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aria finnatifid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 fucoidan의 항혈액응고 특성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최용석;곽중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5-520
    • /
    • 2001
  • 국내 연안에서 생산되고 있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을 묽은 염산 (pH 2.0)으로 $65^{\circ}C$에서 추출한 crude fucoidan을 CPC처리하여 침전시킨 후 $CaCl_2$ 농도 (1.0M, 1.5M, 3.0M)를 증가시키면서 분획하였다. APTT 활성으로 비교한 결과 분획물의 항 혈액응고 활성은 황산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분획물 시료중 미역포자엽을 3.0M $CaCl_2$로 분획한 것이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 획분을 다시 pronase와 laminase로 수식한 결과 각각 단백질과 glucose가 감소하였으나 수식 전에 비하여 APTT 활성이 증가하였다. Pronase와 laminase로 수식한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mannose : sulfate : uronic acid의 $mole\%$는 1 : 1.3:0.03:2.7:0.08이였으며, 효소 처리에 따른 미역 포자엽의 주 결합구조는 변화가 없었다.

  • PDF

미역 포자엽 fucoidan의 중금속 흡착 특성 (Biosorption of Lead and Cadmium by Fucoidan from Undariafinnatifid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21-525
    • /
    • 2001
  •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분획하여 Pb와 Cd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4종의 갈조류에서 추출한 fucoidan의 분획물 모두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높았으며, 시료간에는 미역포자엽 분획물 (Fr-3.0)이 Pb와 Cd 모두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pH와 농도 변화에 따른 홉착력의 변화는 $C_f$ (잔류농도)가 50mg/L까지는 pH 간 차이가 없었으나, 농로가 증가함에 따라 pH 5.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Pb 와 Cd의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94mg/g ($C_f$164mg/L), 64mg/g ($C_f$197mg/L)였으며 Langmuir sorption model을 통해 구한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178mg/g, 122mg/g이었다. Cd 공존시 Pb 흘착량은 $C_f$가 낮을 범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C_f$가 증가함에 따라 공존 이온의 흡착 방해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 PDF

A New Species of Amonardia (Copepoda: Harpacticoida: Miraciidae) from the Cultivated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 Song, Sung-Joon;Rho, Hyun-Soo;Kim, W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1호
    • /
    • pp.69-77
    • /
    • 2007
  • Both sexes of a new species of Miraciidae belonging to the genus Amonardia Lang, 1948 are described. All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cultivated brown alga, Undaria pinnatifida of Gijang, Korea. So far only one species, A. normani (Brady, 1872) from the algal bed at Jindo Island was recorded in Korea. The new species can easily be distinguished from its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characters as follows: (1) shape of first antennular segment in female, (2) setal formular of mandible and maxillule, (3) setae of female sixth leg in female, and (4) shape of P2 endopod and exopod of fifth leg in male.