으며, 물리적 공간은 멀티모달 영상센서 체계 구축의 기반이 되는 센서의 종류와 배치도를, 가상공간은 지하공동구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업무에 따른 시스템 기능을 제시하였다. 지하공동구 디지털 트윈을 통해 재난을 예방하고, 조기에 대응하여 도시 생명선의 기능유지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지하공동구 관리를 위한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 및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방안 설계 (Design of Data Generating for Fast Searching and Customized Service fo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 박종화;전지혜;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390-397
    • /
    • 2021
  • 디지털 트윈 기술을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공동구 관리를 위한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 검색하고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방안에 대해 논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크게 두 가지로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축약해서 보여주기 위한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 방법과 맞춤형 정보 서비스 분할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고속 검색 데이터 생성에서는 지하 공동구 내 센서들에 의해 수집되는 시계열 분석을 위한 동기화 과정에 대해 구성과 데이터 축약에 따른 부가정보 방안에 대해서 논한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방법에서는 평상시와 재난 시의 사용자 유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재난 상황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지하 공동구 관리를 위한 데이터 생성과 서비스 모델에 대한 체계성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